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호남선 좌석 전쟁 언제까지…광주시, 증편 강력 촉구
경부선과 비교 운행 횟수·좌석 공급·차량 편성 등 구조적 차별 심각
광주시·지역 정치권 “생활인구·균형발전 고려 불공정 해소해야”
광주시·지역 정치권 “생활인구·균형발전 고려 불공정 해소해야”
![]() 강기정 광주시장과 박병규 광산구청장, 시·구의회 의원 및 시민들이 23일 오전 광주 광산구 광주송정역 광장에서 KTX 호남선 증편을 촉구하는 결의대회를 열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김진수 기자 jeans@kwangju.co.kr |
경부선과 비교해 호남선의 운행 횟수·좌석 공급·차량 편성이 구조적으로 뒤처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말과 피크시간대 격차는 더 벌어져 이용자 불편이 상시화됐다는 점에서 광주 지역사회와 정치권이 고속열차(KTX) 호남선 운행 차별과 불공정 해소를 정부에 강력 촉구했다.
23일 광주시에 따르면 이날 광주송정역 광장에서 광주시는 광주시의회, 5개 자치구, 광산구의회, 시민 등과 함께 ‘KTX 호남선 차별·불공정 해소 촉구 결의대회’를 열고 KTX 운행 개선안을 정부에 건의했다. 이들은 “KTX 호남선 운행 차별이 극심하다”며 즉각 개선을 촉구했다.
결의대회에는 강기정 시장을 비롯해 서용규 광주시의회 부의장과 시의원들, 박병규 광산구청장, 김명수 광산구의회 의장 등 30여명이 참석했다.
광주시 조사결과 평일 기준 1일 KTX 운행은 경부선 115회, 호남선 55회로 두 배 차이가 난다. 주말엔 경부선 136회, 호남선 56회로 격차가 더 벌어진다. 피크시간대(오전 7~9시, 오후 5~7시) 운행도 경부선이 주말 31회, 호남선 13회로 2.4배 수준이다.
좌석 공급에서도 차이는 크다. 평일 공급 좌석은 경부선 9만9001석, 호남선 3만7573석으로 약 2.6배다.
인구차이에 따른 것이라는 점에서 이 같은 문제를 당장 해결 할 수는 없지만, 주말의 배차의 경우에는 지역차별이라는 것이 광주시의 주장이다.
KTX 이용객이 많아지는 주말(금~일) 경부선 KTX는 1일 21회 증편하지만 호남선은 1회 증편에 그친다는 점에서다. 피크시간대 주말 증편은 경부선 4회, 호남선 0회다. ‘수요가 많은 때에 더 많이 늘린다’는 운영 원칙이 호남선에는 예외적으로 적용된 셈이다.
차량 편성도 문제로 꼽힌다. 편당 좌석이 많은 KTX-1 투입 비율은 경부선이 평일 83.6%, 주말 83.7%인데, 호남선은 평일 50.9%, 주말 53.7%에 그친다.
신형 ‘청룡’ 투입 역시 경부선이 평일 2대·주말 4대인데 반해, 호남선은 평일 1대·주말 0대로 나타난다. 결과적으로 동일 시간대와 수요에도 좌석 공급이 구조적으로 불리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광주시는 이 같은 불균형이 단순한 노선별 수요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생활인구 이동권 보장과 국가균형발전 원칙에 어긋난다고 설명했다..
평일 운행간격은 경부선 10분, 호남선 21분으로 접근성이 절대적으로 다르고 실제 비교에서도 이용객수·운행간격·좌석수 등 핵심 지표 전반에서 호남선의 상대 열세가 확인된다는 것이다.
강기정 시장은 이날 결의대회에서 “피크 타임 열차 운행을 보면 경부선은 주중 27회, 주말에는 31회 운영하고 있는 반면 호남선은 주중이든 주말이든 13회를 운영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더욱 가관인 것은 운행 열차 좌석을 비교했을 때 경부선은 955석짜리 KTX가 80% 이상 차지하고, 호남선은 378석 KTX 산천이 50% 이상 차지하는 불균형이 있다”고 비판했다.
이 때문에 주말 호남선 KTX는 평균 이용객이 4만명을 넘어서면서 ‘좌석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광주시와 지역 정치권은 현실적 단계별 해법을 제시했다.
단기적으로는 주말·명절·피크시간대에 좌석이 많은 KTX-1을 우선 투입하거나, KTX-산천 2대 중련 운행으로 좌석을 즉시 확대하는 방안이 제안했다. 서대전 경유 장성·목포행 차량을 수요가 많은 호남고속선으로 대체 투입하는 방안도 함께 요구했다.
중장기적으로는 2028년 평택~오송 2복선화에 맞춰 호남선 선로 용량을 최소 16회 이상 확보하고, 신규 도입되는 KTX-청룡을 호남선에 우선 배정해 구조적 공급 격차를 해소해야 한다는 게 광주시의 주장이다.
