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여행업계 다 죽겠네…무안공항 재개항 서둘러야
정부 광주 군공항 이전 물꼬 텄지만 무안공항 정상화는 묵묵부답
참사 11개월…사고 수습책도 유가족 불신 불러 재개항 지연 비판
2025년 11월 23일(일) 20:00
정부가 최근 광주 민·군공항 통합 이전현안의 물꼬를 텄지만 정작 무안국제공항 정상화는 외면하고 있다.

정부가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이후 무안국제공항을 11개월 간 ‘셧다운’ 상태로 방치하는 바람에 광주·전남 여행업계는 회생불능 상태에 빠졌다는 진단이 나온다.

23일 전남도 등에 따르면 국토교통부가 지난 1월 내놓은 ‘항공안전 혁신방안’에 따른 안전강화 개선책이 오는 12월 말 완공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사고로 무너진 외곽담장 보수와 종단안전구역(240m) 확보, 북측 활주로 연장(2800m→3160m), 조류탐지레이더, 열화상카메라와 음파발생기 등 첨단장비 확충, 북측 방위각시설(로컬라이저) 개선 등이다.

남아있는 시설 개선책은 참사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남측 로컬라이저(방위각 시설)의 철거와 재설치다. 해당 로컬라이저는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들이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이하 사조위)의 부실한 조사 가능성을 감안, 재조사를 위한 존치를 요구하고 있어 철거되지 못하고 있다.

결국 정부의 사고 수습 행태가 유가족 불신을 불러와 무안공항 재개항 시점을 늦추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정부는 ‘제 5차 공항개발 중장기 종합계획’(2016~2020년)을 통해 ‘무안국제공항을 서남권 중심공항으로 활용한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도 대선 지역 공약으로 무안공항을 동북아 대표 관문공항 육성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참사 발생 11개월, 대통령 취임 6개월 여가 지난 시점에도 정부의 정책과 대통령의 공약 모두 현실화되지 못하고 있다.

전남도는 지난 2월 국토부에 무안공항의 재개항을 위한 조속한 안전시설 개선을 건의한 데 이어, 8월에는 김영록 도지사 명의의 입장문도 내놨다. 지난 9월에도 무안국제공항의 조속한 정상화를 국토부와 사조위에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묵묵부답이다.

무안공항 폐쇄가 이어지면서, 지역 여행업계와 지역민 편의성을 감안한 광주공항 국제선 취항이라는 철지난 이슈가 재등장하면서 지역 갈등을 부추긴다는 비판도 나왔다.

나광국(민주·무안2) 전남도의원은 최근 광주시가 국제선 임시취항을 재추진하기로 한 것을 두고 “전남도와 광주시, 무안군 간 갈등의 골이 더 깊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나 의원은 “광주공항 국제선 취항 논쟁은 지역 간 불신만 키울 뿐”이라며 “광주시의 국제선 임시취항 추진으로 지역 간 갈등의 불씨가 커지기 전에 무안국제공항의 개항을 서둘러야 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광주공항 국제선 취항은 불필요한 재정 지출과 지역 간 갈등의 여지를 감안할 때 무안공항 재개항을 서둘러야 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무엇보다 ‘광주공항은 무안공항으로 통합 추진한다’는 제 5차 공항개발 중장기 종합계획에 따라 광주 국제선 임시 취항은, 임시방편을 떠나 정부 계획을 거스르는 조치로 해석된다.

비록 전남도의회에 발이 묶였지만, 광주시와 전남도가 정부의 ‘5극3특’ 기조에 따라 추진 중인 광주전남특별광역연합에서 무안공항 재개항을 핵심 의제로 다뤄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전남도와 지역 여행업계는 다음달 4일 열리는 제주항공 참사에 대한 사고조사공청회에 주목하고 있다.

전남도 관계자는 “무안공항 재개항은 지역 여행업계와 지역 경제계의 생사가 걸린 일”이라며 “다음달 열릴 공청회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길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763895600792361006
프린트 시간 : 2025년 11월 23일 22:5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