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6주기 그날을 다시 기억하며
최근 세월호 참사 희생자들에 대한 일부 여당 후보들의 막말이 문제가 됐다. 미래통합당 공천을 받았던 차명진 후보는 세월호 유가족 관련 막말로 후보 자격을 상실했다가 징계 절차의 하자로 인한 법원 판결로 다시 살아나 선거를 치렀다. 같은 당 김진태 후보의 선거사무원은 거리에 걸린 ‘세월호’ 추모 현수막들을 훼손하다 현장에서 붙잡혔다. 이들 모두 세월호 유가족 가슴에 대못을 박은 것이었다.
하지만 희망적인 일도 있었다. ‘세월호 약속 운동’이 그것이다. 이번 총선에 출마한 후보 429명이 4·16 세월호 참사가족협의회와 4월 16일의 약속 국민연대(4·16연대)에서 제시한 ‘세월호 5대 정책 과제’에 동참 의사를 밝힌 것이다. 이에 대한 각 당의 입장 또한 대조를 보였다.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 등 8개 정당은 당 차원에서 동참을 약속한 반면 미래통합당과 국민의당 등 6개 정당은 관련 질의서에 응답하지 않았다.
참사 가족협의회와 4·16연대가 제시한 5대 정책 과제는 세월호 관련 대통령기록물 공개, 사회적 참사 진상 규명 조사 기간 확보 및 인력 보강, 희생된 민간 잠수부와 기간제교사 지원을 위한 ‘김관홍법’ 입법, 국민안전법 법제화, 피해자 불법 사찰 및 혐오·모독 처벌 강화 등이다.
오늘은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지 꼭 6주기가 되는 날이다. 그러나 유가족과 생존자들이 그동안 요구해 온 참사의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은 답보 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다. 이제 선거는 끝났다. 유권자의 선택을 받은 국회의원 당선자들은 ‘세월호 약속 운동’에 적극 동참해 필요한 법을 통과시키도록 해야 할 것이다.
참사 가족협의회와 4·16연대가 제시한 5대 정책 과제는 세월호 관련 대통령기록물 공개, 사회적 참사 진상 규명 조사 기간 확보 및 인력 보강, 희생된 민간 잠수부와 기간제교사 지원을 위한 ‘김관홍법’ 입법, 국민안전법 법제화, 피해자 불법 사찰 및 혐오·모독 처벌 강화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