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민주묘지 1·2묘역 통합…3900여기 묘 추가
2묘역엔 납골당·주차장
유족회 “의견 수렴 미흡”
2025년 01월 23일(목) 19:15
국립5·18민주묘지 전경. <광주일보 자료사진>
국립5·18민주묘지가 국립묘지 승격 20주년을 맞아 대대적인 리모델링을 예고<광주일보 2022년 9월 2일자 6면>한데 따른 묘지 확장 계획의 큰 틀이 잡혔다.

국립5·18민주묘지관리사무소는 23일 광주시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국립5·18민주묘지 발전방안 수립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묘지 개선안은 이용률이 낮고 침수 문제가 불거졌던 2묘역을 1묘역과 통합해 묘 4000여기를 추가 확보하고, 이장을 마친 2묘역 공간에는 주차장과 납골당 등을 조성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국립5·18민주묘지는 총 1996기의 묘 중 1018기에 유공자 시신이 안장돼 있으며, 생존 유공자 3400여명의 시신이 묻힐 공간이 추가로 필요하다는 지적이 이어져 왔다.

묘역 확장의 제1안은 추모탑이 있는 참배광장(추모탑 앞 광장)을 묘역으로 바꿔 최대 6000여기 묘를 조성하는 안이다. 제2안은 참배광장 일부를 묘역으로 바꾸고 3900여기 묘를 추가하는 안이다. 제3안은 1묘역 뒷면의 산지(사유지)를 매입해 묘역을 조성하는 안이나, 경사도가 심해 최소 5만㎡ 이상 토지를 확보해야 하는 터라 타당성이 낮다는 단점이 지적됐다.

민주묘지사무소는 유관 단체 의견을 수렴해 국가보훈부에 용역 결과를 제출하고, 기본계획과 실시설계를 거쳐 본격적인 공사에 나설 방침이다. 이에 따라 이르면 2028년께 첫 삽을 뜰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공법단체 5·18민주유공자 유족회는 같은 날 입장문을 내고 “국립5·18민주묘지 측에서 유족 의견수렴 절차를 소홀히 하고 독단적으로 개선안을 밀어붙이고 있다”고 반발했다.

5·18유족회는 “2묘역 이장과 1묘역 확장을 무조건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묘지의 역사적 상징성과 5·18의 정체성인 광장을 훼손하지 않는 한에서 논의를 하겠다는 것”이라며 “김범태 국립5·18민주묘지 소장은 독단적인 추진을 즉각 중단하고, 모든 오월 단체들과의 충분한 협의와 소통을 바탕으로 새로운 논의의 장을 마련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737627300779325112
프린트 시간 : 2025년 04월 30일 23:2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