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공기 반…쌀 소비량 30년새 반토막
  전체메뉴
하루 한공기 반…쌀 소비량 30년새 반토막
지난해 1인당 소비량 59.2㎏로 전년보다 3.0% 줄어
1964년 통계작성 후 최소…소비 감소로 쌀값도 떨어져
2020년 01월 30일(목) 22:30
지난해 쌀 소비량이 통계 작성을 한 1964년 이후 최소를 기록하면서 쌀 소비 감소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19년 양곡소비량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가구 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59.2㎏으로 전년보다 3.0% 줄었다.

이는 30년 전인 1989년 소비량(121.4㎏)의 절반 수준이다. 가구 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1970년 136.4㎏을 정점으로 꾸준히 내리막길을 걸어왔다. 가구 내 1인당 하루 쌀 소비량도 162.1g으로 전년보다 3.1% 줄었다. 밥 한 공기가 100g 정도임을 고려하면 하루 한 공기 반 정도를 먹는 셈이다.

쌀 소비 감소 등의 영향으로 쌀값도 떨어졌다.

지난 25일 기준 산지 쌀값(정곡 20㎏)은 4만7488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51원(-1.5%) 떨어졌다.

지난해 전남지역 쌀 생산량은 72만5000t으로, 전체 생산량(374만4000t) 5분의 1로 가장 많았다.

농협 전남지역본부에 따르면 전남지역 양곡(정곡) 재고 물량은 지난 달 말 기준 17만8000t이었다. 최근 3년 간(2017~2019) 평균 재고량(17만1000t) 보다 7000t 더 많다.

농협 관계자는 “지난해 말 기준 전남 쌀 재고량은 전년보다 4000t(2.1%) 줄었다”며 “쌀 소비는 줄고 있지만 전남 쌀 생산량이 전년에 비해 4만여t(5.3%) 줄었고 전국적으로도 6만t 부족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설 명절 마지막 날인 27일 농협 전남본부, 광주본부가 KTX광주송정역에서 쌀 소비 홍보를 펼치고 있다.<광주일보 자료사진>


이번 쌀 소비 조사에서 제조업에서 제품 원료로 쌀을 사용한 양은 지난해 74만4055t으로 전년보다 1.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쌀 소비량은 2014년 53만4999t으로 전년 대비 증가(1.7%)로 전환한 뒤 2015년 7.6%, 2016년 14.5%, 2017년 7.4%, 2018년 6.8%로 증가하다 지난해 6년 만에 감소로 돌아섰다.

제조업 쌀 소비량을 업종별로 보면 기타 곡물가공품 제조업이 쌀 5만6007t을 소비해 1년 전보다 24.2% 증가했다. 이 업종에서 쌀은 선식, 누룽지, 씨리얼식품 등에 주로 사용된다.

쌀국수 등에 쓰이는 면류·마카로니 및 유사식품(2만126t·9.2%), 과자류 및 코코아 제품 제조업(9천280t·4.7%) 등도 지난해 쌀 소비량이 늘었다.

떡류는 지난해 쌀 17만6500t을 소비해 전년보다 2.4% 증가했다.

반면 햇반, 삼각김밥, 도시락이나 가정 간편식에 주로 사용되는 도시락 및 식사용 조리식품은 14만5187t으로 1년 전보다 소폭(-1.6%) 감소했다. 이는 백미만 사용되던 햇반, 도시락 등에 잡곡 사용량이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됐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