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길 바쁜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재가동 앞두고 갈림길…조속한 노사 합의만이 돌파구
노조 쟁의권 확보 속 재가동 불투명…노사 상생 해법 절실
화재 후 1공장 재가동·함평 신공장·유럽 등 관세 압박 등 과제
노조, 쟁의행위 투표 93.65% 가결에도 협상 여지는 남아 있어
2025년 10월 14일(화) 19:20
금호타이어가 광주공장 관계자가 10월 재가동을 위해 성형기 시범 가동을 하고 있다. <금호타이어 제공>
지난 5월 화재로 가동이 중단된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의 이번 중순 재가동 일정이 노조의 쟁의 행위(파업) 투표 가결로 차질을 빚고 있다.

광주공장 정상화는 지역 경제를 위해서도 시급한 과제로, 지역경제계에선 신속한 노사 합의를 통해 공장 재가동을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4일 금호타이어 노사에 따르면 전국금속노조 금호타이어지회는 지난 12∼13일 쟁의행위 찬반 투표를 하고 전체 조합원 3493명 중 3261명이 투표해 93.65%(3054명)의 찬성률로 파업을 가결했다.

광주공장은 지난 5월 발생한 화재로 생산이 전면 중단된 이후 설비 복구와 안전 점검을 거쳐 10월 추석 연휴 이후 단계적 재가동을 준비해 왔다. 하지만 노사 협상이 난항을 겪으면서 재가동 일정이 미뤄지고 있다.

금호타이어는 광주공장 복구 외에도 여러 과제를 동시에 안고 있다는 점에서 노사 간 원만한 합의가 절실한 상황이다.

지난 5월 화재 피해로 자금난 등을 겪고 있는 금호타이어는 함평 공장 신축과 함께 미국·유럽 등의 ‘관세 전쟁’에서도 수출 경쟁력을 확보해야 하는 등 국내외적으로 ‘삼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특히 노조 합의 지연 등으로 생산 차질이 장기화할 경우 국내 물량은 물론 해외 수주와 공급망 확대 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일단 노사 모두 공장 재가동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는 점은 긍정적 요인이지만, 구체적인 합의점에서 간극이 크다는 게 문제다.

노조는 “미국 관세 등 사측이 주장하는 대내외적 환경을 감안하더라도 임금인상(기본급 14만 1300원 인상 및 지난해 실적달성 성과급 지급) 등 실적 배분 여력이 충분한 경영 환경”이라는 입장인 반면, 사측은 “회사의 회복을 위해 협력적 대화가 우선돼야 한다”는 주장을 고수하고 있다.

노조는 당초 이날 쟁의대책위원회를 소집해 파업 여부를 결정하려고 했지만, 사측이 교섭을 요청함에 따라 파업 여부 결정을 연기하고 당분간 논의를 이어가기로 결정한 상태다.

금호타이어 노조 관계자는 “진정성 있게 사측과의 교섭에 임할 것”이라며 “그럼에도 사측이 주어진 시간 안에 끝까지 결단하지 못한다면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측 관계자는 “회사는 끝까지 성실히 교섭에 나설 것이며 모든 구성원의 고용 약속을 지키고 회사를 다시 일으켜 세우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역 경제계는 화재 복구와 공장 재가동, 함평 신공장, 해외 관세라는 ‘삼중고’에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노사 간 대화와 내부 단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신속하고 원만한 해결을 독려하고 있다.

광주경영자총협회 관계자는 “화재의 아픔을 딛고 10월 중 공장 재가동이라는 노사정의 약속이 채 이행되기도 전에 또다시 갈등이 불거져 매우 안타깝다”며 “회사의 명운을 건 과제가 산적한 상황에서 내부 갈등으로 ‘골든 타임’을 놓쳐서는 안 될 것”이라고 우려를 표명했다.

또 다른 지역 경제계 관계자는 “지금은 ‘노사가 한배를 타고 있다’는 공동체 의식으로 위기 극복에 힘을 모아야 할 때”라면서 “이견은 잠시 접어두고 ‘공장 정상화와 미래 생존’이라는 대의를 위해 즉시 대화 테이블에 마주 앉아 상생의 해법을 찾길 바란다”고 제언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760437200790463005
프린트 시간 : 2025년 10월 15일 02:3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