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컴퓨팅센터 광주·전남 상생 모델로 만들자
2025년 10월 23일(목) 00:20
국가 AI(인공지능) 컴퓨팅센터가 전남 서남권 일대 기업도시인 솔라시도로 잠정 결정됐다. 연말까지 기술·정책 평가와 금융심사라는 2단계 절차가 남아있지만 삼성SDS 컨소시엄이 단독 입찰한 만큼 사실상 후보지가 결정된 것이나 마찬가지다.

유치전을 벌인 광주시와 전남도는 결과를 놓고 명암이 엇갈렸다. 대통령 공약사업을 믿고 있던 광주시는 결과가 믿기지 않는다며 허탈해 하고 있다. 강기정 시장을 중심을 각계 대표들이 긴급 대책회의를 갖은데 이어 강 시장이 정청래 민주당 대표를 방문해 광주시민들의 입장을 전달하며 재고를 요청할 정도로 파장이 만만치 않다. 광주지역 국회의원들도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유치 실패에 유감을 표시하면서 정부에 대안을 촉구했다. ‘AI 중심도시 광주’를 믿고 입주한 AI 기업들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광주 지역사회가 상실감을 느끼는 것은 당연하다. 광주는 일찍이 AI 중심도시를 표방하고 3단계 프로젝트를 추진해 왔다. 1단계 국가 AI데이터센터 가동에 이어 올해부터 2단계인 실증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3단계로 AI컴퓨팅센터를 유치하려던 계획에 차질이 생겼으니 상실감과 불안감을 갖는 것도 이해할만 하다.

그렇다고 이제 와서 되돌릴 수는 없다. 국책사업인데 기업의 요구를 너무 들어준 것 아니냐. 대통령 공약사업인데 어떻게 이럴수 있느냐는 지적도 일리가 있다. 하지만 사업 성공에 초점을 두자면 기업들의 선택을 탓할 수 없고 정부가 나서 조정할 수도 없는 일이다. 정부는 사업 성공을 위해 민간 지분을 70%로 늘렸고 기업은 저렴한 부지와 풍부한 전력 및 용수를 선택한 것이다.

지금부터가 중요하다. 광주는 결과를 받아들이고 전남과 상생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하드 인프라는 전남에 가지만 AI 인력과 연구, 서비스 실증과 같은 두뇌 역할은 광주가 맡도록 해야 한다. 그래서 정부의 역할이 더 중요하게 됐다. 어찌됐건 국책사업인 만큼 손놓고 있지 말고 전남의 하드 인프라와 광주의 소프트 인프라가 잘 연결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광주 국회의원들이 요구한 국가 AI데이터센터 용량 업그레이드와 국가 AI연구소(가칭) 광주 설립 등 대안도 적극적으로 수용하길 바란다.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761146400790848074
프린트 시간 : 2025년 10월 23일 05:1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