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부지냐 vs 이전이냐…장흥군 신청사 건립 논란
안전진단 D등급에 재건축 불가피
신청사 내년 착공 2023년 준공 목표
군 “현부지 신축하면 예산절감 효과”
의회·일부 주민 “교통 불편…이전 검토”
신청사 내년 착공 2023년 준공 목표
군 “현부지 신축하면 예산절감 효과”
의회·일부 주민 “교통 불편…이전 검토”
![]() 1977년 건립된 장흥군 청사가 정밀안전진단에서 D등급을 받아 재건축이 불가피해졌다. |
15년 전부터 추진해온 장흥군 신청사 건립을 놓고 ‘현부지냐’, ‘이전부지냐’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18일 장흥군에 따르면 1977년 건립된 청사가 오래돼 정밀안전진단에서 D등급을 받음에 따라 재건축이 불가피해졌다.
장흥군은 현부지에 400억원을 들여 총 연면적 1만5398㎡(4650평) 지하 2층~지상 7층 규모의 청사 건립을 계획하고 있다. 내년 착공해 2023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 2016년 12월 ‘청사신축 건립기금 조례’ 제정 이후 건축물 정밀안전진단, 청사정비계획 수립 용역, 주민 설문조사를 마친데 이어 건립기금 400억원을 지난 2017년(50억원)부터 조성했다.
장흥군 관계자는 지난 15일 공청회에서 ‘군청사 신축 추진계획’을 밝히면서 기관·사회단체 대표 및 마을 이장단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 63%가 현부지 신축에 대해 찬성했다며 현부지 건립을 공식화했다.
신청사가 건립되면 분산 배치됐던 의회, 농업기술센터 등 20여개(보건소 제외)에 달하는 기관이 한 곳으로 모여 종합행정타운이 된다.
장흥군은 현청사 부지에 건립하면 매입비 150억원 이상의 예산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지난 2015년 기획재정부로부터 부지 일부를 기부받을 때 10년 이내 청사 부지로 활용한다는 조건부 무상양여였다는 점도 이유로 들었다.
그러나 장흥군의회와 일부 주민들은 현 청사 주변은 도로가 비좁아 주·정차에 큰 불편이 따른다며 도시계획 재정비와 도로망 확충을 병행한 청사 신축안을 마련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무질서한 현청사 일대의 도시계획 정비가 안되면 ‘백년대계’ 차원에서 신청사 이전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요구한 것이다.
한편 현 청사는 건립된 지 40년이 넘은 노후 건물로, 정밀안전진단에서 D등급 판정을 받았다. 2003년 건립한 의회동은 C등급을 받았다. 또 낡고 비좁아 10개 실·과·소가 다른 곳에 분산 배치돼 군정업무에 불편이 따르고 있다.
/장흥=김용기 기자·중부취재본부장 kykim@kwangju.co.kr
18일 장흥군에 따르면 1977년 건립된 청사가 오래돼 정밀안전진단에서 D등급을 받음에 따라 재건축이 불가피해졌다.
장흥군은 현부지에 400억원을 들여 총 연면적 1만5398㎡(4650평) 지하 2층~지상 7층 규모의 청사 건립을 계획하고 있다. 내년 착공해 2023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장흥군 관계자는 지난 15일 공청회에서 ‘군청사 신축 추진계획’을 밝히면서 기관·사회단체 대표 및 마을 이장단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 63%가 현부지 신축에 대해 찬성했다며 현부지 건립을 공식화했다.
신청사가 건립되면 분산 배치됐던 의회, 농업기술센터 등 20여개(보건소 제외)에 달하는 기관이 한 곳으로 모여 종합행정타운이 된다.
그러나 장흥군의회와 일부 주민들은 현 청사 주변은 도로가 비좁아 주·정차에 큰 불편이 따른다며 도시계획 재정비와 도로망 확충을 병행한 청사 신축안을 마련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무질서한 현청사 일대의 도시계획 정비가 안되면 ‘백년대계’ 차원에서 신청사 이전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요구한 것이다.
한편 현 청사는 건립된 지 40년이 넘은 노후 건물로, 정밀안전진단에서 D등급 판정을 받았다. 2003년 건립한 의회동은 C등급을 받았다. 또 낡고 비좁아 10개 실·과·소가 다른 곳에 분산 배치돼 군정업무에 불편이 따르고 있다.
/장흥=김용기 기자·중부취재본부장 kyk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