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목상권 활성화 앞장…광주시, 골목형상점가 전국 최다
480곳 지정…온누리상품권 가맹점 두달새 67% 증가
광주시가 침체한 골목상권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대폭 확대했다.
15일 광주세에 따르면 9월 현재 광주의 골목형상점가는 총 480곳으로 전국 1083곳의 44%를 차지해 수도권 전체 312곳(서울 137·경기 135·인천 40)을 웃돌았다.
시는 지난 7월 5개 자치구와 유관기관 등 12개 기관과 ‘골목형상점가 광주 전역 확대’ 업무협약을 맺은 뒤 두 달 만에 261곳을 추가 지정했다. 각 자치구에는 현장 지원단을 5~10명씩 배치해 상인회를 직접 찾아가 지정 신청부터 온누리상품권 가맹 등록까지 밀착 지원했다.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에 따른 골목형상점가 지정은 온누리상품권 가맹과 정부·지자체 지원사업 참여의 관문이다. 소비자는 할인·환급으로 결제 부담을 줄이고, 상인은 매출 회복과 고객 기반 확대를 기대할 수 있다.
9월 현재 광주지역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은 2만1798곳으로, 6월 말 1만3025곳에서 두 달 새 67% 늘었다.
온누리상품권은 상시 10% 선할인에 환급행사 10%가 더해지고, 특별재난지역인 북구와 광산구 어룡동·삼도동에서는 추가 10% 환급이 적용된다. 시는 여기에 11월부터 광주 소재 가맹점 결제액의 5%를 자체 환급하는 프로그램을 가동할 계획이다.
소비 활성화 패키지도 병행한다. 이달부터 광주상생카드 할인율은 7%에서 13%로 확대돼 1인당 월 최대 6만5000원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고, 특별재난지역에는 5% 추가 캐시백이 붙는다. 공공배달앱 할인쿠폰도 기존 주말·명절 지급액에 1000원을 더해 외식업 매출 회복을 뒷받침한다.
자금난 완화를 위한 금융지원도 확대됐다.
시는 올해 소상공인 특례보증 1700억원을 편성해 업체당 최대 5000만원 대출을 지원하고, 1년간 3~4% 이자 지원을 병행한다.
시와 공공기관은 부서별로 골목상권과 1대1 매칭을 맺어 지정 상권 식당 이용과 장보기를 월 2회 이상 실천하는 등 일상적 소비 확산에도 나선다.
주재희 광주시 경제창업국장은 “골목상권은 시민 삶과 직결된 민생 현장”이라며 “소상공인이 체감하는 현장 중심 정책으로 골목경제에 따뜻한 온기를 불어넣겠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15일 광주세에 따르면 9월 현재 광주의 골목형상점가는 총 480곳으로 전국 1083곳의 44%를 차지해 수도권 전체 312곳(서울 137·경기 135·인천 40)을 웃돌았다.
시는 지난 7월 5개 자치구와 유관기관 등 12개 기관과 ‘골목형상점가 광주 전역 확대’ 업무협약을 맺은 뒤 두 달 만에 261곳을 추가 지정했다. 각 자치구에는 현장 지원단을 5~10명씩 배치해 상인회를 직접 찾아가 지정 신청부터 온누리상품권 가맹 등록까지 밀착 지원했다.
9월 현재 광주지역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은 2만1798곳으로, 6월 말 1만3025곳에서 두 달 새 67% 늘었다.
소비 활성화 패키지도 병행한다. 이달부터 광주상생카드 할인율은 7%에서 13%로 확대돼 1인당 월 최대 6만5000원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고, 특별재난지역에는 5% 추가 캐시백이 붙는다. 공공배달앱 할인쿠폰도 기존 주말·명절 지급액에 1000원을 더해 외식업 매출 회복을 뒷받침한다.
자금난 완화를 위한 금융지원도 확대됐다.
시는 올해 소상공인 특례보증 1700억원을 편성해 업체당 최대 5000만원 대출을 지원하고, 1년간 3~4% 이자 지원을 병행한다.
시와 공공기관은 부서별로 골목상권과 1대1 매칭을 맺어 지정 상권 식당 이용과 장보기를 월 2회 이상 실천하는 등 일상적 소비 확산에도 나선다.
주재희 광주시 경제창업국장은 “골목상권은 시민 삶과 직결된 민생 현장”이라며 “소상공인이 체감하는 현장 중심 정책으로 골목경제에 따뜻한 온기를 불어넣겠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