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EU 탈퇴 대비 한 - 영 FTA 서명
  전체메뉴
영국 EU 탈퇴 대비 한 - 영 FTA 서명
통상관계 연속성 유지…양국 공동번영 촉진
2019년 08월 23일(금) 04:50
두달후 영국이 유럽연합(EU)에서 탈퇴할 경우에 대비한 한국과 영국 간 양자 자유무역협정(FTA)이 서명됐다.

양국은 한-영 FTA를 기존 한-EU FTA 특혜무역 수준으로 체결해 10월말 영국이 합의 없이 EU를 탈퇴하는 ‘노딜’ 브렉시트(Brexit)가 일어나더라도 통상관계의 연속성을 유지하게 된다.

22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유명희 통상교섭본부장과 엘리자베스 트러스 영국 국제통상장관은 현지시간으로 이날 런던에서 한-영 FTA 협정문과 3건의 서한에 서명했다.

유명희 본부장은 “한-영 FTA는 개방적이고 자유로운 교역을 통해 양국의 공동번영을 촉진할 것”이라면서 “브렉시트와 같은 불확실한 환경에서 벗어나 우리 기업이 안정적으로 교역과 투자활동을 펼쳐 나가도록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러스 장관은 “양국이 FTA 체결을 통해 통상 관계의 연속성을 마련함으로써 브렉시트 이후에도 양국 기업들은 추가적인 장벽 없이 교류할 수 있게 됐고, 양국 간 교역은 더욱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측은 지난 6월 10일 한-영 FTA의 원칙적 타결을 선언한 이후 협정문 법률 검토 및 국내 심의절차를 진행했으며, 이날 서명을 마지막으로 양국간 협▲상 절차를 완료했다.

영국은 EU에서 두 번째로 큰 우리의 교역 상대국이다. 지난해 양국 간 교역규모는 131억7천만 달러(수출 63억6천만 달러·수입 68억1천만 달러)로 한국의 주요 수출품은 승용차, 선박, 해양구조물 등이고 수입품은 원유, 승용차, 의약품 등이다.

정부는 한-영 FTA의 적기 발효를 위해 브렉시트 예상 시점인 10월 31일 이전에 국회 동의 등 비준 절차를 완료할 예정이다. 이번에 정식 타결된 한-영 FTA는 한국의 17번째 FTA가 된다

한-영 FTA는 상품 관세의 경우 모든 공산품의 관세 철폐를 유지하기 위해 한-EU FTA 양허를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합의했다.

/연합뉴스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