강기정 시장은 “호남선 KTX 증편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민생과제이며, 불공정 운행 해소는 국민 이동권 보장의 핵심”이라며 정부의 실행을 촉구했다. 광주시는 생활인구 변화와 지역균형발전의 관점에서 운행 체계를 재설계할 것을 거듭 강조했다.
한편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정준호(광주시 북구갑)의원은 이날 김민석 국무총리를 만나 호남선 고속철도 증편을 건의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주말과 피크시간대 격차는 더 벌어져 이용자 불편이 상시화됐다는 점에서 광주 지역사회와 정치권이 고속열차(KTX) 호남선 운행 차별과 불공정 해소를 정부에 강력 촉구했다.
23일 광주시에 따르면 이날 광주송정역 광장에서 광주시는 광주시의회, 5개 자치구, 광산구의회, 시민 등과 함께 ‘KTX 호남선 차별·불공정 해소 촉구 결의대회’를 열고 KTX 운행 개선안을 정부에 건의했다. 이들은 “KTX 호남선 운행 차별이 극심하다”며 즉각 개선을 촉구했다.
광주시 조사결과 평일 기준 1일 KTX 운행은 경부선 115회, 호남선 55회로 두 배 차이가 난다. 주말엔 경부선 136회, 호남선 56회로 격차가 더 벌어진다. 피크시간대(오전 7~9시, 오후 5~7시) 운행도 경부선이 주말 31회, 호남선 13회로 2.4배 수준이다.
인구차이에 따른 것이라는 점에서 이 같은 문제를 당장 해결 할 수는 없지만, 주말의 배차의 경우에는 지역차별이라는 것이 광주시의 주장이다.
KTX 이용객이 많아지는 주말(금~일) 경부선 KTX는 1일 21회 증편하지만 호남선은 1회 증편에 그친다는 점에서다. 피크시간대 주말 증편은 경부선 4회, 호남선 0회다. ‘수요가 많은 때에 더 많이 늘린다’는 운영 원칙이 호남선에는 예외적으로 적용된 셈이다.
차량 편성도 문제로 꼽힌다. 편당 좌석이 많은 KTX-1 투입 비율은 경부선이 평일 83.6%, 주말 83.7%인데, 호남선은 평일 50.9%, 주말 53.7%에 그친다.
신형 ‘청룡’ 투입 역시 경부선이 평일 2대·주말 4대인데 반해, 호남선은 평일 1대·주말 0대로 나타난다. 결과적으로 동일 시간대와 수요에도 좌석 공급이 구조적으로 불리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광주시는 이 같은 불균형이 단순한 노선별 수요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생활인구 이동권 보장과 국가균형발전 원칙에 어긋난다고 설명했다..
평일 운행간격은 경부선 10분, 호남선 21분으로 접근성이 절대적으로 다르고 실제 비교에서도 이용객수·운행간격·좌석수 등 핵심 지표 전반에서 호남선의 상대 열세가 확인된다는 것이다.
강기정 시장은 이날 결의대회에서 “피크 타임 열차 운행을 보면 경부선은 주중 27회, 주말에는 31회 운영하고 있는 반면 호남선은 주중이든 주말이든 13회를 운영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더욱 가관인 것은 운행 열차 좌석을 비교했을 때 경부선은 955석짜리 KTX가 80% 이상 차지하고, 호남선은 378석 KTX 산천이 50% 이상 차지하는 불균형이 있다”고 비판했다.
이 때문에 주말 호남선 KTX는 평균 이용객이 4만명을 넘어서면서 ‘좌석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광주시와 지역 정치권은 현실적 단계별 해법을 제시했다.
단기적으로는 주말·명절·피크시간대에 좌석이 많은 KTX-1을 우선 투입하거나, KTX-산천 2대 중련 운행으로 좌석을 즉시 확대하는 방안이 제안했다. 서대전 경유 장성·목포행 차량을 수요가 많은 호남고속선으로 대체 투입하는 방안도 함께 요구했다.
중장기적으로는 2028년 평택~오송 2복선화에 맞춰 호남선 선로 용량을 최소 16회 이상 확보하고, 신규 도입되는 KTX-청룡을 호남선에 우선 배정해 구조적 공급 격차를 해소해야 한다는 게 광주시의 주장이다.
강기정 시장은 “호남선 KTX 증편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민생과제이며, 불공정 운행 해소는 국민 이동권 보장의 핵심”이라며 정부의 실행을 촉구했다. 광주시는 생활인구 변화와 지역균형발전의 관점에서 운행 체계를 재설계할 것을 거듭 강조했다.
한편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정준호(광주시 북구갑)의원은 이날 김민석 국무총리를 만나 호남선 고속철도 증편을 건의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