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80년 되짚어 본 광주·전남 아·태전쟁 유적] 무안국제공항 일대, 일제강점기 군용 1, 2비행장 일부였다
<12> 무안 논·밭에 비행장 건설
망운면 일대 완만한 구릉·넓은 평야로
고지대 적고 안개 일수 낮아 비행장 최적
日, 면화 재배하던 평야에 활주로 건설
탄약고·통신시설·격납고 시설도 조성
2활주로 완성 뒤 1활주로 건설중 패망
전라도 전역 주민 보국대 형식 강제 동원
2025년 07월 07일(월) 08:30
4일 찾은 무안군 현경면 송정리의 한 민가 뒤, 일제에 의해 만들어진 무안비행장 격납고가 창고로 쓰이고 있다.
무안군 망운면에 있는 ‘무안국제공항’ 일대는 과거 일제강점기 일본군이 건설한 망운·현경면의 군용 비행장 ‘무안 1,2비행장’의 일부였다.

무안군은 일제강점기 1930년대 후반부터 일본에 의해 면화를 강제 재배하면서 전남 22개 군 가운데 가장 많은 면화를 생산하던 곳이었다. 주민들이 부족한 양식을 확보하려고 면화밭 사이에 몰래 콩을 심으면, 일본인 지주들이 가차 없이 뽑아버렸다는 설이 전해내려올 만큼 수탈이 심한 지역이었다.

일본은 아시아·태평양 전쟁이 발발한 이후, 1943년을 전후로 망운면과 현경면의 면화 재배지 한가운데에서 비행장 건설을 추진해 지역민들을 강제노동시키기 시작했다.

특히 망운면 일대는 완만한 구릉과 드넓은 평야로 구성된 해안 지형으로 착륙에 방해가 되는 고지대가 적고 안개 일수도 낮아 비행장으로 이상적인 장소였다.

일본이 남긴 ‘보병 제430연대 제3대대 진지편성 요도’ 등 군사 문서와, 일본 아시아역사자료센터의 기록에 따르면, 아·태 전쟁 시기 목포로부터 북쪽 30㎞ 지점의 무안군 망운면 일대에는 일본이 건설한 무안 비행장이 있었다.

3㎞ 간격으로 두 개의 활주로가 나란히 설치돼 있었으며, 남북 방향으로 길이 1200m(제1활주로·현경면 평산리~외반리), 1500m(제2활주로·망운면 피서리) 등 두 개의 활주로를 조성했다. 일본은 제2활주로를 먼저 완성한 뒤, 제1활주로를 건설하던 도중에 패망해 공사도 중단했다.

일반적으로 길이가 긴 쪽을 주 활주로, 짧은 쪽을 보조 활주로로 삼는 다른 비행장과 달리 이곳은 두 활주로 모두 주 활주로 개념으로 계획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 때문에 다른 지역 비행장이 주·보조 활주로를 X자 모양으로 겹쳐 만드는 것과 달리, 이곳은 11자 모양으로 활주로를 나란히 설치한 것이 특징이다.

활주로 외에도 탄약고, 통신시설, 격납고 등 부속 시설도 함께 조성됐다. 현재 남아있는 엄체호들의 규모로 미루어보면 가로 15~20m, 길이 14~16m, 높이 3m 안팎의 타원형 엄체호를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활주로는 포장을 하지 않고 잔디를 심어 경비행기가 이착륙 할 수 있도록 했고, 격납고도 경비행기에 맞게 지어지는 등 특징을 갖고 있었다.

비행장 공사가 한창이던 시기에는 제16항공지구사령부, 제231·211비행장대대, 제154야전비행장설정대, 제161독립정비대 등 일본군 병력이 주둔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특히 해방 직전 이 비행장이 ‘가미카제’ 특공대 발진기지로 활용됐다는 기록도 일부 남아 있다.

비행장 건설 과정에서는 무안군민은 물론 전라도 전역 주민들을 ‘보국대’ 형식으로 강제 동원해 활주로와 군사시설 공사에 투입했다. 1943년에는 인근의 나주시(당시 나주군)에서도 강제 동원이 이뤄졌으며, 전국 곳곳에서 많은 사람들이 동원돼 그들을 상대로 밥도 해 주고, 하숙도 한 경우가 많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제2활주로 공사 당시 망운면 피서리 조산마을에서는 전국에서 동원된 사람들의 기거를 위해 방이 2개 이상인 집에서는 1개 방을 반드시 동원된 사람에게 내줘야 했다고 한다.

‘황토’가 많은 무안군답게, 동원된 사람들은 하루 일을 마치고 오면 햐얗던 옷이 붉게 물들어 있었다고 하며 비가 오는 날이면 주변이 온통 진흙탕으로 변해 고통이 배가됐다고 전해진다.

해방 이후 비행장은 한동안 황무지로 방치됐다. 6·25 전쟁 발발 이후에는 망운면 피서3리 일대가 피난민 수용지로 이용되기도 했다. 이후 세월이 흐르며 인근 주민들에게 비행장에 얽힌 이야기는 흐릿해졌고 마늘, 양파, 고구마 밭 곳곳에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이 그 당시의 상황을 보여줄 뿐이다.

현재는 망운면에 있던 제2활주로 자리에는 무안국제공항 활주로가 들어섰다. 무안공항 이전까지는 영암군 삼호읍에 1969년 건설된 목포공항이 운영됐지만, 활주로 길이(1500m)가 짧고 야산과 안개 등 자연조건이 좋지 않아 조종사들도 이착륙에 어려움을 겪었던 것으로 전해져 이곳에 2007년 11월 무안국제공항이 문을 열게 됐다. 현경면에 있던 제1활주로는 현재 도로·농지·주택지로 바뀌며 흔적조차 사라진 상태다.

/글·사진=김진아 기자 jinggi@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751844600786274376
프린트 시간 : 2025년 07월 07일 13:3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