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조선대병원 고육책…결국 전공의 사직 처리 유보
전공의 수도권 쏠림 우려에 깊은 고민
상반기 결원 68명만 후반기 모집 신청
정부 정원 축소 땐 지방필수의료 공백
미복귀 전공의 “빠른 사직처리” 요구
상반기 결원 68명만 후반기 모집 신청
정부 정원 축소 땐 지방필수의료 공백
미복귀 전공의 “빠른 사직처리” 요구
![]() 18일 오후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 전공의 전용공간의 모습. /연합뉴스 |
광주·전남 수련병원인 전남대병원과 조선대병원이 정부 방침과 달리 전공의들의 사직처리를 유보하고 올 상반기 전공의(인턴·레지던트) 모집 당시 결원만 후반기에 모집하기로 했다.
하지만, 정부가 전공의 사직처리를 미루고 사직 규모를 제출하지 않은 수련병원에 대해서는 전공의 정원 축소를 적극 검토하겠다는 입장이어서 광주지역 수련병원이 곤혹스런 처지에 놓였다.
의료인력의 수도권 쏠림 현상 때문에 전공의 사직처리를 유보할 수 밖에 없는 처지에서 정부가 패널티까지 적용한다면 필수의료 공백 사태가 우려되기 때문이다.
18일 전남대병원과 조선대병원은 전날 보건복지부 장관 직속 수련환경평가위원회(수평위)에 후반기 전공의 모집 정원 인원(TO)으로 총 68명을 신청했다.
양 병원은 병원을 떠난 전공의(전남대병원 231명, 조선대병원 96명)들에 대한 사직처리는 유보했다. 정부방침 대로라면 이날까지 미복귀 전공의 사직 처리를 마치고, 결원 규모를 확정해 보건복지부 장관 직속 수평위에 제출해야 했다.
전남대병원은 하반기 전공의 모집인원으로 총 28명(소아청소년과, 흉부외과 등 레지던트), 조선대병원은 인턴 36명, 레지던트 4명을 정부에 신청했다. 이들은 상반기 전공의 채용 당시 채우지 못한 인원이다.
조선대와 전남대 병원이 결원을 하반기 모집인원으로 정한 데는 전공의들의 수도권 쏠림현상으로 지역 상급병원에 지원하는 전공의가 소수에 그칠 것이라는 판단<7월16일자 광주일보 6면>이 작용했다. 이들 병원은 대한수련병원협의회와 함께 논의해 이러한 고육책을 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전공의 복귀 회유책으로 오는 9월부터 수련을 시작하는 하반기 전공의 모집 시부터 지방의 사직 전공의들이 타지역 병원 등에 지원할 수 있도록 이른바 ‘권역 제한’은 하지 않기로 방침을 정했다. 결국, 전공의들이 수도권으로 쏠릴 수밖에 없는 구조다. 더구나 하반기 모집을 하더라도 전공의들의 응시가 많지는 않을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도 나온다.
양 병원은 전공의들의 사직처리를 하면 이 인원을 다시 채울수 없다는 현실적인 문제 때문에 전공의들을 최대한 설득해 병원에 복귀시키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광주·전남 수련병원 전공의들은 사직 처리 유보나 설득보다는 빠른 사직처리를 거듭 요구하고 있다.
한 전공의는 “너무 오랫동안 일을 못했기 때문에 사직 후 경제활동을 하고싶다”면서 “정부가 모든 요구안을 다 받아주고 의료계와 정부의 협상이 잘 되더라도 이미 망가져버린 의료환경에서는 일을 할 수 없다”고 토로했다.
수련병원 관계자는 “정부가 비수도권 필수 의료를 강화하려는 생각이 있다면 비수도권 필수 의료인력을 먼저 배치하는 방안을 고민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볼멘 소리를 했다.
정부는 일정대로 하반기 전공의 모집을 강행할 방침이다. 오는 22일부터 하반기 전공의 모집 일정을 시작해 이달 말까지 모집을 마친다는 것이다.
