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실증도시 광주가 최적”…시의회, 규제 프리존·NPU센터 구축 촉구
본회의서 대정부 건의안 채택
2025년 11월 26일(수) 19:30
광주시의회가 광주도시 전체를 규제 없는 실험장으로 만드는 이른바 ‘AI 메가 샌드박스’ 도입이 시급하다며 정부 차원의 결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광주시의회는 26일 오전 제338회 제2차 정례회 제3차 본회의를 개최하고 인공지능실증도시특별위원회(이하 AI특위)가 상정한 ‘AI 메가샌드박스 시범도시 지정 및 국가 NPU(신경정보망처리장치) 컴퓨팅센터 광주 유치 촉구 대정부 건의안’을 의결했다.

의회는 건의문에서 현행 규제 샌드박스 제도의 한계를 지적했다. 현 시스템은 분야나 법령별로 규제가 쪼개져 도시 전체를 아우르는 융·복합 기술 실증에는 부적합하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광주가 구상하는 메가 샌드박스 모델이야말로 정부가 표방하는 ‘AI 3대 강국 도약’ 비전과 이재명 대통령의 ‘광주 AI 국가 시범도시 조성’ 공약을 실질적으로 완수할 수 있는 핵심 열쇠라고 강조했다.

건의안에는 세 가지 요구사항이 담겼다. 우선 광주시를 ‘AI 메가 샌드박스’ 시범도시로 지정해 줄 것을 요청했다. 또한 국가 차원의 신경망처리장치(NPU) 컴퓨팅센터를 광주에 구축하고, 도시 단위의 AI 실증이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파편화된 법과 제도를 통합해 달라고 주문했다.

시의회는 광주가 지난 5년 동안 국가 AI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각종 실증 인프라를 다져온 준비된 최적지임을 내세웠다.

시의회는 건의문을 조만간 대통령실과 국회, 각 정당,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관계 중앙 부처에 공식 전달할 방침이다.

강수훈 AI특위 위원장은 “과거 광주의 숭고한 희생이 대한민국 민주주의를 지탱해 왔듯이, 앞으로는 광주의 AI 산업 도전이 국가의 미래 먹거리를 책임지는 든든한 기둥이 될 것”이라며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이끌어내기 위해 의회 차원의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764153000792508277
프린트 시간 : 2025년 11월 26일 19:5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