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호남특위 첫 회의 … 11월까지 ‘정책 패키지’ 확정
민주, 국회의원 등 21명 구성…미래먹거리 등 5개 분과 의제 발굴
시민들 의견 청취 ‘소통의 장’ 마련도…오늘 오룡동 AI사업단 방문
2025년 09월 23일(화) 20:30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중앙잔디광장에서 열린 2025 국회 입법 박람회에서 우원식 국회의장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호남발전특별위원회가 광주 사무소 현판식을 열고 첫 회의를 열었다.

현장 점검과 월 2회 정례 논의를 통해 연내 정책 패키지를 완성, 11월 말께 정청래 당대표에게 최종안을 올린다는 일정표도 제시했다.

호남발전특위(특위)는 23일 더불어민주당 광주시당에서 광주사무소 현판식을 갖고 제1차 광주 회의를 열었다.

지난 16일 전체회의로 공식 출범 절차를 마친 뒤 지역 거점 사무소를 마련해 광주 현안 대응에 착수한 것이다.

광주 위원회는 이병훈 수석부위원장과 양부남·조인철 국회의원을 포함한 21명으로 꾸려졌으며, 미래먹거리와 신산업, 경제와 금융, 기후에너지와 재난안전과 인프라, 문화와 관광과 체육, 초광역협력 등 5개 분과를 꾸려 의제 발굴과 실행 설계를 병행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 수석부위원장은 모두 발언에서 18일 당 대표 주재 ‘호남 발전을 위한 예산 점검 회의’에 참석해 내년도 재정 투입의 공백과 보완 지점을 먼저 점검했다고 설명했다.

특위 광주 위원회는 월 2회 이상 회의를 개최하며, 국가AI데이터센터(AI), 전남대·조선대 병원(의료 및 헬스케어), 기아자동차 특수차량연구소(미래모빌리티), 미래차국가산단 부지(미래 신성장), 국립아시아문화전당(문화·관광) 등의 방문을 통해 현장을 세밀하게 점검하고, 이와 관련한 정책 발굴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또한 광주 5개 구청장, 지방의원 대상 설명회, 광주시민 의견 청취, 지역 국회의원 간담회 등을 개최해 현장의 목소리를 세밀하게 들어 정책에 반영하고, 호남 발전을 위한 최종 방안을 2025년 11월 말에서 12월 초 중 정청래 당대표에게 보고할 예정이다.

이 수석부위원장은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이 따라야 된다’라는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철학과 ‘대한민국 민주주의 발전에 호남이 기여한 바가 큰데 국가는 호남 발전에 무엇을 기여했나’라는 질문에 ‘이제는 정부와 민주당 답해야 한다’라고 답했던 정청래 당대표의 강력한 의지로 호남발전특별위원회가 발족됐다”며 “이는 호남의 발전을 위한 절호의 기회로 정치권 및 분야별 전문가, 시민사회단체가 함께 중지를 모아야 할 때다”고 강조했다.

이어 “호남발전특위는 시민들의 피부에 와닿는 정책을 발굴해 금년 이내 정청래 당대표께 최종 보고를 목표로 하고 있다”며, “그 과정에서 광주발전을 위한 시민의 의견을 듣기 위한 소통의 장도 마련할 계획이다”고 설명했다.

특위는 회의를 정례화하고 ‘현장-의제-예산’ 연결 고리를 촘촘히 다진다.

특위는 24일 오전 10시 광주 북구 오룡동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 방문을 시작으로 광주지역 주요 현안과 관련한 현장 점검을 이어갈 예정이다.

특위는 지난 8월 21일 국회에서 공식 출범했다. 위원회는 서삼석 의원이 위원장을 맡고, 이병훈 전 의원과 이원택 의원이 수석부위원장으로, 주철현 의원이 수석대변인으로 활동한다. 전체 위원 규모는 50여명이며 5개 분과로 나뉘어 활동한다.

분과는 문화·관광·체육, 신산업·경제·금융, 기후·에너지·재난안전, 메디컬·바이오·헬스케어, 도시·교통·인프라, 초광역 협력 분야에서 정책을 개발한다.

위원회는 ‘국정과제 중 광주·전남·전북 관련 실행 방안 마련’,‘호남 공약 이행 구체화’, ‘‘5극3특’ 국가공간정책 대응 과제 발굴’ 등을 맡게 된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758627000789772372
프린트 시간 : 2025년 09월 24일 00:3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