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풍력 강행 안된다”…고흥 어업인들 반대 집회
1000여명 군청앞 궐기대회…“허울뿐인 에너지 연금으로 수산업 피해”
고흥군 “어민 생존권과 지역 미래를 지킬 수 있는 길 되도록 함께 논의”
고흥군 “어민 생존권과 지역 미래를 지킬 수 있는 길 되도록 함께 논의”
![]() 고흥군 해상풍력 반대 대책 추진위원회가 지난 23일 고흥군청 앞 광장에서 어업인 등 1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해상풍력 결사 반대 및 생존권 사수’ 총궐기 대회를 개최했다./주각중 기자 gjju@kwangju.co.kr |
고흥군 어업인들이 고흥군 해역의 풍력 발전 건설을 강력히 반대하며 집단 행동에 나섰다.
고흥군 해상풍력 반대 대책 추진위원회(위원장 이홍재 고흥군 수협 조합장. 이하 반대위원회)는 23일 고흥군청 앞 광장에서 고흥군 수협, 나로도 수협 임직원과 어촌계장, 고흥군 어민 자생단체장, 어업인 등 1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어민 의견 무시한 일방적인 해상풍력 결사 반대 및 생존권 사수‘ 총궐기 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궐기대회에서 반대위원회는 고흥군의 일방적인 해상풍력 추진은 구조적 차별이며 바다는 어업인의 삶 자체라며 해상풍력 강행은 절대 안 된다고 강조했다.
반대위원회는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가 조성될 경우 어장의 상실과 황폐화는 물론 조업 구역이 축소될 것이며, 특히 해양 수산물 서식지 파괴로 인한 수산업의 피해는 불 보듯 뻔하다면서 허울뿐인 고흥군의 바람 에너지 연금 피해는 오롯이 어업인 몫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반대위원회는 고흥 청정 해역은 낙지, 문어, 농어, 멸치, 장어, 우럭, 김, 미역, 다시마 등 다양한 수산물이 어우러진 복합 어업 전진기지로서 전국 최고 수준의 황금어장 터이자 어획, 양식, 채취 등 복잡하게 얽힌 수산물 생산 핵심 해역이다. 이러한 해역에 수백 개의 바람개비 해상풍력 단지를 설립하겠다는 발상 자체가 좁은 바다를 더 좁게 만들고 어민과 지역 간 갈등을 유발하며 해양 질서를 뒤흔드는 행위일 뿐이다.
특히 고흥군이 주장하는 해상풍력 ‘3대 원칙 7대 전략’은 ▲민주, 투명, 객관성 확보 ▲수산업과의 공존 ▲군민 에너지 연금 확보 등으로 포장되어 있지만, 그 어떤 것도 실현되기 어려운 허울뿐인 주장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고흥군에서는 직접 이해당사자인 어업인들은 사지로 내몰고, 근거가 명확치 않은 발전수익을 연금화하여 군민에게 돌려주겠다고 호도 하면서 어민이 아닌 일반 군민들에게는 연금을 준다는 희망을 주고, 반대하는 어민들에게는 소외감과 상실감을 주고 있다.
따라서 고흥군은 63회에 걸쳐 설명회와 간담회를 열었다고 홍보하지만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된 소수 인원의 동의는 극히 형식적 절차에 불과하다며, 설명회나 간담회가 정당한 절차에 따라 진행하였다면 언제, 장소는 어디며 설명 내용과 참석자들의 동의 여부를 모두 공개하라고 주장했다.
반대위원회는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무조건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면서 해양환경과 수산자원에 피해를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어업 활동에 대한 영향을 충분히 고려하고 어업인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관련 절차에 따라 정상적으로 추진할 것을 촉구했다.
이날 궐기대회에 참가한 어업인들은 풍력 발전 결사 반대 등 구호를 외치며 윤호21병원, 고흥종합터미널, 고흥농협 하나로마트를 돌아 시가행진을 한 후 군청 앞 광장에서 자진 해산했다.
한편 고흥군은 해양풍력 추진 과정에서 ▲지속적인 어업 활동 보장 ▲정당한 보상 ▲어업 소득의 보존 등 3대 원칙을 반드시 준수하겠다면서 민간 사업에 대해서도 어민 의견을 최우선으로 존중할 방침이며, 특히 김 양식장에 민간 해상풍력 단지는 어민 의견에 따라 공공 개발 대상에서 제외했다고 밝혔다.
