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노무현 서거 14주기에 “노무현 정신 기억하자” 한 목소리
봉하마을 4500여명 참석 추도식
국힘 “참여 민주주의 돈으로 오염”
민주 “불통 대통령 민주주의 위협”
국힘 “참여 민주주의 돈으로 오염”
민주 “불통 대통령 민주주의 위협”
![]() 문재인 전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23일 오후 경남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에서 열린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4주기 추도식에 노무현 전 대통령 부인 권양숙 여사와 참석하고 있다. [공동취재] |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4주기 추도식이 23일 경남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에서 엄수됐다. ‘역사는 더디지만, 진보한다’가 올해 추도식 주제다. 노무현 재단은 ‘역사는 더디지만, 진보한다’고 믿은 노 전 대통령의 생각을 나누겠다는 의지를 담아 주제를 정했다.
노무현 재단은 추도식에 참석한 4500여명을 포함해 참배객 등 7000여명이 봉하마을을 찾은 것으로 추산했다.
이날 추도식에는 권양숙 여사, 아들 노건호 씨, 딸 노정연·곽상언 부부 등 노 전 대통령 가족과 문재인 전 대통령 부부, 한덕수 국무총리, 여야 정치권 인사, 시민들이 추도식에 참석했다.
지난해 퇴임 후 5년 만에 추도식을 찾았던 문 전 대통령은 부인 김정숙 여사와 함께 2년 연속 참석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진복 정무수석과 추모 화환을 보내 고인을 추모하고 애도의 뜻을 표했다.
노무현 정부 때 국무총리를 지낸 한덕수 총리는 정부 대표로 지난해에 이어 봉하마을을 찾았다. 김진표 국회의장, 한덕수 총리,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이 추도사를 낭독했다.
김진표 국회의장은 “노 전 대통령은 책임정치에 충실하고 국정 연속성을 높이고자, 4년 연임제 원 포인트 개헌 제안을 했지만, 떠난 지 14년이 다 되도록 우리는 유업을 이뤄드리지 못하고 있다”며 “제가 정치 인생을 마무리할 시간이 머지않았지만, 온 정성으로 정치개혁 유업을 이루겠다”고 말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노 전 대통령은 원칙과 용기를 가지고 열심히 일한 대통령으로 그 단단한 신념, 우직한 한 걸음이 대한민국을 더 나은 미래로 이끌었다”며 “‘강은 바다로 가는 것을 포기하지 않는다’는 말씀처럼 소외된 약자를 보듬고,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민생에 온기를 더하겠다”고 다짐했다.
정세균 노무현재단 이사장은 “‘대통령 노무현’은 특정 진영, 정파가 아니라 국민 모두의 대통령이었다”며 “이제 우리가 뜻을 이어, 깨어있는 시민들의 성숙한 민주주의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감사 인사를 전했다.
정치권 인사들도 대거 참석했다. 민주당은 이재명 대표, 박광온 원내대표 등 지도부, 당 소속 의원들과 이해찬 전 대표 등 원로 인사들까지 집결했다.
여권 인사들도 봉하마을에 모였다.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 구자근 대표비서실장, 윤희석 대변인, 정점식 경남도당 위원장 등이 함께했다. 정의당 이정미 대표, 배진교 원내대표, 진보당 윤희숙 대표 역시 추도식 자리를 지켰다.
여야는 이날 일제히 ‘노무현 정신’ 계승을 다짐하면서도 한편 상대를 향한 견제구를 날리며 ‘신경전’을 벌이기도 했다.
민주당 강선우 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에서 “민주당은 ‘진짜 노무현’에게 다시 돌아간다”며 “‘노무현 정신’을 말이 아닌 행동으로 보여드리고 매일 실천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윤 대통령을 향해 “노 전 대통령의 영화를 보고 2시간 동안 울었다고 하지만 제1야당과는 단 20분도 마주 앉아 대화한 적 없다”며 “‘불통 대통령’에게 위협받는 민주주의를 지키겠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윤희석 대변인은 “우리 사회가 직면한 무수한 갈등 속에서 노 전 대통령이 보여준 ‘통합과 원칙의 가치’를 떠올린다”며 “국민 통합과 상생의 가치를 가슴에 새기며 발자취를 기억하겠다”고 논평했다. 그러면서도 “국익에 반하는 선전·선동으로 국민 분열이 초래되고 노 전 대통령이 강조한 참여 민주주의마저 돈으로 오염된 상황이라 그 의미가 더욱 깊게 다가온다”고 민주당을 겨냥했다.
