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미래 신산업 생태계 조성 나섰다
신규 규제자유특구 활용…디지털뉴딜·비대면산업 발굴
영광 e-모빌리티·나주 에너지신산업 실증사업 본격화
영광 e-모빌리티·나주 에너지신산업 실증사업 본격화
전남도가 지난해 7월과 11월 각각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된 영광을 중심으로 한 e-모빌리티 산업과 나주를 거점으로 한 에너지신산업과 관련한 실증사업을 서두르며 산업 생태계 구축에 나섰다. 이와 함께 관련 정부부처와 지속적인 협의를 거쳐 오는 11월 드론 특구 지정을 추진하고, 친환경 전기차 개조·친환경 선박 제조 및 해상 실증사업 등도 새로운 규제자유특구 산업으로 지정하기 위한 준비단을 꾸리는 등 전남 산업 생태계의 근본적인 혁신에 나설 방침이다.
6일 전남도에 따르면 지난해 7월 전남에 특구가 지정된 e-모빌리티는 초소형 전기차의 ‘자동차 진입금지구간 주행·실증’과 전기자전거, 개인용 이동수단의 ‘자전거 전용도로 주행·실증’을 지난 5월과 6월 각각 착수했다. 올해 안에 4륜형 이륜차와 농업용 동력 운반차 실증도 진행할 예정이다.
e-모빌리티 관련 9개 규제특례 실증이 완료되면 오는 2022년까지 핵심기업 27개사의 유치로 500여 개 일자리가 신규 창출되고 1000억원 이상 신규 매출이 달성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남도는 설명하고 있다. 추후 e-모빌리티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충돌·소재·전자파 등 핵심부품 평가기반 고도화와 인공지능(AI)·드론·자율주행 등 융합기술을 개발하고 용역 기획위원회를 운영해 신규사업을 적극 발굴, 국가계획에 반영할 계획이다.
중압직류배전(MVDC) 핵심기자재 개발과 실증사이트 구축을 위해 지난해 12월 특구로 지정된 에너지신산업도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MVDC와 LVDC(저압직류)를 연계한 실증사업이 정부 추경에 110억원이 확정돼 MVDC 스테이션 구축 등 주요 실증사업에 큰 탄력을 받게 됐으며, 향후 시장에서 직류 배전망 분야를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 에너지신산업은 특구지역 내 직류산업 관련 앵커기업을 유치하는 등 직류산업 생태계를 조성해 지난해 11월 지정된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로 확산할 계획이다. 전남도는 한국전력 등 50여 개 에너지 전문기관·기업·학회와 함께 이를 구체화할 ‘전남 직류산업 중장기 육성계획’을 수립 중이다.
올해 연말 특구 지정을 준비 중인 드론산업은 전국 최대 규모 비행시험 공역(380㎢)과 항공인프라를 연계한 ‘비가시권 드론 제어용 주파수 신규 분배 실증’ 등 다양한 실증사업 등을 통해 오는 2024년까지 45개 기업 유치와 신규고용 392명, 800억원 매출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남도는 과학기술부, 중소기업부 등과 지속적인 협의를 거쳐 오는 11월 드론 특구가 지정될 수 있도록 대응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친환경 전기차 개조, 친환경 선박 제조 및 해상 실증사업도 새로운 규제자유특구 산업으로 지정하기 위해 준비단을 꾸려 대응하기로 했다.
윤병태 전남도 정무부지사는 “새로운 규제자유특구는 디지털 뉴딜과 그린뉴딜, 비대면산업 등 정부 정책방향에 부합된 분야를 중점적으로 발굴해야 한다”며 “지정된 특구산업이 조기에 실증을 마치고 기업유치로 이어져 지역 성장동력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데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윤현석 기자 chadol@kwangju.co.kr
e-모빌리티 관련 9개 규제특례 실증이 완료되면 오는 2022년까지 핵심기업 27개사의 유치로 500여 개 일자리가 신규 창출되고 1000억원 이상 신규 매출이 달성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남도는 설명하고 있다. 추후 e-모빌리티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충돌·소재·전자파 등 핵심부품 평가기반 고도화와 인공지능(AI)·드론·자율주행 등 융합기술을 개발하고 용역 기획위원회를 운영해 신규사업을 적극 발굴, 국가계획에 반영할 계획이다.
또 에너지신산업은 특구지역 내 직류산업 관련 앵커기업을 유치하는 등 직류산업 생태계를 조성해 지난해 11월 지정된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로 확산할 계획이다. 전남도는 한국전력 등 50여 개 에너지 전문기관·기업·학회와 함께 이를 구체화할 ‘전남 직류산업 중장기 육성계획’을 수립 중이다.
올해 연말 특구 지정을 준비 중인 드론산업은 전국 최대 규모 비행시험 공역(380㎢)과 항공인프라를 연계한 ‘비가시권 드론 제어용 주파수 신규 분배 실증’ 등 다양한 실증사업 등을 통해 오는 2024년까지 45개 기업 유치와 신규고용 392명, 800억원 매출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남도는 과학기술부, 중소기업부 등과 지속적인 협의를 거쳐 오는 11월 드론 특구가 지정될 수 있도록 대응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친환경 전기차 개조, 친환경 선박 제조 및 해상 실증사업도 새로운 규제자유특구 산업으로 지정하기 위해 준비단을 꾸려 대응하기로 했다.
윤병태 전남도 정무부지사는 “새로운 규제자유특구는 디지털 뉴딜과 그린뉴딜, 비대면산업 등 정부 정책방향에 부합된 분야를 중점적으로 발굴해야 한다”며 “지정된 특구산업이 조기에 실증을 마치고 기업유치로 이어져 지역 성장동력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데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윤현석 기자 chadol@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