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 여파에 농업인 인력·경제난
농협 쌀소비 캠페인 등 농업인 관련 행사 10건 취소·연기
농번기 앞두고 외국인 근로자 수급 차질에 인력 공백 불안
농번기 앞두고 외국인 근로자 수급 차질에 인력 공백 불안
![]() 농협 전남본부 농촌 일손 돕기 현장.<광주일보 자료사진>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이하 신종코로나) 감염증 파장이 전남 농촌까지 미쳐 농업인들이 ‘이중고’를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농협 등 농정당국은 주요 행사를 줄줄이 취소했고 본격적인 영농철을 한 달 여 앞두고 중국인 등 외국인 근로자 수급에는 비상이 걸렸다.
3일 농협 전남지역본부, 광주지역본부에 따르면 이날부터 16일까지 2주 동안 열리기로 했던 농업인 관련 행사 10건이 취소되거나 무기한 연기됐다.
농협 전남본부는 3일 오전 지역본부에서 쌀 소비 촉진을 위한 ‘하루 세끼 공기밥 먹기운동-일삼공운동’ 발대식을 열려고 했으나 지난 주말 연기 결정을 내렸다. 이와 함께 우수 지역본부 직원을 시상하는 ‘2월 정례조회’와 이대훈 농협은행장 지역본부 방문, 마케팅추진단 신용카드 순회교육, 전남 친환경농업 전진대회 등이 취소됐다.
광주본부 역시 농협은행 지점장과 지역농협 관계자 90여 명이 참석하는 ‘정례조회’를 열지 않기로 했고 4일 예정된 ‘NH농협손해보험 집합교육’과 13일 농협은행 전남영업본부의 ‘상반기 카드추진방향 및 마케팅 교육’ 등이 전면 취소됐다.
농협 관계자는 “신종코로나 확산을 막기 위해 집단 행사는 취소하거나 최소화하기로 했다”며 “일부 직원교육은 동영상 강의 등으로 대체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은 5월 시행을 앞둔 공익직불제 홍보와 농민 의견 수렴을 위해 노수현 원장이 4일 구례 농업현장을 방문할 계획이었으나 중국인 등 외국인 근로자가 많은 농촌 특성을 고려해 무기한 연기 결정을 내렸다.
고령화와 인구 감소가 심각한 전남 농촌은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의존율이 갈수록 높아지면서 인력 공백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지난해 ‘농촌고용인력지원사업’을 통해 전남 5개 시·군에 배정한 외국인근로자는 115명으로 나타났다. 고흥 배정 인원이 33명으로 가장 많았고, 해남(32명), 장흥(28명), 나주(13명), 보성(9명) 등이 뒤를 이었다.
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고용허가제로 농업에 들어온 인력이 전국적으로 3만여 명에 달하며 계절근로자와 미등록 이주자를 더하면 어림잡아 5만명의 외국인 근로자가 농작업에 종사하고 있다. 전남지역 농어촌 외국인 근로자 비율은 농어업 종사 인력의 30%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현재 합법적으로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하려면 고용허가제, 계절근로자제를 통해야 하지만 농가의 절반 넘게(58.8%) 사설 인력소개소나 지인 소개로 외국인 인력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협중앙회는 올해 6400명의 외국인에게 농축산업분야 비전문취업(고용허가제·E-9) 비자를 발급할 계획이다. E-9 비자 신규 인력의 배정시기는 1월 2650명, 3월 1590명, 6월 530명, 9월 530명 등이다.
전남지역에서 농업부문 계절근로자(C-4) 비자를 신청한 외국인은 지난 2017년 11명에서 이듬해 56명으로 4배 넘게 뛰었다.
농번기에 15~30명의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하는 김종팔(70) 농업회사법인 영암녹색무화과㈜ 대표는 “상근직 3명을 제외하고는 무화과 수확과 선별·유통 과정에서 중국인, 태국인 등 외국인 근로자 없이는 물량을 소화할 수 없다”며 “농한기가 끝나기 전에 신종코로나 사태가 일단락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3일 농협 전남지역본부, 광주지역본부에 따르면 이날부터 16일까지 2주 동안 열리기로 했던 농업인 관련 행사 10건이 취소되거나 무기한 연기됐다.
광주본부 역시 농협은행 지점장과 지역농협 관계자 90여 명이 참석하는 ‘정례조회’를 열지 않기로 했고 4일 예정된 ‘NH농협손해보험 집합교육’과 13일 농협은행 전남영업본부의 ‘상반기 카드추진방향 및 마케팅 교육’ 등이 전면 취소됐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은 5월 시행을 앞둔 공익직불제 홍보와 농민 의견 수렴을 위해 노수현 원장이 4일 구례 농업현장을 방문할 계획이었으나 중국인 등 외국인 근로자가 많은 농촌 특성을 고려해 무기한 연기 결정을 내렸다.
고령화와 인구 감소가 심각한 전남 농촌은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의존율이 갈수록 높아지면서 인력 공백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지난해 ‘농촌고용인력지원사업’을 통해 전남 5개 시·군에 배정한 외국인근로자는 115명으로 나타났다. 고흥 배정 인원이 33명으로 가장 많았고, 해남(32명), 장흥(28명), 나주(13명), 보성(9명) 등이 뒤를 이었다.
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고용허가제로 농업에 들어온 인력이 전국적으로 3만여 명에 달하며 계절근로자와 미등록 이주자를 더하면 어림잡아 5만명의 외국인 근로자가 농작업에 종사하고 있다. 전남지역 농어촌 외국인 근로자 비율은 농어업 종사 인력의 30%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현재 합법적으로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하려면 고용허가제, 계절근로자제를 통해야 하지만 농가의 절반 넘게(58.8%) 사설 인력소개소나 지인 소개로 외국인 인력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협중앙회는 올해 6400명의 외국인에게 농축산업분야 비전문취업(고용허가제·E-9) 비자를 발급할 계획이다. E-9 비자 신규 인력의 배정시기는 1월 2650명, 3월 1590명, 6월 530명, 9월 530명 등이다.
전남지역에서 농업부문 계절근로자(C-4) 비자를 신청한 외국인은 지난 2017년 11명에서 이듬해 56명으로 4배 넘게 뛰었다.
농번기에 15~30명의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하는 김종팔(70) 농업회사법인 영암녹색무화과㈜ 대표는 “상근직 3명을 제외하고는 무화과 수확과 선별·유통 과정에서 중국인, 태국인 등 외국인 근로자 없이는 물량을 소화할 수 없다”며 “농한기가 끝나기 전에 신종코로나 사태가 일단락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