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송전선로 지원금 갈등…시골마을이 시끄럽다
무안 망운면 마을 간 지원액 1억 이상 차이 나고 불투명 사용 정황 논란
한전 “증빙 후 지급” 해명…주민들 “대책위원장이 유용” 감사·수사 촉구
2025년 10월 20일(월) 15:10
망운면 정착마을 송전탑 공사현장.
무안군 망운면 일대에서 추진 중인 한국전력공사(한전)의 154㎸ 무안운남~신안읍동 송전선로 건설공사가 특별지원금(상생발전기금) 집행을 둘러싸고 논란에 휩싸였다.

한전이 각 마을에 수억원을 지원했지만 마을 간 지원액이 최대 1억원 이상 차이 나고, 일부 지원금은 불투명하게 사용된 정황이 드러나면서 주민들 사이에서 감사원의 감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운남면 10개 마을은 마을당 3억4000만원씩 일괄 지급된 반면, 망운면 6개 마을은 3억5000만원에서 4억5000만원까지 차등 지급된 것으로 확인됐다.

보상대책위원회 관계자는 “보상 기준이 명확하지 않고, 세대 수와 관계없이 금액이 제각각”이라며 “일부 마을은 대상이 아닌데도 지원금을 받았다”라고 말했다.

초반에는 공사 완료 후 증빙서류 제출이 의무였지만, 이후에는 서류만 제출해도 지원금이 지급되는 등 관리가 느슨해졌다는 게 주민들의 주장이다.

일부 마을에서는 지원금이 농기계나 차량 구입 명목으로 지급됐다가 현금화되는 사례도 있었다는 증언도 나왔다.

더 큰 문제는 대책위원회의 이해충돌 의혹이다.

망운면 보상대책위원회는 현직 이장단장과 전직 의원이 공동위원장으로 참여하고 있다.

주민들은 “위원장이 자신의 친인척과 거래를 통해 지원금을 유용했다”라고 주장했다.

실제로 한 공동위원장은 지난해 조카 등과 함께 영농법인을 설립한 뒤, 장재마을이 받은 4억3000만원 중 3억3000여만원을 사용해 본인 명의의 토지를 ‘마을 공동토지’로 위장 매입한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거래는 주변 시세보다 3배 이상 비싼 금액에 이뤄진 것으로 알려져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일부 마을에서는 “보상액을 더 받게 해줬다”라며 대책위 측에 ‘수고비’ 명목으로 3000만원을 전달한 정황도 드러났다.

주민 송모(60) 씨는 “세대당 600만원씩 책정된 지원금 중 세금 명목으로 100만원이 공제됐고, 대책위가 수고비까지 떼어 갔다”라며 “근거 없는 공제와 세대 수 부풀리기가 있었다”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한전 관계자는 “특별지원사업비는 증빙자료를 제출한 뒤 지급하고 있으며, 사후 관리는 지역 위원회에서 담당한다”라며 “관리 인력 부족으로 전수 확인이 어려운 실정”이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주민들은 “상생기금이 일부 인사의 사익을 위한 도구로 변질됐다”라며 감사원 감사와 수사 착수를 요구하고 있다.

지역 시민단체 관계자는 “이번 사안을 방치하면 전국 공공사업에서도 같은 문제가 반복될 것”이라며 “지원금은 공개된 메뉴얼 따라 법제화 해야한다”라고 말했다.

/무안=김민준 기자 jun@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760940600790709148
프린트 시간 : 2025년 10월 20일 20:57: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