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여점의 다양한 차 숟가락 한자리에
소암미술관 임성택 초대전 ‘햇차를 기다리며’ 전 5월 12일까지
2024년 04월 24일(수) 17:20
‘차 숟가락’
곡우는 24절기 중 여섯 번째 절기로 본격적인 농사철이 시작되는 시기다. 대략 4월 20일로, 봄비가 자주 내리며 나무에도 물이 많이 오르는 시기다.

곡우 절기 무렵부터는 녹차의 세작이 나온다. 옛 선조들은 곡우에 따서 만든 첫차를 마시는 것을 호사로 여겼다. 새로운 차맛에서 일상의 여유와 삶의 고단함을 풀곤 했다.

차를 마실 때 필요한 숟가락을 차칙(茶則) 또는 차시(茶匙)라고 한다. 차칙은 차를 담는 차호를 비롯해 차통, 차를 내리는 행다에서 중요한 도구다.

차 숟가락 100여점을 볼 수 있는 전시가 열리고 있어 눈길을 끈다.

소암미술관에서(관장 양동호, 5월 12일까지) 열리는 ‘햇차를 기다리며’전은 임성택 작가의 작품을 만날 수 있다. 임 작가는 지난 20여 년간 나무를 다듬고 새기는 목공예 작업을 해왔다. 작품에는 한 눈 팔지 않고 한 길로만 매진해온 작가의 예술에 대한 열정이 투영돼 있다.

‘차 숟가락’
임 작가가 목공예로 들어선 것은 우연히 선암사에서 스님과 차를 마시다가 완상용 차칙을 접하고서였다. 눈에 비친 차 숟가락은 단순한 도구가 아닌 예술 그 자체였다.

차시를 만들기 위해서는 대를 반쪽으로 나누고 다른 한쪽을 얇게 깎아 내야 한다. 선비차의 경우에는 원형 대나무의 한쪽만을 대각선으로 잘라 떠내기 좋게 만든다. 대나무를 주로 쓰는 이유는 차향을 저해하지 않은데다 냄새가 나지 않기 때문이다.

임 작가의 작품은 먹감나무를 바탕으로 한 차시다. 유연하면서도 올곧은 느낌이 작가의 작품세계를 대변한다. 예술적인 조형미와 고아한 아름다움이 있어 보는 이에게 즐거움을 선사한다.

양동호 관장은 “차를 마시는 음다예의는 귀로는 찻물 끓는 소리를, 눈으로 차 색깔을, 입으로 차의 맛을, 손으로 찻잔의 감촉을 즐기기 위함”이라며 “이번 임성택 작가의 초대전에서는 차는 물론 차시가 주는 담담한 위로와 유려한 곡선의 조형미를 느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713946800767376007
프린트 시간 : 2025년 07월 09일 20:1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