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고가전략 참패 … 아이폰 분기 매출 15% 감소
아이폰 수요둔화 가격인상 전략 ‘역풍’
애플이 지난 분기에 843억 달러(94조3300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고 29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는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투자자들에게 서한을 보내 하향 조정한 실적 전망치와 거의 그대로 부합하는 수준이다.
쿡은 이날 2019 회계연도 1분기(2018년 10∼12월) 실적을 발표하면서 “우리가 매출 목표(가이던스)를 달성하지 못한 것은 실망스럽지만, 장기적으로 이번 분기의 실적은 우리 사업의 근본적인 경쟁력이 깊고 폭넓게 운영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라고 말했다.
이날 발표된 매출은 리피니티브 전망치 평균(840억 달러)을 약간 웃도는 수준이다.
애플은 아이폰 매출이 519억8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에 비해 15% 감소했다고 밝혔다. 시장 전망치(526억7000만 달러)보다도 다소 낮은 수치다.
쿡은 아이폰의 매출 부진이 주로 중국 경제권의 경제성장 둔화 때문이라고 투자자들에게 강조하고 있다.
많은 외부 전문가들이 애플의 판매 전략이나 제품 자체의 특성을 두고 다른 원인을 지적하고 있다.
미국 현지 언론들은 애플이 아이폰 가격을 일부러 높게 책정하는 전략이 한계에 봉착했다고 해설했다.
AP통신은 “애플이 아이폰의 수요증가 둔화세를 가격을 올리는 방식으로 상쇄하기를 희망했으나 그 전략이 연말 쇼핑시즌에 판매가 저조해진 뒤 역풍을 맞고 말았다”고 지적했다.
애플은 이번 분기부터 아이폰 판매 대수를 공개하지 않기로 했으며, 실제로 이날 아이폰 매출 실적은 발표했을 뿐 판매 대수는 밝히지 않았다. /연합뉴스
이는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투자자들에게 서한을 보내 하향 조정한 실적 전망치와 거의 그대로 부합하는 수준이다.
쿡은 이날 2019 회계연도 1분기(2018년 10∼12월) 실적을 발표하면서 “우리가 매출 목표(가이던스)를 달성하지 못한 것은 실망스럽지만, 장기적으로 이번 분기의 실적은 우리 사업의 근본적인 경쟁력이 깊고 폭넓게 운영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라고 말했다.
애플은 아이폰 매출이 519억8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에 비해 15% 감소했다고 밝혔다. 시장 전망치(526억7000만 달러)보다도 다소 낮은 수치다.
쿡은 아이폰의 매출 부진이 주로 중국 경제권의 경제성장 둔화 때문이라고 투자자들에게 강조하고 있다.
많은 외부 전문가들이 애플의 판매 전략이나 제품 자체의 특성을 두고 다른 원인을 지적하고 있다.
AP통신은 “애플이 아이폰의 수요증가 둔화세를 가격을 올리는 방식으로 상쇄하기를 희망했으나 그 전략이 연말 쇼핑시즌에 판매가 저조해진 뒤 역풍을 맞고 말았다”고 지적했다.
애플은 이번 분기부터 아이폰 판매 대수를 공개하지 않기로 했으며, 실제로 이날 아이폰 매출 실적은 발표했을 뿐 판매 대수는 밝히지 않았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