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시, 문중 유물 수집 ‘나주학’ 본격 연구
진주강씨·흥성장씨 의병장 관련 문서 기증 받아 가치 규명 작업
지난달 조례 공포…역사문화도시 지역자산 종합·체계적 조명
지난달 조례 공포…역사문화도시 지역자산 종합·체계적 조명
![]() 진주강씨 문중에서 기증한 고문서. |
나주시가 나주학 연구를 본격화하기 위해 문중 소장의 유물 수집에 나선다.
나주시는 지난달 ‘나주학 연구·진흥에 관한 조례’를 공포하고 나주학 연구의 기초 자원인 유물 수집과 기증 유물 연구를 본격 추진한다고 20일 밝혔다.
나주학(羅州學)은 역사·문화·경제·산업·생태 등 과거와 현재, 미래를 관통하는 다양한 분야의 지역자산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구·육성하는 학문을 뜻한다.
나주시는 호남을 대표하는 역사문화도시 나주의 정체성 확립과 이에 따른 지속가능한 발전전략 수립을 목표로 나주학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나주학 연구의 전문성 확보를 위해 올해 1월부터 전담 인력을 배치하고 유물수집과 국역, 해제 등 나주학 연구의 기초 토대를 구축했다.
문중 소장의 유물 수집은 본격적인 나주학 연구에 있어 첫 단추다.
앞서 나주시는 지난해 ‘진주강씨 모헌공 중종’과 ‘흥성장씨 직장공파 의병장 관련 문서’를 각 문중으로부터 기증받아 문서 내용과 역사적 가치 규명을 위한 국역(國譯)과 해제(解題) 작업을 했다.
지난해 7월 나주시가 수집한 진주강씨 문서는 나주학 연구를 위해 문중에서 유물을 기증한 첫 사례다.
나주시에 따르면 진주강씨 문서는 조선후기부터 대한제국 시기 작성된 것으로 임진왜란 때 아들과 함께 순절한 의병장 강위구 부자의 충절과 효심, 며느리 남평 문씨의 열행에 대한 포상을 요구하는 상서, 이에 대한 예조의 관문, 추증 교지 등 충·효·열 삼강에 관한 내용이 담겨있다.
강인규 나주시장은 “오랜 역사 속 나주를 지키고 살아온 문중의 고문서를 비롯한 다양한 유물은 나주학 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초 자산”이라며 “앞으로도 수집된 유물에 대한 국역·해제 성과를 시민에게 공유하고 나주학 연구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나주=손영철 기자 ycson@kwangju.co.kr
나주시는 지난달 ‘나주학 연구·진흥에 관한 조례’를 공포하고 나주학 연구의 기초 자원인 유물 수집과 기증 유물 연구를 본격 추진한다고 20일 밝혔다.
나주학(羅州學)은 역사·문화·경제·산업·생태 등 과거와 현재, 미래를 관통하는 다양한 분야의 지역자산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구·육성하는 학문을 뜻한다.
나주학 연구의 전문성 확보를 위해 올해 1월부터 전담 인력을 배치하고 유물수집과 국역, 해제 등 나주학 연구의 기초 토대를 구축했다.
문중 소장의 유물 수집은 본격적인 나주학 연구에 있어 첫 단추다.
앞서 나주시는 지난해 ‘진주강씨 모헌공 중종’과 ‘흥성장씨 직장공파 의병장 관련 문서’를 각 문중으로부터 기증받아 문서 내용과 역사적 가치 규명을 위한 국역(國譯)과 해제(解題) 작업을 했다.
나주시에 따르면 진주강씨 문서는 조선후기부터 대한제국 시기 작성된 것으로 임진왜란 때 아들과 함께 순절한 의병장 강위구 부자의 충절과 효심, 며느리 남평 문씨의 열행에 대한 포상을 요구하는 상서, 이에 대한 예조의 관문, 추증 교지 등 충·효·열 삼강에 관한 내용이 담겨있다.
강인규 나주시장은 “오랜 역사 속 나주를 지키고 살아온 문중의 고문서를 비롯한 다양한 유물은 나주학 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초 자산”이라며 “앞으로도 수집된 유물에 대한 국역·해제 성과를 시민에게 공유하고 나주학 연구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나주=손영철 기자 ycson@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