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교육감 출마 예상자들 여론조사 ‘직함 논란’
출마예상자 4명 중 3명이 여론조사 거부…현직 교육감도 가세
후보 직함에 지지율 ‘널뛰기’…향후 직함 둘러싼 갈등 고조될 듯
2025년 09월 06일(토) 14:55
광주시교육청 전경<광주시교육청 제공>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광주시교육감 출마 예상자 4명 가운데 3명이 공개적으로 여론조사를 거부하고 나서 논란이 예상된다.

특히 현직 이정선 시교육감까지도 상대 후보의 ‘직함 문제’를 거론하며 여론조사를 거부하고 나섰다.

여론조사에서 채택된 직함에 따라 지지도나 적합도에서 큰 차이를 보이면서 경쟁 예상자들이 공정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는 것이다. 이들 간 여론조사 직함을 둘러싸고 갈등 조짐도 일고 있다.

6일 광주시교육감 출마 예상자들에 따르면 최근 잇따라 발표된 지역 언론사 여론조사에서 이정선 현 교육감이 이 중 4차례 1위를 차지했고, 김용태 전 전교조 광주지부장은 1~4위, 정성홍 전 전교조 광주지부장과 오경미 전 광주시교육청 교육국장 등은 2∼4위를 오갔다.

김용태 전 전교조 광주지부장의 경우 이력에 ‘노무현재단 광주시민학교장’ 사용 여부에 따라 편차가 컷다. 특정 여론조사에서 전 광주전자공고 교장을 사용한 김용태 전 전교조 광주지부장은 4위였다.

김 출마 예상자를 제외한 나머지 예상자들은 여론조사에서 채택된 ‘직함’을 문제삼고 나섰다.

이정선 교육감은 지난 5일 입장문에서 “교육감 선거는 정치와 분리돼야 하며, 교육의 전문성과 학생들의 권익을 중심으로 치러져야 한다”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정 후보가 ‘노무현 시민학교장’이라는 명칭을 사용한 채 여론조사에 참여하는 것은 정치적 상징을 끌어다 쓰는 행위로, 이는 교육을 정치화하고 조사 결과를 왜곡 하는 심각한 문제”라고 주장했다.

이 교육감은 또 “광주교육감 선거 출마 예정자 전체가 아닌 특정인 두 명만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는 여론의 다양성을 왜곡하고 시민의 판단을 제한하는 불공정한 조사 방식”이라며 여론조사 거부 입장을 밝혔다.

정성홍 2022년 광주시 교육감선거 민주진보단일 후보와 오경미 전 광주시교육청 교육국장도 지난 4일 공동명의 성명을 내고 ‘특정 정치인을 연상시키는 직함 표기 등을 지양하지 않으면 여론조사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이들은 “최근 광주시 교육감 선거 여론조사에서 특정 후보가 ‘노무현재단 광주 시민학교장’ 직함을 사용함으로써 지지율이 급등락하는 사태를 심각한 우려와 함께 지켜봤다”면서 “일부 언론과 여론조사 기관들은 특정 정치인을 연상시키는 직함 표기를 지양하고, 응답자의 왜곡 없는 의견이 반영되도록 조사 설계를 개선하고, 선관위가 객관적인 지침을 마련하지 않는다면 여론조사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반면, 김용태 출마예상자는 지난 4일 성명을 내고 “시민의 알권리 차원에서 정상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언론의 여론조사 자체를 압박하는 것은 시민의 권리를 부당하게 침해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시민 김용태가 수십 년간 광주에서 살아온 삶이 축적되고 증명돼 노무현재단 광주지역위원회 시민학교장을 맡게 됐다”면서 “후보의 경력은 유권자들이 후보자가 어떻게 살아왔는지, 무슨 일을 해 왔는지를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항목 중의 하나다. 교육감 선거는 정당 정치가 아니기에 후보가 살아온 경력이 곧 그 사람의 모든 것을 드러낸다”고 반박했다. 자세한 지역언론사 여론조사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윤영기 기자 penfoot@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757138100789025021
프린트 시간 : 2025년 09월 06일 20:3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