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독한 농부화가’ 박은용의 일생을 보다
박종석 작가, ‘석현 박은용’ 출간
450페이지 올컬러 평전
20일부터 갤러리생각상자서
‘비가! 바람이 전하는 말’전
석현 삶 담은 20m 대작 전시
450페이지 올컬러 평전
20일부터 갤러리생각상자서
‘비가! 바람이 전하는 말’전
석현 삶 담은 20m 대작 전시
![]() 박종석 작가가 故 박은용 작가의 삶을 20m 작품에 풀어놓은 ‘비가(悲歌)! 바람이 전하는 말’ (부분). |
![]() |
![]() 박은용 작 ‘자화상’ |
올해 광주시립미술관에서 열렸던 석현(石峴) 박은용(1944~2008) 10주기 특별전은 ‘비운의 천재화가’, ‘고독한 농부화가’로 불렸던 그의 작품 세계를 오롯이 볼 수 있는 기회였다. 취재 당시, 석현의 후배로 그와 30년 넘게 인연을 맺으며 그의 평전을 준비중이었던 한국화가 석주(石 洲) 박종석 작가와 동행했는데 박 작가는 언제나 비주류였던 그를 ‘영혼이 맑은 사람’, ‘성자’라 표현했다.
박 작가는 책에서 “박은용의 삶은 운명적으로 불우한 일생이었지만 침묵으로 자존의 길을 지키며 치열한 예술의 족적을 남겼다”며 “홀로 흙과 돌을 이용해 수년간 지은 화순 두강마을 작업실 언덕에 묻힌 그는 지금도 세상의 마음밭에 심어놓은 작품으로 따뜻한 정감의 말을 나누고 있다”고 말한다.
석현이 살아 있을 때부터 숱한 대화를 나누고 자료를 수집해온 박 작가가 집필한 이번 책은 무엇보다 충실한 아카이빙이 눈에 띈다. 석현의 대표 작품을 비롯해 육필 원고, 강연균·배동환 화백 등 동료·가족과 나눈 편지와 엽서, 그의 삶을 생생히 엿볼 수 있는 사진 등을 빠짐없이 챙겼고 그의 일생을 촘촘히 기록해 나갔다. 다른 전문가들이 석현을 연구할 때 도움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 있어서다.
450페이지 올컬러로 제작된 평전은 박은용의 삶과 예술을 3부로 나눠 기술했다. 6·25전쟁으로 파괴되어버린 어린 시절과 대학·교직 생활을 습작기로, 1983년 서울 발표전으로 화단에 각인 된 뒤 병원생활과 재혼 시기를 모색기로, 그리고 두강화실 짓기와 사평시장 연작을 비롯해 생을 마친 2000년까지를 정착기로 구분했다.
광주시 동구 지원동 생각상자 갤러리에서 열리는 전시회에 내 걸리는 ‘비가, 바람이 전하는 말’은 장지에 수묵담채로 그려낸 대작이다. 작품은 책에서 언급한 인생 3분기를 토대로 제작했다. 해맑은 얼굴로 고향 진도 울돌목을 건너는 모습으로 시작되는 작품은 어린시절, 대학시절, 서울 전시 등 석현의 희로애락을 표현해냈으며 아이를 안고 있는 엄마의 모습 등 석현의 작품을 재해석해 채워넣었다.
전시에서는 푸른하늘이 화면을 채우고 있는 ‘삼세’, 허백련 등 지역 작가들의 초상을 담은 ‘임류’ 등 석주의 또 다른 작품과 백상옥 작가가 석현의 ‘얼’ 스케치를 서각으로 재구성한 작품을 전시한다.
무엇보다 석현이 드로잉으로 그린 ‘자화상’도 만날 수 있어 눈길을 끈다.
1992년 대학원 석사논문을 마친 후 호남회화사에 조명되지 않은 서화가들을 꾸준히 조명해 온 박 작가는 학포 양팽손을 다룬 ‘부러진 대나무’, 염재 송태회의 삶과 예술을 정리한 ‘세한을 기억하고’를 펴냈으며 두 책 출간 당시에도 그들의 삶을 담은 작품을 모아 전시회를 열었다. 오픈식 및 출판기념회는 20일 오후 4시 열린다. 일요일, 공휴일 휴관.
/김미은 기자 mek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