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추경으로 내수살리기…AI 성장기회”
김문수 “기업 규제 완화 좋은 일자리 만들 것”
제21대 대선 후보 첫 TV토론회
제21대 대선 후보 첫 TV토론회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들은 18일 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주관하는 첫 TV 토론회에서 날선 설전을 펼쳤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국민의힘 김문수·개혁신당 이준석·민주노동당 권영국 후보는 경제·외교 등 분야에 대한 주제로 격돌했다.
이재명 후보는 “지금 마이너스 성장 국면이고, 국내 내수 경기가 완전히 다 죽었다”면서 단기 대책으로 “정부가 조정 역할을 하면서 가능한 범위 내에서 추경을 해서 서민·내수 경제를 살리는 것”이라고 제안했다. 장기 대책으로는 “인공지능을 포함한 첨단기술 산업, 재생에너지 산업, 문화 산업 등을 육성해 새로운 영역을 만들어 내고 그 속에서 공평한 성장의 기회를 만들겠다”고 했다.
김문수 후보는 “좋은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기업 규제를 완전히 갈아엎어야 한다”면서 “규제를 많이 없애 해외를 나가지 않고 국내에서 마음 놓고 사업하고 일자리를 만들 수 있게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일자리를 만드는 기업에 대해서는 특별한 혜택을 많이 주겠다”면서 “정부의 R&D(연구·개발)를 대폭으로 지원해서 미래 산업에 많은 투자를 하고, 그 분야로 기업을 지원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준석 후보는 “경제성장의 본질은 생산성 향상”이라면서 “고물가·저수요 상황에서 무작정 돈을 풀면 자영업자는 재료비, 임대비 부담만 늘어난다”고 이재명 후보를 저격했다.
권영국 후보는 “모두 성장을 외치고 있지만 저는 불평등 타파를 말하겠다”며 “이 나라에 부는 넘치도록 쌓였지만, 돈은 위로 쌓이고 고통은 아래로 간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후보와 김문수 후보는 ‘노란봉투법’을 두고 격돌했다. 김 후보가 이 후보를 향해 “그동안 정부는 노란봉투법에 두 번이나 거부권을 행사했다. 이 후보가 대통령이 되면 노란봉투법을 또 밀어붙일 것인가”라고 묻자 이 후보는 “대법원 판례가 이미 인정하는 법안이다. 국제노동기구도 다 인정하고 있다”며 “노란봉투법은 당연히 해야 한다”고 답했다.
한미협상에 대한 부분에서도 이재명 후보는 “협상 타결을 서두르지 말아야 한다”고 밝혔고,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취임 후 즉각 한미 정상회담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일본도 미리 (협상)하겠다는 입장이었다가 지금 선회하고 있고, 중국도 마찬가지로 강경하게 부딪히다 상당 정도 타협했다”며 “우리가 맨 먼저 나서서 협상을 조기 타결할 필요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후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협상에서 가장 중요한 점이 신뢰”라며 “이 후보는 과거 사드배치에 반대하며 미국의 신뢰를 잃었고, 권영국 후보는 반미를 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별취재단=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더불어민주당 이재명·국민의힘 김문수·개혁신당 이준석·민주노동당 권영국 후보는 경제·외교 등 분야에 대한 주제로 격돌했다.
이재명 후보는 “지금 마이너스 성장 국면이고, 국내 내수 경기가 완전히 다 죽었다”면서 단기 대책으로 “정부가 조정 역할을 하면서 가능한 범위 내에서 추경을 해서 서민·내수 경제를 살리는 것”이라고 제안했다. 장기 대책으로는 “인공지능을 포함한 첨단기술 산업, 재생에너지 산업, 문화 산업 등을 육성해 새로운 영역을 만들어 내고 그 속에서 공평한 성장의 기회를 만들겠다”고 했다.
권영국 후보는 “모두 성장을 외치고 있지만 저는 불평등 타파를 말하겠다”며 “이 나라에 부는 넘치도록 쌓였지만, 돈은 위로 쌓이고 고통은 아래로 간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후보와 김문수 후보는 ‘노란봉투법’을 두고 격돌했다. 김 후보가 이 후보를 향해 “그동안 정부는 노란봉투법에 두 번이나 거부권을 행사했다. 이 후보가 대통령이 되면 노란봉투법을 또 밀어붙일 것인가”라고 묻자 이 후보는 “대법원 판례가 이미 인정하는 법안이다. 국제노동기구도 다 인정하고 있다”며 “노란봉투법은 당연히 해야 한다”고 답했다.
한미협상에 대한 부분에서도 이재명 후보는 “협상 타결을 서두르지 말아야 한다”고 밝혔고,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취임 후 즉각 한미 정상회담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일본도 미리 (협상)하겠다는 입장이었다가 지금 선회하고 있고, 중국도 마찬가지로 강경하게 부딪히다 상당 정도 타협했다”며 “우리가 맨 먼저 나서서 협상을 조기 타결할 필요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후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협상에서 가장 중요한 점이 신뢰”라며 “이 후보는 과거 사드배치에 반대하며 미국의 신뢰를 잃었고, 권영국 후보는 반미를 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별취재단=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