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자금 대출 10명중 3명 상환 시작까지 3년 걸려”
  전체메뉴
“학자금 대출 10명중 3명 상환 시작까지 3년 걸려”
국감서 청년 빚쟁이 전락 방지 촉구
2019년 10월 07일(월) 04:50
학자금 대출을 못 갚은 대학생들이 신용불량자로 전락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6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현아 의원(자유한국당)이 한국장학재단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지난해부터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 상환을 시작한 8만 6142명 중 2만 6526명(31%)은 대학을 졸업한 지 3년이 넘은 상태였다.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은 소득 8분위 이하 만 35세 이하 학부생에게 등록금과 생활비를 빌려주고 상환은 기준 이상 소득이 생길 때까지 미룰 수 있게 한 상품이다.

대학을 졸업하고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을 갚기 시작할 때까지 3년 이상 걸린 사람의 비율도 2014년 8%→2015년 13%→2016년 20%→2017년 26% 등으로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취업이 어려워지면서 대학 졸업 후 일자리를 찾는 기간이 길어지고 있다는 의미다.

김현아 의원은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학생들이 빚에 허덕이지 않도록 학자금 대출 금리를 낮추고 더 이자가 적은 상품으로 갈아탈 기회를 만들어 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학자금 대출 잔액 인원 기준으로 대출자의 25.05%가 2.90%의 이자를, 3.90% 이상의 고금리 지급하는 비율도 25.95%에 달했다. 앞서 교육부는 정부보증 대출 및 일반 상환 학자금 대출을 2.9% 저금리로 전환한 바 있으나, 2010년 이후 대출을 받은 학생들은 제외되면서 여전히 고금리를 부담하고 있다.

/박기웅 기자 pboxe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