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소득주도성장’ 대신 ‘민부론’
  전체메뉴
한국당 ‘소득주도성장’ 대신 ‘민부론’
경제대전환 국민보고대회…민간주도 경제 회귀안 제시
2019년 09월 23일(월) 04:50
자유한국당은 23일 문재인 정부의 국가 주도 경제를 민간 주도의 자유시장 경제로 전환해 2030년까지 1인당 국민소득 5만 달러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또 2030년까지 가구당 연간 소득 1억원을 이뤄내고, 중산층 비율 70%를 달성하겠다고 강조했다.

한국당은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고 있는 ‘2020 경제대전환 보고서 민부론(民富論)’을 발표했다.

한국당이 지난 5월 9일 발간한 ‘경제실정 백서 징비록(懲毖錄)’은 문재인 정권 경제 정책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면 ‘민부론’은 중장기적인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데 방점을 찍었다.

이 책은 현재 한국 경제의 상황에 대해 소득주도성장·최저임금 인상·획일적 주52시간 도입·반(反)기업 정책으로 주력 산업이 위기에 처했고, 기업의 해외 탈출이 가속화됐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고용 절벽이 현실화됐고, 가계 살림은 어려워졌으며, 중산층이 감소하며, 빈부 격차가 확대되는 등 일하는 시대에서 ‘배급 시대’로 전락했다고 진단했다.특히 국가가 국민의 삶을 모두 책임지겠다는 식의 국가 만능주의로 중앙·지방재정이 파괴됐고, 4대강과 원전 등 국가 인프라마저 붕괴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국당은 이 책에서 한국 경제의 해법으로 국가주도·평등지향의 경제 정책에서 민간주도의 자유시장 경제로의 대전환을 제시했다.특히 경제 성장의 과실이 개인과 가계에 우선적으로 귀속되도록 해 국민이 부자가 되는 길이 ‘민부론’의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한국당은 ‘민부론’의 목표로 2030년까지 1인당 국민소득 5만 달러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또 2030년까지 가구당 연간 소득 1억원을 이뤄내고, 중산층 비율 70%를 달성하겠다고 강조했다.

한국당은 구체적인 전략으로 ▲ 국부(國富) 경제에서 민부(民富)의 경제 대전환 ▲ 국가주도 경쟁력에서 민(民)주도 경쟁력으로 전환 ▲ 자유 노동시장 구축 ▲ 민(民)이 여는 복지로의 지속가능한 복지 구현을 제시했다. /연합뉴스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