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T, 학교다워져라
노조, 학교 차원 ‘교수 갑질’ 사과·산하 기관 정상화 촉구
법원이 광주과학기술원(GIST·지스트) 대학 교수의 갑질 행위를 불법 행위로 인정하고 손해배상 책임을 지운 것<광주일보 11월 10일 6면>과 관련, 노조가 지스트 총장과 대학 측의 사죄와 산하 기관 운영 정상화 등을 촉구했다.
민주노총 전국공공연구노동조합은 20일 보도자료를 내고 “지스트는 ‘직장 내 괴롭힘’ 가해자를 승진시키며 2차 가해를 하더니 ‘연구부정·채용비리’로 형사고발까지 됐다”며 “기관 운영 정상화를 위해 지스트는 책임자를 즉각 조사하고 처벌하라”고 촉구했다.
노조는 “최근 법원은 지스트 산하 연구소에서 벌어진 정교수의 연구원 업무 배제, 일방적 연구책임자 변경, 폭언 행위를 명백한 불법행위(직장 내 괴롭힘)로 인정했다”며 “
최근 법원 판결로 드러난 반인권적 직장 내 괴롭힘이 ‘연구부정’, ‘채용비리’ 등 더 큰 범죄로 이어진 정황은, 지스트의 조직 문화와 관리·감독 시스템이 총체적으로 붕괴했음을 보여준다”며 “ 지스트는 가해 교수에게 경징계라는 솜방망이 처벌을 하고 가해자들을 팀장급으로 승진시키는 상식 밖의 인사를 단행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근 지스트는 자체 특별감사를 통해 연구원 4명이 회의록과 업무추진비 내역서를 허위로 작성해 연구비를 사적으로 유용하는 등 1258만 원대의 부정 사용을 적발했으며 이들 중 3명은 해임돼 경찰 수사를 받고 있다”며 “결국 지스트가 비호해 팀장이 된 괴롭힘 가해자들은 연구부정과 채용비리 등 더 큰 범죄를 저지른 것”이라고 역설했다.
노조는 이같은 문제가 발생한 원인으로 지스트가 전체 인력의 60%를 비정규직으로 채용하고 있는 점, 연구기관의 핵심인 300여 명의 연구원 중 90%가 1년 단위 계약직 비정규직이라는 점 등을 꼽았다. 지스트 경영진이 극심한 고용 불안을 악용해 갑질과 비위 행위의 방패막이로 삼아왔다는 것이 노조 주장이다.
노조는 “지스트 총장은 인권센터 권고를 묵살하고 갑질 피해자에게 2차 가해를 한 점, 연구부정·채용비리 조장 사태 등에 대해 피해자와 구성원에게 공식 사과하라”며 “‘직장 내 괴롭힘’ 가해자에 대한 ‘경징계’ 처분을 즉각 취소하고 ‘중징계’를 이행하며, 2차 가해의 상징인 승진 인사를 즉각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이어 “정부는 지스트에 대해 특별 감사를 실시하고 이사회를 통해 경영진의 책임을 엄중히 물어 달라”며 “지스트는 실질적으로 직장 내 괴롭힘을 근절하고 연구비의 투명성을 확보하며 안정적인 고용 시스템을 전면 재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
민주노총 전국공공연구노동조합은 20일 보도자료를 내고 “지스트는 ‘직장 내 괴롭힘’ 가해자를 승진시키며 2차 가해를 하더니 ‘연구부정·채용비리’로 형사고발까지 됐다”며 “기관 운영 정상화를 위해 지스트는 책임자를 즉각 조사하고 처벌하라”고 촉구했다.
최근 법원 판결로 드러난 반인권적 직장 내 괴롭힘이 ‘연구부정’, ‘채용비리’ 등 더 큰 범죄로 이어진 정황은, 지스트의 조직 문화와 관리·감독 시스템이 총체적으로 붕괴했음을 보여준다”며 “ 지스트는 가해 교수에게 경징계라는 솜방망이 처벌을 하고 가해자들을 팀장급으로 승진시키는 상식 밖의 인사를 단행했다”고 지적했다.
노조는 이같은 문제가 발생한 원인으로 지스트가 전체 인력의 60%를 비정규직으로 채용하고 있는 점, 연구기관의 핵심인 300여 명의 연구원 중 90%가 1년 단위 계약직 비정규직이라는 점 등을 꼽았다. 지스트 경영진이 극심한 고용 불안을 악용해 갑질과 비위 행위의 방패막이로 삼아왔다는 것이 노조 주장이다.
노조는 “지스트 총장은 인권센터 권고를 묵살하고 갑질 피해자에게 2차 가해를 한 점, 연구부정·채용비리 조장 사태 등에 대해 피해자와 구성원에게 공식 사과하라”며 “‘직장 내 괴롭힘’ 가해자에 대한 ‘경징계’ 처분을 즉각 취소하고 ‘중징계’를 이행하며, 2차 가해의 상징인 승진 인사를 즉각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이어 “정부는 지스트에 대해 특별 감사를 실시하고 이사회를 통해 경영진의 책임을 엄중히 물어 달라”며 “지스트는 실질적으로 직장 내 괴롭힘을 근절하고 연구비의 투명성을 확보하며 안정적인 고용 시스템을 전면 재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