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한동훈 “수도권 과밀 문제, 전략과 집중이 해법”
한국지방신문협회 대선후보 공동 인터뷰
전국에 5개 메가폴리스 조성
탄핵 찬성은 국민에 대한 의리
전국에 5개 메가폴리스 조성
탄핵 찬성은 국민에 대한 의리
![]() |
국민의힘 대선 후보 경선 주자인 한동훈 전 대표는 “수도권 집중과 지역 발전 문제를 단순한 분산이 아니라 ‘전략적 집중’으로 풀겠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 전 대표는 29일 서울 여의도 본인의 경선 캠프 사무실에서 광주일보 등 9개 지역 대표 언론사 모임인 한국지방신문협회와 인터뷰를 통해 이 같은 지역 균형발전에 대한 비전과 지역 공약 등을 공개했다. 다음은 한동훈 전 대표와의 일문일답.
-지방분권과 지방균형발전에 대한 전략과 비전은.
▲5대 메가폴리스 구상을 발표했다. 핵심은 제대로 된 산업 유치다. ‘규제제로특구’는 국가전략 5대 산업분야(AIㆍ바이오ㆍ에너지ㆍ미래차ㆍ반도체)에 대응하는 특구로, 이미 일정 수준의 기반이 갖춰진 도시를 선정해 그 안에서는 관련 산업분야 규제를 완전 철폐하는 것이다. 그리고 규제제로특구에 수도권 부동산 매각대금을 투자하면, 양도세를 5년 이상 투자시 50% 감면, 10년 이상 투자시 전액 면제하는 ‘조세제로펀드’가 이를 뒷받침한다. 이렇게 해서 지역에 산업클러스터가 조성되고 ‘집중’이 일어나게 하겠다.
-대선에 도전하는 각오는.
▲시대교체를 약속드리며 이번 대선에 출마했다. 계엄으로 탄핵된 대통령의 자리를 30번의 줄탄핵을 한 야당 대표로 채우는 ‘공수교대’여선 안 된다. 수명을 다한 87체제의 문을 닫고 정치교체, 세대교체를 포괄하는 ‘시대교체’를 해야 한다. 물론 이러한 시대교체는 정치가 본래 할 일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다. 시대교체를 통해 그런 정치를 끝내고 국민이 먼저인 나라, 성장하는 중산층의 시대를 열자는 것이다. 그렇게 해서, 정치가 국민 한 분 한 분의 평화로운 ‘아주 보통의 하루’를 지켜드릴 수 있는 본래의 역할을 다하도록 하는 대통령이 되겠다.
-탄핵에 찬성했다는 보수의 지적에 대해서는.
▲역으로 묻고 싶다. 그분들은 그럼 2024년 12월 3일 밤 10시 30분에 국민의힘 당대표였다면 계엄을 저지하지 말았어야 한다는 것인가. 그리고 계엄은 결코 2시간짜리 해프닝이 될 수도 없다. 그런 말씀을 하시는 분들이야말로 국민과 당원, 지지자들을 배신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정치인의 의리는 대한민국과 대한민국 국민에 대한 의리가 먼저여야 한다. 그분들의 마음과 제 마음에는 중요한 공통점이 있다. 그분들의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과, 위험한 사람이 절대권력을 휘두르는 세상을 막겠다는 제 마음은 정확히 같다. 윤 전 대통령은 이제 과거로 보내드리고, 우리는 미래로 나아가야 한다. 우리의 미래를 위해 함께 이기는 길로 나아가자는 말씀을 드린다. 저 한동훈은 이기는 선택이다.
-‘반명 빅텐트’에 대한 구체적인 견해는.
▲경선에서 압도적으로 승리한 다음 본선 승리를 위해 모든 분들과 함께 할 것이라고 말씀드렸다. 자유민주주의와 공화주의, 법치주의의 가치를 공유하고 이재명 괴물정권의 탄생을 막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분들이라면 누구나 함께 할 수 있다. 다같이 뭉치는 데에 방법의 제한을 생각하고 있지 않다.
-국민통합 방안은.
▲정치의 극단적 대립이 사회 분열을 심화시키고 있다. 87체제가 전제한 ‘절제’가 무너져 수명을 다하면서 극단적 대립이 극심해졌다. 30번의 줄탄핵과 계엄은 그런 절제가 무너진 결과다. 결국 수명이 다한 87체제를 끝내고 개헌을 통해 완전히 새로운 시대로 넘어가는 ‘시대교체’만이 해법이다. 계엄을 한 대통령의 자리를 30번의 줄탄핵을 한 야당 대표로 채우는 것은 ‘공수교대’에 불과할 뿐, 극단적 대립의 정치는 더 극심하게 반복될 수 밖에 없다. 개헌과 시대교체를 통해 여야가 ‘정치’를 해야 하고 협치하지 않을 수 없는 구조를 새롭게 만들어야 한다. 극단적 대립의 정치를 마감해야 진정한 의미의 국민통합도 가능하다.
-여소야대 정국 어떻게 풀 것인가.
▲반드시 이겨야 하는 선거라는 점에서 이번 대선은 전쟁이라고 말씀드리기도 했지만, 그 전쟁 같은 선거가 끝나면 ‘정치’를 해야 한다는 점도 일관되게 말씀드리고 있다. 저는 당선되면 제 임기를 3년으로 단축해서라도 개헌과 시대교체를 이루겠다고 처음부터 약속드렸다. 이 ‘임기 3년 단축 개헌’이 정치를 복원하고 협치의 물꼬를 트는 중요한 연결고리가 될 수 있다. 야당으로서는 5년 후보다는 3년 후에 재도전의 기회를 얻기 원할 것이므로 당연히 개헌에 동참할 유인이 있다. 정치 복원은 바로 이 지점에서부터 시작될 것이다.
