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 뒤 한국 인구 753만명…소멸 위험 광주·전남 ‘암울’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 인구보고서
생산인구 1명이 노인 1.4명 부양
지역 맞춤형 인구정책 절실 목소리
2025년 07월 02일(수) 20:40
지금과 같은 인구 감소 추세가 이어진다면 100년 후 대한민국은 지금의 15% 수준인 단 753만명만 남고, 청년 1명이 노인 1.4명을 부양해야한다는 암울한 전망이 나왔다. 전국적 인구 위기 속 이미 인구소멸 위험지역으로 분류된 광주시와 전남도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인구 전문 민간 싱크탱크인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은 2일 출간한 ‘2025 인구보고서: 대한민국 인구 대전환이 온다’에서 2025년부터 2125년까지 100년간의 인구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담았다.

출생, 사망, 국제이동 등 변수를 반영한 코호트 요인법을 통해 시나리오별 인구 추계를 제시한 이 보고서는 ‘대전환’이 아닌 ‘붕괴’ 수준의 인구 감소를 경고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극단적인 저위 시나리오 기준 2125년 우리나라 인구는 753만명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이는 현재 서울 인구(933만명)보다 적은 수치다. 중위 시나리오도 1115만명, 고위 시나리오조차 현재의 3분의 1 이하인 1573만명에 불과하다.

문제는 이미 인구감소 현실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전남은 소멸 위험도가 전국에서 가장 높은 지역으로 꼽히며, 광주 역시 청년 인구 유출과 저출산으로 위기 신호를 받고 있다. 최근 전남 곳곳은 소멸위험지수 ‘주의’ 단계를 넘어 ‘위험’ 단계로 분류되기도 했다.

보고서는 2100년이면 생산연령(15∼64) 인구 100명이 65세 이상 노인 140명을 부양해야 하는 ‘역피라미드’ 사회가 도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현재는 100명이 노인 30명을 부양하고 있으나, 인구 피라미드가 ‘가오리형’을 지나 ‘코브라형’으로 바뀌며 부양 부담이 폭증할 것으로 보고서는 내다봤다.

이런 인구 구조 변화는 지역 사회 존립에도 직격탄이다. ‘일할 사람’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도시는 경제 동력을 잃고, 농어촌은 공동화로 붕괴할 수밖에 없다.

보고서는 2040세대의 결혼과 출산 인식 조사도 병행했다. 직장인 커뮤니티 ‘블라인드’에서 분석한 게시글 6만여건에 따르면 결혼 키워드는 ‘사랑’보다 ‘돈’, ‘집’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출산 관련 키워드에서도 ‘경제적 부담’이 핵심으로 나타났다.

젊은 세대에게 결혼·출산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로 다가오고 있다는 분석이다.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출산·양육 부담 완화, 일·가정 양립 문화 정착, 정년 연장, 이민정책 개편 등을 핵심 대응 방향으로 제안하며, 인구 감소 시대를 버텨낼 ‘생산성 중심 경제구조’ 전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지방정부와 지역사회 역시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황이다. 숫자보다 ‘지속가능성’에 초점을 맞춘 지역 맞춤형 인구정책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751456400786136005
프린트 시간 : 2025년 07월 03일 19:4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