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립수목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본인증 우수 등급…무장애 정원으로 한 단계 도약
설계 단계 예비인증(2021년 6월) 이어 본인증 획득…접근성·안전성·이용 편의성 전반 개선
![]() 광주시립수목원 전경. <광주시 제공> |
광주시가 시립수목원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 본인증을 확보했다.
6일 광주시에 따르면 시립수목원은 설계 단계에서 기준을 반영해 2021년 6월 예비인증을 받았고, 공사 완료 후 현장 점검과 보완을 거쳐 한국장애인개발원으로부터 본인증 우수 등급을 취득했다.
어린이와 노인, 장애인, 임산부 등 누구나 불편 없이 이용하는 무장애 정원으로의 전환을 제도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것이 광주시의 설명이다.
BF 인증은 시설의 계획·설계·시공·관리 전 과정을 평가해 예비인증과 본인증을 부여하는 제도다.
심사에서는 접근성, 안전성, 이용 편리성 등이 복합적으로 검토됐다.
이번 본인증은 방문자센터와 전시온실, 화장실 등 핵심 동선을 포함한 내외부 전반의 개선 노력으로 이어졌다.
화장실 접근 경사로를 재조정해 휠체어와 유모차의 진입 부담을 줄였고, 보행로 주변 배수로 덮개를 정비해 바퀴가 걸리는 위험을 없앴다.
한국정원과 산책로 구간에는 손잡이와 안전난간을 보강해 경사와 굴곡 구간에서도 이동이 끊기지 않도록 했다. 안내 표지의 가독성과 위치도 손봐 첫 방문객이 길 찾기를 수월하게 했다.
이번 인증을 계기로 시는 계절별 혼잡 시간대 동선 관리와 음성 안내, 촉지도 확대 등 세부 운영도 정교화할 방침이다.
정준호 수목원·정원사업소장은 모든 시민이 즐길 수 있는 무장애 수목원을 목표로 한 노력이 결실을 맺었다며, 방문객의 편의와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삼아 관리 수준을 꾸준히 높이겠다고 밝혔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6일 광주시에 따르면 시립수목원은 설계 단계에서 기준을 반영해 2021년 6월 예비인증을 받았고, 공사 완료 후 현장 점검과 보완을 거쳐 한국장애인개발원으로부터 본인증 우수 등급을 취득했다.
어린이와 노인, 장애인, 임산부 등 누구나 불편 없이 이용하는 무장애 정원으로의 전환을 제도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것이 광주시의 설명이다.
심사에서는 접근성, 안전성, 이용 편리성 등이 복합적으로 검토됐다.
이번 본인증은 방문자센터와 전시온실, 화장실 등 핵심 동선을 포함한 내외부 전반의 개선 노력으로 이어졌다.
화장실 접근 경사로를 재조정해 휠체어와 유모차의 진입 부담을 줄였고, 보행로 주변 배수로 덮개를 정비해 바퀴가 걸리는 위험을 없앴다.
이번 인증을 계기로 시는 계절별 혼잡 시간대 동선 관리와 음성 안내, 촉지도 확대 등 세부 운영도 정교화할 방침이다.
정준호 수목원·정원사업소장은 모든 시민이 즐길 수 있는 무장애 수목원을 목표로 한 노력이 결실을 맺었다며, 방문객의 편의와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삼아 관리 수준을 꾸준히 높이겠다고 밝혔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