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 3년 만에 복원
전남 최초 백제사찰 재조명
![]() 보물 제298호 강진 월남사지삼층석탑.
<강진군 제공> |
보물 제298호 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이 복원됐다.
강진군은 성전면 월남사지(月南寺址)에 있는 보물 제298호‘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을 해체한 지 3년만에 복원에 성공, 일반에 공개했다고 19일 밝혔다.
월남사지 삼층석탑은 높이 8.4m의 전라도 대표 백제계 석탑이다. 국보 제9호인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과 비교되는 조적식 석탑이다. 최근 발굴조사 과정에서 백제기와가 발견돼 전남 최초의 백제사찰로 재조명되고 있다.
문화재청 진단 결과 붕괴위험이 우려돼 지난 2017년 4월 해체된 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은 지난해 12월말 석탑 상륜부까지 조립을 완료, 안정화 모니터링을 거쳐 최근 일반에 선보였다.
해체된 모든 석재는 비파괴 물성검사 등 과학적 물성검사를 거쳐 석재마다 재질, 강도, 내구성, 손상도 평가를 통해 일부 변경 결정됐고, 일부 석재는 원형이 그대로 보존됐다. 바닥에 접해있는 기단 저석은 화강암 재질로 무게가 무려 8.5톤으로 이는 국내 석탑 중 단일부재로는 최대 규모다.
특히 해체ㆍ보수 과정에서 국내에서 유사한 형태가 발견된 적이 없는 높이 22㎝, 가장 넓은 동체부 너비 11㎝ 크기의 청동병이 3층 탑신석 하부에서 발견됐다. 이 청동병은 현재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수습해 CT(컴퓨터단층촬영) 촬영 등 비파괴조사와 부식물 제거ㆍ보존처리 중이다.
강진군은 다음달부터 월남사지 중심 권역 발굴지에 대한 복토와 관람객 편의시설 등의 정비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발굴 조사 당시 백제기와 등이 발견된 ‘월남사지 종합정비계획’에 따라 중심공간인 주불전을 복원할 방침이다.
/강진=남철희 기자 choul@kwangju.co.kr
강진군은 성전면 월남사지(月南寺址)에 있는 보물 제298호‘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을 해체한 지 3년만에 복원에 성공, 일반에 공개했다고 19일 밝혔다.
월남사지 삼층석탑은 높이 8.4m의 전라도 대표 백제계 석탑이다. 국보 제9호인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과 비교되는 조적식 석탑이다. 최근 발굴조사 과정에서 백제기와가 발견돼 전남 최초의 백제사찰로 재조명되고 있다.
해체된 모든 석재는 비파괴 물성검사 등 과학적 물성검사를 거쳐 석재마다 재질, 강도, 내구성, 손상도 평가를 통해 일부 변경 결정됐고, 일부 석재는 원형이 그대로 보존됐다. 바닥에 접해있는 기단 저석은 화강암 재질로 무게가 무려 8.5톤으로 이는 국내 석탑 중 단일부재로는 최대 규모다.
강진군은 다음달부터 월남사지 중심 권역 발굴지에 대한 복토와 관람객 편의시설 등의 정비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발굴 조사 당시 백제기와 등이 발견된 ‘월남사지 종합정비계획’에 따라 중심공간인 주불전을 복원할 방침이다.
/강진=남철희 기자 choul@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