광주 자가 격리 중 확진 63명 절반이 성림침례교회 관련자
“가족 위해 격리 수칙 준수”
확진자와 접촉으로 자가 격리 중 추가 확진 판정을 받는 사례가 잇따라 가족 간 감염 예방을 위한 격리 수칙의 준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0일 광주시에 따르면 광주에서는 27명이 자가 격리 중 증상이 발현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자가 격리를 마치기 전 검사에서도 36명이 확진됐다.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은 600명 이상이 자가 격리된 성림침례교회 관련자들이다. 특히 자가 격리 해제 전 검사에서 확진 판정이 나온 경우에는 증상이 없는 사례가 많다. 그나마 외부인과 접촉은 없지만, 격리 수칙을 지키지 않는다면 가족 간 감염 위험도 상당하다.
방역 당국은 수시로 자가 격리자들을 유선 관리하지만, 증상 유무나 이탈 여부 등에 집중돼 집안에서 이뤄지는 격리 실태를 점검까지는 역부족이다. 가족 중에 추가 확진자가 나와 격리 기간이 늘어나는 고충을 막으려면 수칙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고 당국은 강조했다. 외출 금지는 물론이고 식사, 세면대, 화장실 등을 별도로 사용해야 한다. 공간이 협소해 분리가 어려우면 방역 당국으로부터 격리 시설을 지원받을 수도 있다.
박향 광주시 복지건강국장은 “가족의 안전을 위해서는 스스로 격리 수칙을 살피고 또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권일 기자 cki@kwangju.co.kr
10일 광주시에 따르면 광주에서는 27명이 자가 격리 중 증상이 발현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자가 격리를 마치기 전 검사에서도 36명이 확진됐다.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은 600명 이상이 자가 격리된 성림침례교회 관련자들이다. 특히 자가 격리 해제 전 검사에서 확진 판정이 나온 경우에는 증상이 없는 사례가 많다. 그나마 외부인과 접촉은 없지만, 격리 수칙을 지키지 않는다면 가족 간 감염 위험도 상당하다.
/최권일 기자 cki@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