다음달에는 수련병원별로 필기·실기 시험을 실시해 최종 합격자들은 9월 1일부터 하반기부터 의료현장에 투입하겠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수련병원들에게 사직처리를 서두르라고 종용하고 있다. 전공의 대다수가 뚜렷한 복귀 의사를 밝히지 않음에 따라 전체 전공의 1만3000여명 중 1만명 이상이 사직 처리될 것으로 파악했으나, 지역 수련병원들이 사직처리를 미루고 있기 때문이다.
김국일 복지부 보건의료정책관은 18일 정부브리핑에서 “이번에 사직 처리를 하면서 (사직 규모를) 제출 안 한 병원에 대해서는 전공의 정원 축소를 적극적으로 검토할 것이고, 감원 규모는 사정을 고려해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하지만, 정부가 전공의 사직처리를 미루고 사직 규모를 제출하지 않은 수련병원에 대해서는 전공의 정원 축소를 적극 검토하겠다는 입장이어서 광주지역 수련병원이 곤혹스런 처지에 놓였다.
18일 전남대병원과 조선대병원은 전날 보건복지부 장관 직속 수련환경평가위원회(수평위)에 후반기 전공의 모집 정원 인원(TO)으로 총 68명을 신청했다.
양 병원은 병원을 떠난 전공의(전남대병원 231명, 조선대병원 96명)들에 대한 사직처리는 유보했다. 정부방침 대로라면 이날까지 미복귀 전공의 사직 처리를 마치고, 결원 규모를 확정해 보건복지부 장관 직속 수평위에 제출해야 했다.
조선대와 전남대 병원이 결원을 하반기 모집인원으로 정한 데는 전공의들의 수도권 쏠림현상으로 지역 상급병원에 지원하는 전공의가 소수에 그칠 것이라는 판단<7월16일자 광주일보 6면>이 작용했다. 이들 병원은 대한수련병원협의회와 함께 논의해 이러한 고육책을 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전공의 복귀 회유책으로 오는 9월부터 수련을 시작하는 하반기 전공의 모집 시부터 지방의 사직 전공의들이 타지역 병원 등에 지원할 수 있도록 이른바 ‘권역 제한’은 하지 않기로 방침을 정했다. 결국, 전공의들이 수도권으로 쏠릴 수밖에 없는 구조다. 더구나 하반기 모집을 하더라도 전공의들의 응시가 많지는 않을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도 나온다.
양 병원은 전공의들의 사직처리를 하면 이 인원을 다시 채울수 없다는 현실적인 문제 때문에 전공의들을 최대한 설득해 병원에 복귀시키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광주·전남 수련병원 전공의들은 사직 처리 유보나 설득보다는 빠른 사직처리를 거듭 요구하고 있다.
한 전공의는 “너무 오랫동안 일을 못했기 때문에 사직 후 경제활동을 하고싶다”면서 “정부가 모든 요구안을 다 받아주고 의료계와 정부의 협상이 잘 되더라도 이미 망가져버린 의료환경에서는 일을 할 수 없다”고 토로했다.
수련병원 관계자는 “정부가 비수도권 필수 의료를 강화하려는 생각이 있다면 비수도권 필수 의료인력을 먼저 배치하는 방안을 고민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볼멘 소리를 했다.
정부는 일정대로 하반기 전공의 모집을 강행할 방침이다. 오는 22일부터 하반기 전공의 모집 일정을 시작해 이달 말까지 모집을 마친다는 것이다.
다음달에는 수련병원별로 필기·실기 시험을 실시해 최종 합격자들은 9월 1일부터 하반기부터 의료현장에 투입하겠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수련병원들에게 사직처리를 서두르라고 종용하고 있다. 전공의 대다수가 뚜렷한 복귀 의사를 밝히지 않음에 따라 전체 전공의 1만3000여명 중 1만명 이상이 사직 처리될 것으로 파악했으나, 지역 수련병원들이 사직처리를 미루고 있기 때문이다.
김국일 복지부 보건의료정책관은 18일 정부브리핑에서 “이번에 사직 처리를 하면서 (사직 규모를) 제출 안 한 병원에 대해서는 전공의 정원 축소를 적극적으로 검토할 것이고, 감원 규모는 사정을 고려해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