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회생, 정부가 매듭지어야”…진보당 광주시당, ‘정상화 M&A’ 즉각 착수 촉구
전국 123개 매장·고용 10만 명·연 2조 농축산 거래 연쇄 타격 우려…“MBK 수익 유출 의혹, 책임 있는 인수 주체 물색해야”
2025년 11월 07일(금) 17:40
진보당 광주시당이 홈플러스 사태의 장기화를 막기 위해 정부가 전면에 나서 ‘정상화 인수합병’ 절차를 즉시 가동하라고 요구했다.

시당은 7일 성명을 통해 기업회생 장기화 시 노동자와 입점·협력업체, 지역 상권까지 동시 타격이 불가피하다며 “공공성이 담보된 인수 주체 선정과 정부 주도의 조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시당은 홈플러스가 전국 123개 점포와 10만여 명 고용을 떠받치는 유통 인프라인 동시에, 연간 약 2조 원 규모의 농축산물 직거래 창구라는 점을 들어 “청산 시 대량 실직과 납품망 붕괴, 지역 상권 공동화가 한꺼번에 발생한다”고 경고했다.

국민연금이 사모펀드 MBK를 통해 투자한 9000억 원 손실 가능성과 실업 급증에 따른 사회적 비용 확대를 거론하며 “파급 범위가 단일 기업의 경영 실패를 넘어선다”고 강조했다.

자금 구조에 대한 문제 제기도 이어졌다.

시당은 MBK가 인수 이후 알짜 점포 매각과 세일앤리스백 전환으로 부채 상환을 진행하는 한편, 고율 이자·배당 구조가 영업이익을 외부로 유출시켜 회사 체력을 급속히 저하시켰다고 주장했다.

인수에 투입된 자본이 370억 원 수준인 반면 10년간 1조2000억 원가량의 수익을 거뒀다는 점을 사례로 들며 “해외 투자 비중이 높은 특성상 자금 유출 의혹이 크다”고 비판했다.

최근 시장에 나온 인수의향에 대해서도 “자격과 능력이 불분명하다”며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시당은 정부가 직접 매각 틀을 설계하고 농협 등 책임 경영이 가능한 유통사 중심으로 후보를 압축해 정상화 M&A를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핵심은 고용 유지와 납품망 안정, 지역 상권 보호를 계약 조건과 이행 담보 장치로 명문화해 ‘빠른 거래’가 아닌 ‘지속 가능한 인수’를 성사시키는 것이라는 설명이다.

시당은 “시간이 없다. 정부가 즉시 개입해 이해관계자 협의체를 꾸리고 재무·법률 실사를 기반으로 한 로드맵을 제시해야 한다”며 “고용·유통 생태계·연금 자산을 함께 지키는 해법을 마련할 때까지 지역 정당과 시민사회가 감시와 연대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762504800791628372
프린트 시간 : 2025년 11월 07일 23:2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