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남 나주혁신산단협의회장 “국가 균형발전 취지 걸맞게 지역중기 지원 제도 장치 필요”
[위기의 전남산단 변화가 필요하다] <2>
2023년 06월 07일(수) 18:40
이남 나주혁신산단협의회장(이화산업전력㈜ 대표이사)이 지난 2일 나주 혁신산단에 있는 사업장에서 전력 설비 개발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한전만 쳐다보는 나주 혁신산단은 한정된 발주량에 다른 지역에 연고를 둔 기업들이 뛰어들면서 ‘제로섬’의 처지에 놓여있습니다.”

이남 나주혁신산단협의회장(이화산업전력㈜ 대표이사·사진)은 나주 혁신산단 입주기업 48개사와 협의체를 구성하고 지역 중소기업의 권익 보호에 나섰다.

협의회 회장사를 맡는 이화산업전력㈜은 지난 2016년 나주 혁신산단 입주기업 2호에 이름을 올렸다.

이 회장은 법이 정한 공공기관 우선구매 목표 수치인 ‘20%’에 매몰돼 지역 기업들이 스스로 성장할 기회를 놓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혁신도시의 국가 균형발전 취지에 걸맞게 지역 중소기업을 지원할 수 있는 법과 제도가 필요하다”며 “지역 중소기업 우선구매 할당량인 20%에 너도나도 매달리니 오히려 매출이 줄어들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4월19일 이남(오른쪽) 나주혁신산단협의회장 등이 국회를 찾아 지역 중소기업 우선구매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특별법’ 개정을 촉구하고 있다.<협의회 제공>
지역 중소기업에게 ‘한전 수의계약’은 놓칠 수 없는 기회다.

하지만 기술력과 인적 자원이 턱없이 부족한 지역 업체들이 기존 거래 기업의 아성을 무너뜨리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이 회장은 나주 혁신산단 이전을 위해 토지 구매와 공장 설비에 30억원을 투자했다. 최근 2년 동안에는 전력 설비 개발을 위해 17억원을 투입했다.

“지역 기업들이 한전 계약 문턱을 넘는 건 ‘별 따기’와 같습니다. ‘5년 이상 경력자’ 등 인력 조건이 버겁고 연구개발(R&D)이나 실증을 한 번 추진하기에도 경제적·시간적 부담이 상당하죠. 코로나19 확산 직전이었던 2019년부터 불경기가 지속하고 있어 기업 투자는 더욱 위축될 수밖에 없습니다.”

이 회장은 지난 4월19일 국회를 찾아 지방중소기업 특별지원지역 지정 만료를 앞두고 기업들의 판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도 보완을 요청했다.

“본사가 수도권 등 다른 지역에 있으면서 일부 사업장만 혁신산단에 두고 있어서 실제 공장 가동률은 10%도 겨우 넘을 것이라 예측합니다. 지역에서 직접 고용을 창출하고 새로운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진짜’가 혁신산단에서 활동하며 지역경제를 이끌어가야 합니다.”

/나주=글·사진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686130800753315005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10일 01:3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