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방천·용봉천 복개 해체 자연형으로 복원 시급”
광주시의회 정책토론회
“신안교 일대 반복 침수의 원인”
2025년 09월 09일(화) 20:00
9일 오후 광주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서방천·용봉천 침수 대책 정책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발언을 하고 있다. <광주시의회 제공>
하천 복개와 불투수면(아스팔트·콘크리트 등 빗물이 통과하지 못하는 지표면)이 만든 병목현상이 신안교 일대의 반복적인 침수원인이라는 진단이 나왔다.

서방천·용봉천은 복개 해체와 하폭 확장, 7만t 규모 저류지, 신안철교 재가설을 묶은 패키지 전환이 근본대책이라는 로드맵이 제안됐다.

9일 광주시의회 예결특위실에서 열린 ‘서방천·용봉천 근본대책 마련 2차 정책토론회’에서 광주 지형과 복개 구조를 진단하고, 단계적 해체와 물순환 회복을 결합한 실행안을 집중 검토했다.

발제를 맡은 고준일 전남대 선임연구원은 “서방천·용봉천 등에서 쏟아진 우수가 복개 구간을 따라 최하류 저지대인 서방천으로 몰리며 신안교 일대가 상습 침수되고 있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했다.

두 유역은 말단에서 폭 28m, 길이 180m 규모의 복개박스로 합류해 흘러가는데, 구조상 병목이 고착돼 통수능력이 제한된다는 것이다.

고 연구원은 “덮개만 걷어서는 해법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하천을 도로나 주차장 하부 공간으로 묶어둔 복개 구조를 점진적으로 걷어내고, 천창과 확폭, 생태 하상 복원을 통해 유량·서식·경관의 연속성을 되살려야 한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북구청에서 전남대 농대입구까지 이어진 차도를 걷어내고 대체도로로 우회시켜야 한다는 점을 꼽았다.

고 연구원은 “복개 해체, 하천복원 등은 장기 복원 과제이므로, 악취 저감과 관거 정비를 병행하되 침수 저감 사업을 우선 가동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토론 패널들은 “콘크리트 등 회색 인프라 일변도의 배수 논리로는 한계”라고 입을 모았다.

김일권 광주연구원 센터장은 투수성 포장, 침투도랑, 옥상저류 등 저영향개발을 그린인프라 네트워크로 엮는 도심 물순환 전환을 주문했다.

김종필 광주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보·낙차공 중심의 콘크리트 정비를 재평가하고, 상습 침수지 공공매입과 저류지화로 평상시 공원, 홍수기에는 저장 기능을 겸하는 자연기반해법을 강조했다.

광주시는 단기·중기 대택을 내놨다. 하수관로 5.8㎞ 개량에 430억원, 문흥동성당·북구청사거리·신안교 일원 저류시설에 각각 2만7000㎥, 1만2700㎥, 3만㎥를 설치해 총 7만㎥를 확보하고, 신안교 주변 배수펌프 3곳을 2026년까지 추가하는 안이다.

병목 해소를 위해 국가철도공단과 신안철교 재가설로 교각을 6기에서 2기로 줄이고, 서방천 하폭도 30m에서 4050m로 확장한다는 계획을 병행한다는 것이다.

토론회를 주최한 안평환 시의원은 “반복 침수는 도시 설계 실패의 결과이며, 서방천·용봉천을 생태하천으로 돌리는 장기 복원과 단기 저류·재가설을 함께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757415600789195277
프린트 시간 : 2025년 09월 10일 08:3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