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이혼가정 부모-자녀 만남 돕는다
‘면접교섭 서비스’ 본격 지원
광주시가 이혼가정의 부모가 미성년 자녀를 만날수 있도록 중재에 나선다.
13일 광주시에 따르면 이혼 등으로 양육환경이 급변한 가정의 미성년 자녀를 위한 ‘면접교섭 서비스’를 본격 지원한다. ‘면접교섭 서비스’는 이혼 등으로 자녀와 떨어져 지내는 비양육 부모가 정기적으로 만남을 갖거나 전화, 이메일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교류할 수 있도록 돕는 제도다.
광주시는 ‘만나봄(면접교섭) 센터’로 지정된 광주동구·남구·북구가족센터 등 3개 기관을 통해 면접교섭의 방법·시간·장소·자녀 인도 방식 등에 대한 중재 서비스를 제공한다.
미성년 자녀의 심리상담과 교육, 부모와 자녀 간 관계 개선 프로그램 등을 함께 지원해 자녀의 정서적 안정과 건강한 성장, 변화된 환경에 대한 적응을 돕는다.
광주시는 면접교섭의 안정성과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지역 가족센터를 거점으로 활용하고, 자녀가 성인이 될 때까지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만남이 가능하도록 신뢰 회복과 유대감 형성을 위한 환경 조성에 주력할 계획이다.
서비스는 미성년 자녀의 양육 부·모와 비양육 부·모 모두 신청할 수 있으며, 전국대표전화 또는 각 가족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상담이나 신청을 하면 된다.
광주시는 앞으로도 이혼 등으로 정서적 불안을 겪는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심리회복 프로그램과 상담 연계 서비스를 지속 확대할 방침이다.
한편 2024년 통계청 자료 분석결과 광주지역 이혼건수는 총 2258건(협의이혼 1829건, 재판이혼 429건)으로 전국 이혼건수(9만1151건)의 약 2.47%를 차지하며, 이로 인한 서비스 대상 미성년 자녀 수는 1129명으로 추산된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13일 광주시에 따르면 이혼 등으로 양육환경이 급변한 가정의 미성년 자녀를 위한 ‘면접교섭 서비스’를 본격 지원한다. ‘면접교섭 서비스’는 이혼 등으로 자녀와 떨어져 지내는 비양육 부모가 정기적으로 만남을 갖거나 전화, 이메일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교류할 수 있도록 돕는 제도다.
미성년 자녀의 심리상담과 교육, 부모와 자녀 간 관계 개선 프로그램 등을 함께 지원해 자녀의 정서적 안정과 건강한 성장, 변화된 환경에 대한 적응을 돕는다.
광주시는 면접교섭의 안정성과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지역 가족센터를 거점으로 활용하고, 자녀가 성인이 될 때까지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만남이 가능하도록 신뢰 회복과 유대감 형성을 위한 환경 조성에 주력할 계획이다.
광주시는 앞으로도 이혼 등으로 정서적 불안을 겪는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심리회복 프로그램과 상담 연계 서비스를 지속 확대할 방침이다.
한편 2024년 통계청 자료 분석결과 광주지역 이혼건수는 총 2258건(협의이혼 1829건, 재판이혼 429건)으로 전국 이혼건수(9만1151건)의 약 2.47%를 차지하며, 이로 인한 서비스 대상 미성년 자녀 수는 1129명으로 추산된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