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표방 광주 공원묘지, 플라스틱 조화 ‘골머리’
영락·망월묘지공원 조화 반입 전면 금지에도 추모객 대다수 들고와
환경오염 우려 속 광주도시공사 “법적 근거 없어 강제수거도 어려워”
환경오염 우려 속 광주도시공사 “법적 근거 없어 강제수거도 어려워”
![]() 추석을 닷새 앞둔 지난 1일 광주시 북구 영락공원에 성묘객들이 두고 간 조화 꽃다발이 잔뜩 놓여져 있다. |
추석 명절을 맞아 광주 영락공원, 망월묘지공원 등에 추모객 발길이 이어지는 가운데 묘에 놓인 ‘플라스틱 조화’가 논란이 되고 있다.
광주도시공사가 지난해 설부터 오랫동안 썩지 않고 토양 오염, 탄소 배출 증가 등 환경 문제를 초래한다며 영락·망월묘지공원 내 플라스틱 조화 반입을 전면 금지했지만, 추모객 대다수가 여전히 묘에 조화를 놓고 있어서다. 추모객들 사이에서는 “열흘도 못 가 시들어버리는 생화를 비싸게 주고 구입하느니, 조금이라도 추모의 마음이 더 오래 남는 조화를 쓰고 싶은 마음”이라며 도시공사의 조치에 불만을 드러내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1일 광주시 북구 효령동 영락공원과 북구 수곡동 망월묘지공원 등지의 묘에는 플라스틱 조화가 곳곳에 놓여 있었다.
영락공원 철쭉묘자연장의 경우 1층 단에 놓인 100여개 꽃 중 어림잡아 80여개가 조화였다. 청마루묘역에도 비슷한 비율로 조화가 가득 꽂혀있었다. 일부 조화는 지난 명절이나 기념일부터 있었던듯 색이 바래거나 해진 상태였다. 망월묘지공원도 꽃이 놓인 묘 10개 중 8~9개는 조화일 정도로 조화 비율이 높았다.
각 묘지에는 광주도시공사가 ‘공원 내 플라스틱 조화 반입을 전면 금지’ 현수막을 곳곳에 내걸었지만, 추모객들은 여전히 조화를 들고 묘지를 찾아오고 있었다.
추모객들은 환경 문제도 이해하지만, 생화 관리가 어렵고 쉽게 썩어 벌레가 꼬이거나, 가격대가 비싼 것도 고려해줘야 한다는 반응이었다.
영락공원 내 철쭉묘자연장을 찾은 유상미(여·45)씨는 조화(5000원)를 사서 시아버지 묘를 찾았다. 유씨는 “생화는 시들어버리고 바람에 날아가는데다 생화 가격이 두 배 이상 비싸기 때문에 늘 조화를 사서 온다”고 말했다.
망월묘지공원을 찾은 한영규(65)씨도 아버지 묘지에 놓으려 조화로 된 2만 5000원짜리 작약 화분을 샀다가, 광주도시공사 현수막을 보고 생화 국화 꽃다발로 교환했다고 한다. 한씨는 “조화를 구입하면 취향껏 꽃을 구매할 수도 있고, 관리도 편해 자주 이용해 왔다”며 “묘지를 자주 찾아오지 못하니 조화를 둬 왔는데, 아예 공원 내 반입을 금지한다고 엄포를 놓으니 하는 수 없이 생화로 바꿨다”고 말했다.
묘지 인근에서 꽃을 판매하는 상인들도 조화를 구입하는 이들이 많은데 무작정 반입을 금지하니 답답하다는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영락공원 인근에서 꽃집을 운영하는 40대 송희정씨는 “조화를 금지하면서 매출 타격이 크다. 조화는 한 번에 네다발씩 사 가는데 생화는 금방 시들다 보니 한 두송이 정도만 사기 때문에 매출이 하락하고 있다”며 “조화 반입을 금지한 이후로 매출이 전년 대비 체감상 30%씩 떨어지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인근에서 꽃집을 운영하는 50대 김선희씨는 “조화는 생화에 비해 두배 이상 더 잘 팔린다. 영락공원에 가는 가족들도 안 썩기 때문에 조화를 선호했다”며 “도시공사에서도 전국적으로 조화를 금지한다는 취지라 어쩔 수 없다는 답변을 들었다. 하는 수 없이 생화 판매에 집중하고 있지만 답답한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반면 도시공사 측은 매번 명절 때마다 묘지에 쌓이는 플라스틱 조화로 지나치게 많은 폐기물이 발생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플라스틱 조화는 시간이 지나면 빛이 바래거나 훼손돼 결국 쓰레기로 처리돼야 하며, 전문 처리업체를 통해 수거·소각해야 해 처리도 번거롭고 환경 오염 우려도 크다는 것이다.
