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호남발전특위, 한국마이크로의료로봇연구원서 현장 회의…“AI+의료로봇, 광주 신성장축으로”
바람길·숲길·물길 연계 지속가능 전략 점검…침수 피해 후속 대책과 2~3년 내 의료마이크로로봇 상용화 논의
![]() 더불어민주당 호남발전특위 이병훈 수석부위원장이 28일 한국마이크로의료로봇연구원을 방문해 연구원들의 설명을 듣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호남발전특위 제공> |
더불어민주당 호남발전특위가 광주 발전을 위해 산업 구조의 폭을 넓혀 첨단의료·정밀기술과 인공지능을 결합하는 새 성장축을 모색한다.
민주당 호남특위 광주 위원회는 28일 한국마이크로의료로봇연구원에서 현장 회의를 열고 생태 기반 도시전략과 의료로봇 산업화 로드맵을 점검했다.
이날 회의에는 이병훈 수석부위원장을 비롯해 박종오 연구원장과 특위 위원,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김영우 영산강환경유역청장, 윤희철 한국지속가능발전센터장, 송태갑 전 광주전남연구원 수석연구위원, 송재열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전문위원이 특강을 맡아 바람길과 숲길, 물길을 연계한 지속가능 성장 전략을 제안했다,
이 자리에서 여름 집중호우로 드러난 침수 취약 구간을 중심으로 홍수 예방과 수질 개선, 친환경 수자원 관리, 생태관광 자원화 방안을 논의했다.
현장 간담회에서는 의료마이크로로봇과 정밀의료기기 개발 현황, 기업·병원·연구기관 협력 체계 강화가 핵심 의제로 다뤄졌다.
참석자들은 광주의 인공지능 역량과 정밀가공 기술이 의료로봇과 결합할 경우 데이터 기반 진단과 맞춤형 치료, 원격·초정밀 시술 분야에서 빠른 상용화가 가능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연구원 측은 동종 분야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혈관 치료, 대장내시경, 줄기세포 전달 등 다양한 임상 영역에서 2~3년 안에 상용 단계 진입이 가능하다고 내다봤다.
특위는 연구개발과 임상·인증, 실증·양산까지 이어지는 전 주기 지원 체계를 점검하고, 지역 대학·병원과의 공동 연구 및 시험평가 인프라 연계를 확대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이번 논의를 발판으로 AI 데이터와 의료현장의 수요를 연결하는 테스트베드를 정비하고, 기업 유치와 인력 양성, 규제 해소를 패키지로 추진해 첨단산업 중심도시로의 전환 속도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이병훈 수석부위원장은 “지금은 광주가 산업의 폭을 넓히고 성장축을 첨단산업 중심으로 재편해야 할 시점”이라며 “AI와 의료기술의 결합을 통해 미래 헬스케어를 선도하는 동력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어 “집중호우와 홍수 피해를 겪은 만큼 생태적 자산을 활용한 도시 회복력과 안전 대책을 병행해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덧붙였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민주당 호남특위 광주 위원회는 28일 한국마이크로의료로봇연구원에서 현장 회의를 열고 생태 기반 도시전략과 의료로봇 산업화 로드맵을 점검했다.
이날 회의에는 이병훈 수석부위원장을 비롯해 박종오 연구원장과 특위 위원,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여름 집중호우로 드러난 침수 취약 구간을 중심으로 홍수 예방과 수질 개선, 친환경 수자원 관리, 생태관광 자원화 방안을 논의했다.
현장 간담회에서는 의료마이크로로봇과 정밀의료기기 개발 현황, 기업·병원·연구기관 협력 체계 강화가 핵심 의제로 다뤄졌다.
연구원 측은 동종 분야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혈관 치료, 대장내시경, 줄기세포 전달 등 다양한 임상 영역에서 2~3년 안에 상용 단계 진입이 가능하다고 내다봤다.
특위는 연구개발과 임상·인증, 실증·양산까지 이어지는 전 주기 지원 체계를 점검하고, 지역 대학·병원과의 공동 연구 및 시험평가 인프라 연계를 확대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이번 논의를 발판으로 AI 데이터와 의료현장의 수요를 연결하는 테스트베드를 정비하고, 기업 유치와 인력 양성, 규제 해소를 패키지로 추진해 첨단산업 중심도시로의 전환 속도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이병훈 수석부위원장은 “지금은 광주가 산업의 폭을 넓히고 성장축을 첨단산업 중심으로 재편해야 할 시점”이라며 “AI와 의료기술의 결합을 통해 미래 헬스케어를 선도하는 동력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어 “집중호우와 홍수 피해를 겪은 만큼 생태적 자산을 활용한 도시 회복력과 안전 대책을 병행해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덧붙였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