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지역내총생산·전남 개인소득 최저
2017년 광주 지역내총생산 세종·제주 빼고 가장 낮아
1인당 개인소득 전남 1704만원 꼴찌…광주 1893만원
1인당 개인소득 전남 1704만원 꼴찌…광주 1893만원
![]() |
광주·전남이 ‘지역내총생산’ ‘개인소득’ 등 주요 경제지표에서 낙제점을 받았다.
2017년 광주 지역내총생산은 세종·제주를 제외하고 전국에서 가장 낮았고, 전남 1인당 개인소득은 꼴찌였다.
5일 통계청이 발표한 ‘지역소득통계 2015년 기준 개편결과’에 따르면 2017년 지역내총생산(명목)은 광주 37조7000억원, 전남 73조7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전국 지역내총생산은 1840조3000억원으로, 지역별로는 경기가 451조4000억원으로 가장 컸고 서울(404조원), 충남(115조원) 등이 뒤를 이었다.
광주는 세종(10조원), 제주(20조원)을 빼고는 전국에서 가장 낮았고, 전남은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했다.
‘1인당 주요 지표’도 위태로운 지역경기를 반영했다.
1인당 지역내총생산은 광주가 2524만원으로 대구(2231만원)에 이어 뒤에서 두번째로 적었다. 이는 전국 평균 3583만원의 70% 수준으로, 전남은 평균의 114% 수준(5위)인 4108만원으로 나타났다. 상위지역은 울산(6537만원), 충남(5366만원), 서울(4137만원) 등이 있었다.
1인당 개인소득 부문에서는 전남이 ‘최저’라는 불명예를 안았다. 전남 개인소득은 1704만원으로, 전국 평균 1920만원의 89% 수준이었다. 개인소득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 2224만원으로, 전남보다 520만원 많았다. 광주 1인당 개인소득은 1893만원으로 전국에서 6번째로 높았다.
전남은 소비 부문에서도 최저 수준을 나타났다. 전남 1인당 민간소비액은 1496만원으로, 전북과 함께 가장 낮았다. 광주는 1인당 1705만원을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전국 평균(1700만원)을 웃돌았다.
실질 지역내총생산으로 본 경제성장률은 광주·전남지역 모두 평균(3.1%)을 밑도는 1.3%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가 6.6%로 가장 높았고 충북과 충남이 각각 6.1%, 5.4%를 기록했다. 경북(-1.2%), 경남·울산(-0.7%) 지역은 ‘마이너스(-)’대 성장률을 보였다.
지역의 부진한 경제지표는 빈약한 투자성적과 연계된 것으로 풀이된다.
건설투자·설비투자·지식재산생산물투자를 합한 총고정자본형성(명목)은 광주가 9조5000억원으로 세종과 제주를 제외하고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전체 총고정자본형성(579조9000억원)의 1.6% 수준으로, 1위인 경기(158조4000억원)와 148조9000억원이나 차이났다. 전남은 전국 10위인 24조7000억원이었다.
2017년 광주지역 생산구조는 기준연도인 2015년과 비교해 제조업 비중이 28.5%에서 28.2%로, 건설업은 4.8%에서 4.3%로 줄었다. 대신 사업서비스업과 정보통신업 등 서비스업 비중은 65%에서 66%로 확대됐다.
전남의 경우 농림어업 비중은 8.4%에서 7.9%로 감소한 반면, 제조업 비중은 34.1%에서 36%로 확대됐다. 제조업 확대는 여수국가산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 생산과 전기·전자·정밀기기 제조업이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됐다. 이번 집계는 지역 소득 기준연도를 2010년에서 2015년으로 반영한 결과다. 종전 집계와는 달리 2012년 새로 탄생한 세종을 따로 분류했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2017년 광주 지역내총생산은 세종·제주를 제외하고 전국에서 가장 낮았고, 전남 1인당 개인소득은 꼴찌였다.
5일 통계청이 발표한 ‘지역소득통계 2015년 기준 개편결과’에 따르면 2017년 지역내총생산(명목)은 광주 37조7000억원, 전남 73조7000억원으로 나타났다.
광주는 세종(10조원), 제주(20조원)을 빼고는 전국에서 가장 낮았고, 전남은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했다.
‘1인당 주요 지표’도 위태로운 지역경기를 반영했다.
1인당 지역내총생산은 광주가 2524만원으로 대구(2231만원)에 이어 뒤에서 두번째로 적었다. 이는 전국 평균 3583만원의 70% 수준으로, 전남은 평균의 114% 수준(5위)인 4108만원으로 나타났다. 상위지역은 울산(6537만원), 충남(5366만원), 서울(4137만원) 등이 있었다.
전남은 소비 부문에서도 최저 수준을 나타났다. 전남 1인당 민간소비액은 1496만원으로, 전북과 함께 가장 낮았다. 광주는 1인당 1705만원을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전국 평균(1700만원)을 웃돌았다.
실질 지역내총생산으로 본 경제성장률은 광주·전남지역 모두 평균(3.1%)을 밑도는 1.3%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가 6.6%로 가장 높았고 충북과 충남이 각각 6.1%, 5.4%를 기록했다. 경북(-1.2%), 경남·울산(-0.7%) 지역은 ‘마이너스(-)’대 성장률을 보였다.
지역의 부진한 경제지표는 빈약한 투자성적과 연계된 것으로 풀이된다.
건설투자·설비투자·지식재산생산물투자를 합한 총고정자본형성(명목)은 광주가 9조5000억원으로 세종과 제주를 제외하고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전체 총고정자본형성(579조9000억원)의 1.6% 수준으로, 1위인 경기(158조4000억원)와 148조9000억원이나 차이났다. 전남은 전국 10위인 24조7000억원이었다.
2017년 광주지역 생산구조는 기준연도인 2015년과 비교해 제조업 비중이 28.5%에서 28.2%로, 건설업은 4.8%에서 4.3%로 줄었다. 대신 사업서비스업과 정보통신업 등 서비스업 비중은 65%에서 66%로 확대됐다.
전남의 경우 농림어업 비중은 8.4%에서 7.9%로 감소한 반면, 제조업 비중은 34.1%에서 36%로 확대됐다. 제조업 확대는 여수국가산업단지의 석유화학제품 생산과 전기·전자·정밀기기 제조업이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됐다. 이번 집계는 지역 소득 기준연도를 2010년에서 2015년으로 반영한 결과다. 종전 집계와는 달리 2012년 새로 탄생한 세종을 따로 분류했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