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경총 “청년 유출 막기 위해 국비 지원 사업 개선해야”
광주 일경험드림 사업, 단기 인력 활용으로 한계…대책 제시
“정규직 전환·고용 지원금 등 확대로 취업까지 연계 필요해”
2025년 10월 27일(월) 19:00
광주경영자총협회(광주경총)은 지난 6월 광주 인구 140만명 붕괴와 관련해 “청년 유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27일 주장했다.

광주경총은 광주시와 전남대 산학협력단이 운영하고 있는 일경험드림 사업의 한계점을 지적하고 추가 지원책을 제시했다.

광주 일경험드림사업은 지역 미취업 청년과 기업을 연계해 일 경험을 제공해 소득을 보장하고 안정적인 취업으로 이어지도록 돕는 일자리 디딤돌 사업이다. 광주시가 국비 공모 사업으로 진행하며 인건비 90%를 시(市)비로, 나머지 10%와 기타 간접비용을 기업에서 부담하고 있다.

광주경총은 “일 경험 사업은 기간이 정해져 있어 기업 입장에서 청년을 단순한 단기 노동력으로 활용하는 데 그치게 된다”며 “직무 경험이 없는 청년에게 업무를 가르치는 과정에서 시간·인력이 투입돼 인력·재정이 부족한 중소기업에 큰 부담이 된다”고 강조했다.

경총은 이어 “정부와 지자체 지원 사업의 특성상 인건비 신청, 정산, 보고서 작성, 청년 관리 등 복잡하고 반복적인 행정 절차와 서류 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며 “청년들이 심화된 직무 역량을 쌓기보다 단순 보조 업무에 그치는 경우 사업 취지를 살리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광주경총은 2년 전 해당 사업 수행 기관으로 참여해 회원사와 미취업 청년을 연계하며 느꼈던 아쉬운 점을 토대로 청년 채용을 늘리기 위한 지원책을 제시했다.

광주경총은 “기업이 단기 인력 활용을 넘어 채용까지 고려하도록 정규직 전환 시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며 “사업 종료 후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할 경우 추가적인 고용 지원금을 최소 6개월 이상 지급해 기업의 초기 인건비 부담을 대폭 낮춰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고용 유지 지원금, 사업 참여 청년 정규직 전환 기업에 법인세·소득세 감면 등 세제 혜택 제공, 직무 교육 콘텐츠 제공, 채용 전 상담, 서류·행정 절차 간소화 등을 제시했다.

광주경총 관계자는 “지역 청년 유출 문제 해결을 위해 일자리 확충과 청년 참여 확대, 정주 여건 개선 등 다각적이고 지속적인 정책 전환이 필수”라면서 “인력과 재정이 취약한 소규모 기업에 지원 확대 등 기업 규모별 차별화된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761559200791037005
프린트 시간 : 2025년 10월 28일 01:47: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