도시공사 측에서 묘에 놓인 조화를 임의로 처리하기 어렵다는 점도 환경오염 우려를 키우고 있다. 묘에 놓인 꽃은 유족의 사유재산인 만큼 섣불리 폐기 처분할 수 없다는 것이 도시공사 측 설명이다. 도시공사는 오는 11월부터는 묘지 내 설치된 플라스틱 조화를 전량 수거할 계획을 세웠지만 이마저도 법적 근거가 없어 강제로 수거하거나 판매를 막을 수는 없는 상황이다.
결국 묘지 앞에서 국화 생화를 추모객들에게 나눠주는 등 캠페인을 통해 생화 반입을 권장하는 것 이상 적극적으로 조화 반입을 막을 수 없는 것이 현실이라는 것이다.
광주도시공사 전갑용 공원사업팀 망월묘지소장은 “플라스틱 조화 반입 제한은 법적 근거가 마련돼야 강제할 수 있는 사안인데 현재 관련 법안이 통과가 안돼서 당장은 권고 수준으로 홍보와 계도를 병행하고 있다”며 “향후 관련 제도나 법안 제정을 추진해 일정 유예기간을 거쳐 묘지 내에 설치된 조화는 권고 후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안을 추진 중이다”고 말했다.
지역 환경단체도 묘지마다 조화 쓰레기가 잔뜩 쌓여 있는 것이 비단 최근의 일이 아니라는 지적을 내놨다. 묘지공원의 환경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조화가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이 시민들에게 널리 알려져야 하며, 조화 사용을 법적으로 제한하는 등 제도적인 보완도 서둘러야 한다는 것이 환경단체 주장이다.
이정래 환경실천연합회 전남본부 환경운영위원장은 “겉으로는 화려해 보여도 결국 플라스틱이고, 분리수거도 안 돼 토양에 미치는 악영향이 상당하다”며 “오랫동안 시민들 곁에 남을 공원으로 남기 위해서는 시민들이 나서서 조화를 지양하는 등 인식 개선이 절실하고 관련 제도 개선도 시급하다”고 말했다.
/글·사진=양재희 기자 heestory@kwangju.co.kr
/서민경 기자 minky@kwangju.co.kr
광주도시공사가 지난해 설부터 오랫동안 썩지 않고 토양 오염, 탄소 배출 증가 등 환경 문제를 초래한다며 영락·망월묘지공원 내 플라스틱 조화 반입을 전면 금지했지만, 추모객 대다수가 여전히 묘에 조화를 놓고 있어서다. 추모객들 사이에서는 “열흘도 못 가 시들어버리는 생화를 비싸게 주고 구입하느니, 조금이라도 추모의 마음이 더 오래 남는 조화를 쓰고 싶은 마음”이라며 도시공사의 조치에 불만을 드러내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영락공원 철쭉묘자연장의 경우 1층 단에 놓인 100여개 꽃 중 어림잡아 80여개가 조화였다. 청마루묘역에도 비슷한 비율로 조화가 가득 꽂혀있었다. 일부 조화는 지난 명절이나 기념일부터 있었던듯 색이 바래거나 해진 상태였다. 망월묘지공원도 꽃이 놓인 묘 10개 중 8~9개는 조화일 정도로 조화 비율이 높았다.
추모객들은 환경 문제도 이해하지만, 생화 관리가 어렵고 쉽게 썩어 벌레가 꼬이거나, 가격대가 비싼 것도 고려해줘야 한다는 반응이었다.
영락공원 내 철쭉묘자연장을 찾은 유상미(여·45)씨는 조화(5000원)를 사서 시아버지 묘를 찾았다. 유씨는 “생화는 시들어버리고 바람에 날아가는데다 생화 가격이 두 배 이상 비싸기 때문에 늘 조화를 사서 온다”고 말했다.