군 신재생에너지과 관계자는 “향후 3년간 「해상풍력 공존 대책 위원회」 구성을 어민 단체에 제안해 추진 중이었으나 유치와 관련한 입장 차이로 일정이 지연돼 안타깝게 생각한다”면서 “공공주도형 해상풍력이 어민의 생존권과 지역의 미래를 동시에 지킬 수 있는 길이 되도록 함께 논의하고 결정해 나가자”고 말했다.
고흥군은 공공주도 2GW, 민간주도 2GW 등 총 4GW의 해상풍력 발전을 추진, 군민들에게 바람 에너지 연금을 지급하겠다는 계획이다.
/고흥=주각중 기자 gjju@kwangju.co.kr
고흥군 해상풍력 반대 대책 추진위원회(위원장 이홍재 고흥군 수협 조합장. 이하 반대위원회)는 23일 고흥군청 앞 광장에서 고흥군 수협, 나로도 수협 임직원과 어촌계장, 고흥군 어민 자생단체장, 어업인 등 1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어민 의견 무시한 일방적인 해상풍력 결사 반대 및 생존권 사수‘ 총궐기 대회를 개최했다.
반대위원회는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가 조성될 경우 어장의 상실과 황폐화는 물론 조업 구역이 축소될 것이며, 특히 해양 수산물 서식지 파괴로 인한 수산업의 피해는 불 보듯 뻔하다면서 허울뿐인 고흥군의 바람 에너지 연금 피해는 오롯이 어업인 몫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고흥군이 주장하는 해상풍력 ‘3대 원칙 7대 전략’은 ▲민주, 투명, 객관성 확보 ▲수산업과의 공존 ▲군민 에너지 연금 확보 등으로 포장되어 있지만, 그 어떤 것도 실현되기 어려운 허울뿐인 주장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고흥군에서는 직접 이해당사자인 어업인들은 사지로 내몰고, 근거가 명확치 않은 발전수익을 연금화하여 군민에게 돌려주겠다고 호도 하면서 어민이 아닌 일반 군민들에게는 연금을 준다는 희망을 주고, 반대하는 어민들에게는 소외감과 상실감을 주고 있다.
따라서 고흥군은 63회에 걸쳐 설명회와 간담회를 열었다고 홍보하지만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된 소수 인원의 동의는 극히 형식적 절차에 불과하다며, 설명회나 간담회가 정당한 절차에 따라 진행하였다면 언제, 장소는 어디며 설명 내용과 참석자들의 동의 여부를 모두 공개하라고 주장했다.
반대위원회는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무조건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면서 해양환경과 수산자원에 피해를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어업 활동에 대한 영향을 충분히 고려하고 어업인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관련 절차에 따라 정상적으로 추진할 것을 촉구했다.
이날 궐기대회에 참가한 어업인들은 풍력 발전 결사 반대 등 구호를 외치며 윤호21병원, 고흥종합터미널, 고흥농협 하나로마트를 돌아 시가행진을 한 후 군청 앞 광장에서 자진 해산했다.
한편 고흥군은 해양풍력 추진 과정에서 ▲지속적인 어업 활동 보장 ▲정당한 보상 ▲어업 소득의 보존 등 3대 원칙을 반드시 준수하겠다면서 민간 사업에 대해서도 어민 의견을 최우선으로 존중할 방침이며, 특히 김 양식장에 민간 해상풍력 단지는 어민 의견에 따라 공공 개발 대상에서 제외했다고 밝혔다.
군 신재생에너지과 관계자는 “향후 3년간 「해상풍력 공존 대책 위원회」 구성을 어민 단체에 제안해 추진 중이었으나 유치와 관련한 입장 차이로 일정이 지연돼 안타깝게 생각한다”면서 “공공주도형 해상풍력이 어민의 생존권과 지역의 미래를 동시에 지킬 수 있는 길이 되도록 함께 논의하고 결정해 나가자”고 말했다.
고흥군은 공공주도 2GW, 민간주도 2GW 등 총 4GW의 해상풍력 발전을 추진, 군민들에게 바람 에너지 연금을 지급하겠다는 계획이다.
/고흥=주각중 기자 gjju@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