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예술의전당 ‘창작 극장’ 대전환
공연 기획·제작·상연 통합 관리
내년부터 절반 이상 자체 제작
전속 오케스트라 창단해 차별화
‘광주만의 공연’으로 관객 유도
창작 역량 확보…자립 기반 마련
2025년 08월 11일(월) 19:35
광주시립오페라단의 지난 공연에 협업한 카메라타전남의 모습. <광주시립오페라단 제공>
광주예술의전당이 단순히 무대를 빌려주는 ‘대관 공연장’의 틀을 벗고, 직접 공연을 기획·창작하는 ‘제작극장’으로의 전환을 선언했다. 전체 무대의 절반 이상을 자체 제작으로 채우고, 전당 전속 오케스트라를 새롭게 창단해 안정적인 창작 환경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광주만의 차별화된 무대가 구현될지 관심이 모인다.

광주예술의전당(전당장 윤영문·전당)은 11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2026년부터 제작극장 체제로 전환해 기획·제작 역량을 강화하고 창작 중심 극장으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제작극장 시스템은 공연 기획부터 제작, 연습, 상연까지 모든 과정을 통합 관리하는 방식이다. 초반 단계부터 스태프가 긴밀히 협업해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고 제작 과정의 비효율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윤 전당장은 “수도권 주요 공연장이 이미 도입한 선진 모델로, 지역 공연장의 창작 역량을 확보하고 문화 자립 기반을 마련하는 중요한 전환점”이라고 강조했다.

전당은 2026년부터 전체 공연의 절반 이상을 자체 기획·제작으로 채울 계획이다. 외부 기획사 위탁이나 수입 공연에 의존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지역 창작 인력이 참여하는 작품을 전당이 직접 제작한다. 이를 통해 지역 예술 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광주만의 공연’을 찾는 관객이 늘어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이번 전환의 또 다른 핵심은 광주시립교향악단(광주시향)과 별도로 전당 소속 오케스트라를 창단하는 것이다. 가칭 ‘광주예술의전당 관현악단’(전당 관현악단)이다. 합창·소년소녀합창·발레·오페라 등 오케스트라 협업이 필수적인 공연이 많지만, 정기공연 등 광주시향의 바쁜 일정 탓에 안정적인 협연이 어려운 현실을 해소하기 위한 구상이다.

그동안 카메라타 전남, 광주여성필하모닉오케스트라 등 민간단체와의 협업으로 이를 보완해왔으나, 공연·연습 일정 조율과 꾸준한 소통 등에서 한계가 있었다는 것이 전당 측의 설명이다. 이에 전당은 자체 오케스트라를 통해 공연 제작 지원과 완성도를 높이고, 안정적인 협연 체계를 마련하겠다는 목표다. 전당이 시향 외에 자체 오케스트라를 두는 것은 이례적인 시도다.

백홍승 공연지원과장은 “기존 외부단체 섭외에 사용되던 예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해 전당 관현악단 운영에 투입할 계획”이라며 “시립예술단체 공연 제작 시 오케스트라 협업이 원활해지고, 연습 시간 확보와 공연 연계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광주예술의전당 전경. <광주예술의전당 제공>
전당 관현악단은 오는 11월 오디션을 거쳐 기본 2관 편성의 50여 명 규모 선발될 예정이다. 비상임 단원 형태로 기획공연과 시립예술단 협업 등 연간 20여 차례의 공연에 참여하게 된다. 단기 계약으로 연주자들에게 안정적인 활동 기반을 제공하고, 지역 프리랜서 음악인의 참여 기회도 확대한다는 것이다. 윤 전당장은 “지역 연주자들이 서울로 가지 않고도 수준 높은 공연에 설 수 있는 구조를 만들겠다”며 “창단 오케스트라는 광주 예술인과 시민 모두에게 의미 있는 자산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당은 제작극장 체제 전환에 맞춰 공연·기술 인력의 전문성 강화와 제작 환경 개선에도 나선다. 현재 리모델링 중인 별관은 올해 말 대형 연습실과 분장실 등을 새 단장해 개방하며, 향후 전당 관현악단의 주요 연습 공간으로 활용된다.

다만 일각에서는 전당 관현악단 창단을 두고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광주시향과 역할이 일부 중복되고, 기존에 협연 기회를 얻어왔던 민간단체의 무대가 줄어들 수 있다는 지적이다.

윤 전당장은 “일시적인 섭외가 아니라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협업 구조를 만들려는 것”이라며 “연주자는 더 나은 환경에서 창작에 집중하고, 관객은 완성도 높은 무대를 즐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광주시향과는 상호 자극과 협력을 통해 광주 예술계 전반의 수준을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한다”며 “제작극장 전환은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광주를 ‘기회의 도시’로 만들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고 덧붙였다.

/장혜원 기자 hey1@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754908500787948007
프린트 시간 : 2025년 08월 12일 00:38: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