망월묘지공원을 찾은 한영규(65)씨도 아버지 묘지에 놓으려 조화로 된 2만 5000원짜리 작약 화분을 샀다가, 광주도시공사 현수막을 보고 생화 국화 꽃다발로 교환했다고 한다. 한씨는 “조화를 구입하면 취향껏 꽃을 구매할 수도 있고, 관리도 편해 자주 이용해 왔다”며 “묘지를 자주 찾아오지 못하니 조화를 둬 왔는데, 아예 공원 내 반입을 금지한다고 엄포를 놓으니 하는 수 없이 생화로 바꿨다”고 말했다.
묘지 인근에서 꽃을 판매하는 상인들도 조화를 구입하는 이들이 많은데 무작정 반입을 금지하니 답답하다는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영락공원 인근에서 꽃집을 운영하는 40대 송희정씨는 “조화를 금지하면서 매출 타격이 크다. 조화는 한 번에 네다발씩 사 가는데 생화는 금방 시들다 보니 한 두송이 정도만 사기 때문에 매출이 하락하고 있다”며 “조화 반입을 금지한 이후로 매출이 전년 대비 체감상 30%씩 떨어지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인근에서 꽃집을 운영하는 50대 김선희씨는 “조화는 생화에 비해 두배 이상 더 잘 팔린다. 영락공원에 가는 가족들도 안 썩기 때문에 조화를 선호했다”며 “도시공사에서도 전국적으로 조화를 금지한다는 취지라 어쩔 수 없다는 답변을 들었다. 하는 수 없이 생화 판매에 집중하고 있지만 답답한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반면 도시공사 측은 매번 명절 때마다 묘지에 쌓이는 플라스틱 조화로 지나치게 많은 폐기물이 발생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플라스틱 조화는 시간이 지나면 빛이 바래거나 훼손돼 결국 쓰레기로 처리돼야 하며, 전문 처리업체를 통해 수거·소각해야 해 처리도 번거롭고 환경 오염 우려도 크다는 것이다.
도시공사 측에서 묘에 놓인 조화를 임의로 처리하기 어렵다는 점도 환경오염 우려를 키우고 있다. 묘에 놓인 꽃은 유족의 사유재산인 만큼 섣불리 폐기 처분할 수 없다는 것이 도시공사 측 설명이다. 도시공사는 오는 11월부터는 묘지 내 설치된 플라스틱 조화를 전량 수거할 계획을 세웠지만 이마저도 법적 근거가 없어 강제로 수거하거나 판매를 막을 수는 없는 상황이다.
결국 묘지 앞에서 국화 생화를 추모객들에게 나눠주는 등 캠페인을 통해 생화 반입을 권장하는 것 이상 적극적으로 조화 반입을 막을 수 없는 것이 현실이라는 것이다.
광주도시공사 전갑용 공원사업팀 망월묘지소장은 “플라스틱 조화 반입 제한은 법적 근거가 마련돼야 강제할 수 있는 사안인데 현재 관련 법안이 통과가 안돼서 당장은 권고 수준으로 홍보와 계도를 병행하고 있다”며 “향후 관련 제도나 법안 제정을 추진해 일정 유예기간을 거쳐 묘지 내에 설치된 조화는 권고 후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안을 추진 중이다”고 말했다.
지역 환경단체도 묘지마다 조화 쓰레기가 잔뜩 쌓여 있는 것이 비단 최근의 일이 아니라는 지적을 내놨다. 묘지공원의 환경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조화가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이 시민들에게 널리 알려져야 하며, 조화 사용을 법적으로 제한하는 등 제도적인 보완도 서둘러야 한다는 것이 환경단체 주장이다.
이정래 환경실천연합회 전남본부 환경운영위원장은 “겉으로는 화려해 보여도 결국 플라스틱이고, 분리수거도 안 돼 토양에 미치는 악영향이 상당하다”며 “오랫동안 시민들 곁에 남을 공원으로 남기 위해서는 시민들이 나서서 조화를 지양하는 등 인식 개선이 절실하고 관련 제도 개선도 시급하다”고 말했다.
/글·사진=양재희 기자 heestory@kwangju.co.kr
/서민경 기자 minky@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