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침수 예방 복구 사업비 822억 긴급 투입
복개하천 복원·배수시설 확충
광주시가 반복되는 침수 피해를 근본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복개하천 복원과 대규모 배수시설 확충에 나선다. 양동 복개상가와 서방천 복개도로를 되살리는 복원 사업에 1조700억원, 신안교 구조개선과 우수저류시설 설치 등 중기 대책에는 모두 4000억원대 예산이 투입된다.
광주시는 4일 시청 브리핑실에서 재난 대응체계를 장기 구조 개선으로 전환하는 내용의 ‘호우 피해 복구 및 침수 예방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장기 대책은 하천 본래 기능 회복에 방점이 찍혔다. 양동 복개상가 구간은 지하방수로 설치(7000억원)와 상가 철거·생태하천 복원사업(3700억원)에 1조738억원이 배정된다.
서방천 복개도로 구간 역시 6000억원을 들여 하천 복원과 도로 정비를 병행한다.
중기 대책도 속도를 낸다. 신안교 교차로 구조개선(600억원), 광산·북구 일원 4곳 우수저류시설 설치(854억원), 송정·첨단지구 자연재해위험개선 정비(541억원), 영산강·용강동 등 저지대 배수펌프장 5개소 신설(805억원), 서방·극락천 등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사업(1549억원) 등 18개 사업에 4349억원이 투입된다.
광주시는 우선 총 822억원을 긴급 집행해 공공시설 복구(564억원)와 주택·상가 침수 지원사업(258억원)을 추진한다. 주택은 최대 900만원, 소상공인은 최대 1000만원까지 지원하되, 추석 전까지 지급을 완료할 방침이다.
긴급 대책에는 특별재난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광주상생카드 특별할인(53억원), 신안교 배수펌프 설치(10억원), 차수판 설치(40억원) 등 104억원 규모 사업이 포함됐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재난은 반복되지만 해법은 근본적이어야 한다”며 “대규모 구조 개선을 통해 ‘재난에 안전한 도시 광주’를 만드는 데 모든 행정 역량을 쏟겠다”고 강조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광주시는 4일 시청 브리핑실에서 재난 대응체계를 장기 구조 개선으로 전환하는 내용의 ‘호우 피해 복구 및 침수 예방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서방천 복개도로 구간 역시 6000억원을 들여 하천 복원과 도로 정비를 병행한다.
중기 대책도 속도를 낸다. 신안교 교차로 구조개선(600억원), 광산·북구 일원 4곳 우수저류시설 설치(854억원), 송정·첨단지구 자연재해위험개선 정비(541억원), 영산강·용강동 등 저지대 배수펌프장 5개소 신설(805억원), 서방·극락천 등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사업(1549억원) 등 18개 사업에 4349억원이 투입된다.
긴급 대책에는 특별재난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광주상생카드 특별할인(53억원), 신안교 배수펌프 설치(10억원), 차수판 설치(40억원) 등 104억원 규모 사업이 포함됐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재난은 반복되지만 해법은 근본적이어야 한다”며 “대규모 구조 개선을 통해 ‘재난에 안전한 도시 광주’를 만드는 데 모든 행정 역량을 쏟겠다”고 강조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