정의당 위선희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사람 사는 세상을 꿈꾸며 대화와 타협의 정치를 실천하셨던 노 전 대통령의 정신을 기린다”며 “‘노무현 정신’을 기억하며 나아가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위 대변인은 “윤석열 정부 집권 이후 민주주의가 퇴행하는 지금, 민주주의의 최후의 보루는 깨어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이라는 고인 말씀이 더욱 깊게 다가온다”고 꼬집었다.
/임동욱 선임기자 tuim@kwangju.co.kr
노무현 재단은 추도식에 참석한 4500여명을 포함해 참배객 등 7000여명이 봉하마을을 찾은 것으로 추산했다.
지난해 퇴임 후 5년 만에 추도식을 찾았던 문 전 대통령은 부인 김정숙 여사와 함께 2년 연속 참석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진복 정무수석과 추모 화환을 보내 고인을 추모하고 애도의 뜻을 표했다.
노무현 정부 때 국무총리를 지낸 한덕수 총리는 정부 대표로 지난해에 이어 봉하마을을 찾았다. 김진표 국회의장, 한덕수 총리,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이 추도사를 낭독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노 전 대통령은 원칙과 용기를 가지고 열심히 일한 대통령으로 그 단단한 신념, 우직한 한 걸음이 대한민국을 더 나은 미래로 이끌었다”며 “‘강은 바다로 가는 것을 포기하지 않는다’는 말씀처럼 소외된 약자를 보듬고,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민생에 온기를 더하겠다”고 다짐했다.
정세균 노무현재단 이사장은 “‘대통령 노무현’은 특정 진영, 정파가 아니라 국민 모두의 대통령이었다”며 “이제 우리가 뜻을 이어, 깨어있는 시민들의 성숙한 민주주의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감사 인사를 전했다.
정치권 인사들도 대거 참석했다. 민주당은 이재명 대표, 박광온 원내대표 등 지도부, 당 소속 의원들과 이해찬 전 대표 등 원로 인사들까지 집결했다.
여권 인사들도 봉하마을에 모였다.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 구자근 대표비서실장, 윤희석 대변인, 정점식 경남도당 위원장 등이 함께했다. 정의당 이정미 대표, 배진교 원내대표, 진보당 윤희숙 대표 역시 추도식 자리를 지켰다.
여야는 이날 일제히 ‘노무현 정신’ 계승을 다짐하면서도 한편 상대를 향한 견제구를 날리며 ‘신경전’을 벌이기도 했다.
민주당 강선우 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에서 “민주당은 ‘진짜 노무현’에게 다시 돌아간다”며 “‘노무현 정신’을 말이 아닌 행동으로 보여드리고 매일 실천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윤 대통령을 향해 “노 전 대통령의 영화를 보고 2시간 동안 울었다고 하지만 제1야당과는 단 20분도 마주 앉아 대화한 적 없다”며 “‘불통 대통령’에게 위협받는 민주주의를 지키겠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윤희석 대변인은 “우리 사회가 직면한 무수한 갈등 속에서 노 전 대통령이 보여준 ‘통합과 원칙의 가치’를 떠올린다”며 “국민 통합과 상생의 가치를 가슴에 새기며 발자취를 기억하겠다”고 논평했다. 그러면서도 “국익에 반하는 선전·선동으로 국민 분열이 초래되고 노 전 대통령이 강조한 참여 민주주의마저 돈으로 오염된 상황이라 그 의미가 더욱 깊게 다가온다”고 민주당을 겨냥했다.
정의당 위선희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사람 사는 세상을 꿈꾸며 대화와 타협의 정치를 실천하셨던 노 전 대통령의 정신을 기린다”며 “‘노무현 정신’을 기억하며 나아가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위 대변인은 “윤석열 정부 집권 이후 민주주의가 퇴행하는 지금, 민주주의의 최후의 보루는 깨어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이라는 고인 말씀이 더욱 깊게 다가온다”고 꼬집었다.
/임동욱 선임기자 tu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