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야제, 전국서 모인 5만여 민주 시민, 5·18 추모하고 민주주의 축제 즐겼다
김형석·이은미·촛불밴드 무대에
기념식 윤상원·문재학 열사 조명
기념식 윤상원·문재학 열사 조명
![]() 17일 광주 동구 금남로에서 '오월의 정신을 오늘의 정의로'라는 주제로 열린 전야제 참가자들이 민주평화대행진을 펼치고 있다. /김진수 기자 jeans@kwangju.co.kr |
5·18민주화운동 45주년을 맞아 5·18 전야제와 5·18 기념식 등이 5월 정신을 잇는 민주주의 축제로 거듭났다.
올해 들어 전국에서 5·18을 직접 배우고 싶다며 광주를 찾아오는 이들의 발길이 잇따르고 있는 것이다. 특히 ‘12·3 비상계엄 사태’, 5·18을 다룬 책 ‘소년이 온다’의 저자 한강 작가의 노벨상 수상 등을 거치면서 “5·18 정신이 현재까지 이어져 민주주의를 가르쳐 주고 있다”는 공감대가 커졌다는 평가도 나온다.
제45주년 5·18민중항쟁 기념행사위원회(이하 행사위)는 지난 17일부터 18일까지 광주시 동구 금남로 일대에서 5·18 전야제를 개최했다.
전야제에는 17일 하루 동안에만 주최측 추산 5만여명의 방문객이 운집했다.
전야제는 3부로 나뉘어 진행됐으며, 오전 11시께 시민참여 거리부스, 오월연극제, 민주주의 대합창, 민주미술 전시 등 ‘시민난장’이 열자 마자 시민들이 구름처럼 몰려들었다.
오후 4시 각계각층의 시민들이 참여해 1980년 5월 14일부터 16일까지 금남로로 횃불행진 했던 민족민주화성회를 재현하는 ‘민주평화대행진’이 진행됐다. 이번 행진에는 지난해 참가자(5000여명)보다 훨씬 많은 1만 6000여명이 동참했다.
작곡가 김형석, 가수 이은미, 백금렬과 촛불밴드 등도 무대에 올라 광주와 민주주의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광주 출신인 김 작곡가는 “5·18 당시 부모님이 시민군에게 주먹밥을 만들어 주던 것, TV에서 광주 사람들을 폭도로 묘사하던 것이 기억난다”며 “광주는 이제 고립된 도시가 아니다. 이제는 아픔과 비극을 넘어서 치유와 평화와 그리고 대한민국의 미래를 정상적으로 돌려놓는 도시가 되었다”고 말해 관객의 환호를 받았다.
18일 광주시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5·18 정부기념식에는 ‘45년 전의 광주가 과거와 현재의 민주주의를 이어주고 있다’는 메시지가 중심이 됐다.
이날 여는 공연에서는 ‘소년이 온다’의 주인공 동호의 모티브인 문재학 열사와 ‘시민군 대변인’ 윤상원 열사가 조명됐다. 영상은 오늘을 사는 시민들이 소설과 음악(임을 위한 행진곡)으로 되살아난 시민군, 민주유공자들을 어떻게 기억하고 추모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뤘다.
기념 영상 ‘내일을 쓰다’ 또한 518번 버스를 타고 노선을 따라가며 시민들로부터 5·18에 대한 인식과 의미를 듣는 내용으로 채워졌다. 영상에서 광주시민들은 “45년이 지났어도 우리만의 의미로 오월의 기억을 계속 써내려가겠다”는 다짐을 했다.
/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
올해 들어 전국에서 5·18을 직접 배우고 싶다며 광주를 찾아오는 이들의 발길이 잇따르고 있는 것이다. 특히 ‘12·3 비상계엄 사태’, 5·18을 다룬 책 ‘소년이 온다’의 저자 한강 작가의 노벨상 수상 등을 거치면서 “5·18 정신이 현재까지 이어져 민주주의를 가르쳐 주고 있다”는 공감대가 커졌다는 평가도 나온다.
전야제에는 17일 하루 동안에만 주최측 추산 5만여명의 방문객이 운집했다.
전야제는 3부로 나뉘어 진행됐으며, 오전 11시께 시민참여 거리부스, 오월연극제, 민주주의 대합창, 민주미술 전시 등 ‘시민난장’이 열자 마자 시민들이 구름처럼 몰려들었다.
오후 4시 각계각층의 시민들이 참여해 1980년 5월 14일부터 16일까지 금남로로 횃불행진 했던 민족민주화성회를 재현하는 ‘민주평화대행진’이 진행됐다. 이번 행진에는 지난해 참가자(5000여명)보다 훨씬 많은 1만 6000여명이 동참했다.
광주 출신인 김 작곡가는 “5·18 당시 부모님이 시민군에게 주먹밥을 만들어 주던 것, TV에서 광주 사람들을 폭도로 묘사하던 것이 기억난다”며 “광주는 이제 고립된 도시가 아니다. 이제는 아픔과 비극을 넘어서 치유와 평화와 그리고 대한민국의 미래를 정상적으로 돌려놓는 도시가 되었다”고 말해 관객의 환호를 받았다.
18일 광주시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5·18 정부기념식에는 ‘45년 전의 광주가 과거와 현재의 민주주의를 이어주고 있다’는 메시지가 중심이 됐다.
이날 여는 공연에서는 ‘소년이 온다’의 주인공 동호의 모티브인 문재학 열사와 ‘시민군 대변인’ 윤상원 열사가 조명됐다. 영상은 오늘을 사는 시민들이 소설과 음악(임을 위한 행진곡)으로 되살아난 시민군, 민주유공자들을 어떻게 기억하고 추모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뤘다.
기념 영상 ‘내일을 쓰다’ 또한 518번 버스를 타고 노선을 따라가며 시민들로부터 5·18에 대한 인식과 의미를 듣는 내용으로 채워졌다. 영상에서 광주시민들은 “45년이 지났어도 우리만의 의미로 오월의 기억을 계속 써내려가겠다”는 다짐을 했다.
/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