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천체망원경 개방…광주서 밤하늘 즐겨요
광주과학관 별빛천문대 직경 1.2m…국내 기술로 제작한 최대 구경
초점거리 일반 망원경의 5배 이상…안드로메다 은하까지 관측 가능
초점거리 일반 망원경의 5배 이상…안드로메다 은하까지 관측 가능
![]() 최근 국립광주과학관에 들어선 천체망원경 모습. 국내 망원경 제조업체 에스엘랩이 설계·제작한 이 망원경은 직경이 1.2m에 달하며 초점거리 1만mm로 일반 천체망원경보다 5배 이상 뛰어난 성능을 갖고 있다. <국립광주과학관 제공> |
국내 기술로 제작한 반사망원경 중 가장 구경이 큰 천체망원경이 국립광주과학관(이하 과학관)에 설치됐다.
과학관 ‘별빛천문대’에 들어선 직경 1.2m 천체망원경이다.
이 망원경은 우리나라에서 2번째로 큰 반사망원경이며, 국내 기술로 제작된 천체망원경 중에서는 가장 크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반사망원경은 경북 영천시 화북면 보현산천문대에 있는 직경 1.8m 망원경이다. 이 망원경은 연구 목적으로 설치돼 접근이 어려운 산 정상에 있으며, 일부 시간 외에는 일반인에게 공개되지 않는다. 반면 이번 망원경은 일반인들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망원경 설계·제작은 우리나라 천체망원경 개발·제조업체 에스엘랩(SL lab)이 맡았으며, 거울·렌즈는 미 항공우주국(NASA) 망원경 렌즈를 제작해 온 러시아 업체 타이덱스(Tydex)에서 제작했다.
초점거리는 1만㎜에 달하며, 관측 배율은 400배에서 최대 1000배까지 설정할 수 있다. 초점거리가 1000~2000㎜에 지나지 않는 일반 천체망원경보다 5배 이상 뛰어나다.
이 망원경으로는 성운·성단뿐 아니라 다른 은하계도 볼 수 있으며, 약 250만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 은하까지 선명하게 관측할 수 있다.
망원경이 설치된 별빛천문대는 별빛누리관 측면에 지어진 지름 10m 회전형 돔 건물이다.
돔은 망원경이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회전하고, 열리도록 설계됐다. 달을 관측하는 경우, 망원경이 달의 움직임을 따라 자동으로 각도를 조정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맞춰 돔도 회전한다.
별빛누리관에서 별빛천문대로 이어지는 복도에서도 천체를 관측할 수 있다. 이곳에는 태양 관측 전용망원경, 쌍안경, 굴절망원경 등 보조망원경 6대가 설치돼 있다.
대형 천체망원경 설치는 지난 2017년 별빛누리관 건립사업을 시작할 때부터 계획됐다. 광주시 지원을 합쳐 총 사업비 10억원이 투입됐다.
망원경은 지난 4월 설치를 완료한 뒤 2달여 동안 보정·검수를 거친 뒤 지난달 공개됐다.
과학관 관계자는 “이번에 설치한 주 망원경 성능은 연구 목적으로 쓰기에 손색없으나, 그보다는 천문대를 찾아온 누구든지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말했다.
과학관은 ‘별빛학교’, ‘밤하늘관측대장’ 등 천체관측 프로그램에서 주 망원경을 활용할 예정이다. 또 지자체·유관기관 등과 연계한 천문캠프 장소로도 개방할 계획이다.
한편 이날 과학관에서는 세계에서 손꼽힐 만큼 거대한 키네틱아트(움직이는 조형물) 철제 조형물 ‘스페이스 오딧세이’ 제막식도 함께 열렸다.
설치미술가 손봉채 작가가 참여해 만들어진 이 조형물은 높이만 25.355m에 이른다. 지구 자전축 23.5도만큼 기울어진 외발 자전거 모양으로, ‘우주를 향한 인류의 꿈과 도전’을 형상화했다. 자전거 바퀴 조형물에는 바퀴 움직임을 형상화한 조명을 켤 수 있으며, 상부 조형물은 페달을 밟듯 움직인다.
/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
/영상 김혜림 기자 fingswoman@kwangju.co.kr
과학관 ‘별빛천문대’에 들어선 직경 1.2m 천체망원경이다.
이 망원경은 우리나라에서 2번째로 큰 반사망원경이며, 국내 기술로 제작된 천체망원경 중에서는 가장 크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반사망원경은 경북 영천시 화북면 보현산천문대에 있는 직경 1.8m 망원경이다. 이 망원경은 연구 목적으로 설치돼 접근이 어려운 산 정상에 있으며, 일부 시간 외에는 일반인에게 공개되지 않는다. 반면 이번 망원경은 일반인들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초점거리는 1만㎜에 달하며, 관측 배율은 400배에서 최대 1000배까지 설정할 수 있다. 초점거리가 1000~2000㎜에 지나지 않는 일반 천체망원경보다 5배 이상 뛰어나다.
망원경이 설치된 별빛천문대는 별빛누리관 측면에 지어진 지름 10m 회전형 돔 건물이다.
돔은 망원경이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회전하고, 열리도록 설계됐다. 달을 관측하는 경우, 망원경이 달의 움직임을 따라 자동으로 각도를 조정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맞춰 돔도 회전한다.
별빛누리관에서 별빛천문대로 이어지는 복도에서도 천체를 관측할 수 있다. 이곳에는 태양 관측 전용망원경, 쌍안경, 굴절망원경 등 보조망원경 6대가 설치돼 있다.
대형 천체망원경 설치는 지난 2017년 별빛누리관 건립사업을 시작할 때부터 계획됐다. 광주시 지원을 합쳐 총 사업비 10억원이 투입됐다.
망원경은 지난 4월 설치를 완료한 뒤 2달여 동안 보정·검수를 거친 뒤 지난달 공개됐다.
과학관 관계자는 “이번에 설치한 주 망원경 성능은 연구 목적으로 쓰기에 손색없으나, 그보다는 천문대를 찾아온 누구든지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말했다.
과학관은 ‘별빛학교’, ‘밤하늘관측대장’ 등 천체관측 프로그램에서 주 망원경을 활용할 예정이다. 또 지자체·유관기관 등과 연계한 천문캠프 장소로도 개방할 계획이다.
한편 이날 과학관에서는 세계에서 손꼽힐 만큼 거대한 키네틱아트(움직이는 조형물) 철제 조형물 ‘스페이스 오딧세이’ 제막식도 함께 열렸다.
설치미술가 손봉채 작가가 참여해 만들어진 이 조형물은 높이만 25.355m에 이른다. 지구 자전축 23.5도만큼 기울어진 외발 자전거 모양으로, ‘우주를 향한 인류의 꿈과 도전’을 형상화했다. 자전거 바퀴 조형물에는 바퀴 움직임을 형상화한 조명을 켤 수 있으며, 상부 조형물은 페달을 밟듯 움직인다.
/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
/영상 김혜림 기자 fingswoman@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