/한국지방신문협회 공동취재단=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
/사진=경인일보 김우성 기자
한 전 대표는 29일 서울 여의도 본인의 경선 캠프 사무실에서 광주일보 등 9개 지역 대표 언론사 모임인 한국지방신문협회와 인터뷰를 통해 이 같은 지역 균형발전에 대한 비전과 지역 공약 등을 공개했다. 다음은 한동훈 전 대표와의 일문일답.
▲5대 메가폴리스 구상을 발표했다. 핵심은 제대로 된 산업 유치다. ‘규제제로특구’는 국가전략 5대 산업분야(AIㆍ바이오ㆍ에너지ㆍ미래차ㆍ반도체)에 대응하는 특구로, 이미 일정 수준의 기반이 갖춰진 도시를 선정해 그 안에서는 관련 산업분야 규제를 완전 철폐하는 것이다. 그리고 규제제로특구에 수도권 부동산 매각대금을 투자하면, 양도세를 5년 이상 투자시 50% 감면, 10년 이상 투자시 전액 면제하는 ‘조세제로펀드’가 이를 뒷받침한다. 이렇게 해서 지역에 산업클러스터가 조성되고 ‘집중’이 일어나게 하겠다.
▲시대교체를 약속드리며 이번 대선에 출마했다. 계엄으로 탄핵된 대통령의 자리를 30번의 줄탄핵을 한 야당 대표로 채우는 ‘공수교대’여선 안 된다. 수명을 다한 87체제의 문을 닫고 정치교체, 세대교체를 포괄하는 ‘시대교체’를 해야 한다. 물론 이러한 시대교체는 정치가 본래 할 일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다. 시대교체를 통해 그런 정치를 끝내고 국민이 먼저인 나라, 성장하는 중산층의 시대를 열자는 것이다. 그렇게 해서, 정치가 국민 한 분 한 분의 평화로운 ‘아주 보통의 하루’를 지켜드릴 수 있는 본래의 역할을 다하도록 하는 대통령이 되겠다.
-탄핵에 찬성했다는 보수의 지적에 대해서는.
▲역으로 묻고 싶다. 그분들은 그럼 2024년 12월 3일 밤 10시 30분에 국민의힘 당대표였다면 계엄을 저지하지 말았어야 한다는 것인가. 그리고 계엄은 결코 2시간짜리 해프닝이 될 수도 없다. 그런 말씀을 하시는 분들이야말로 국민과 당원, 지지자들을 배신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정치인의 의리는 대한민국과 대한민국 국민에 대한 의리가 먼저여야 한다. 그분들의 마음과 제 마음에는 중요한 공통점이 있다. 그분들의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과, 위험한 사람이 절대권력을 휘두르는 세상을 막겠다는 제 마음은 정확히 같다. 윤 전 대통령은 이제 과거로 보내드리고, 우리는 미래로 나아가야 한다. 우리의 미래를 위해 함께 이기는 길로 나아가자는 말씀을 드린다. 저 한동훈은 이기는 선택이다.
-‘반명 빅텐트’에 대한 구체적인 견해는.
▲경선에서 압도적으로 승리한 다음 본선 승리를 위해 모든 분들과 함께 할 것이라고 말씀드렸다. 자유민주주의와 공화주의, 법치주의의 가치를 공유하고 이재명 괴물정권의 탄생을 막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분들이라면 누구나 함께 할 수 있다. 다같이 뭉치는 데에 방법의 제한을 생각하고 있지 않다.
-국민통합 방안은.
▲정치의 극단적 대립이 사회 분열을 심화시키고 있다. 87체제가 전제한 ‘절제’가 무너져 수명을 다하면서 극단적 대립이 극심해졌다. 30번의 줄탄핵과 계엄은 그런 절제가 무너진 결과다. 결국 수명이 다한 87체제를 끝내고 개헌을 통해 완전히 새로운 시대로 넘어가는 ‘시대교체’만이 해법이다. 계엄을 한 대통령의 자리를 30번의 줄탄핵을 한 야당 대표로 채우는 것은 ‘공수교대’에 불과할 뿐, 극단적 대립의 정치는 더 극심하게 반복될 수 밖에 없다. 개헌과 시대교체를 통해 여야가 ‘정치’를 해야 하고 협치하지 않을 수 없는 구조를 새롭게 만들어야 한다. 극단적 대립의 정치를 마감해야 진정한 의미의 국민통합도 가능하다.
-여소야대 정국 어떻게 풀 것인가.
▲반드시 이겨야 하는 선거라는 점에서 이번 대선은 전쟁이라고 말씀드리기도 했지만, 그 전쟁 같은 선거가 끝나면 ‘정치’를 해야 한다는 점도 일관되게 말씀드리고 있다. 저는 당선되면 제 임기를 3년으로 단축해서라도 개헌과 시대교체를 이루겠다고 처음부터 약속드렸다. 이 ‘임기 3년 단축 개헌’이 정치를 복원하고 협치의 물꼬를 트는 중요한 연결고리가 될 수 있다. 야당으로서는 5년 후보다는 3년 후에 재도전의 기회를 얻기 원할 것이므로 당연히 개헌에 동참할 유인이 있다. 정치 복원은 바로 이 지점에서부터 시작될 것이다.
/한국지방신문협회 공동취재단=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
/사진=경인일보 김우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