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형 발전 상징 ‘한전공대’ 왜 자꾸 흔드는가
2023년 05월 16일(화) 00:00
국내 유일의 에너지 특화 대학인 한국에너지공대(한전공대)가 개교 1년여 만에 존립을 걱정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정부와 여당이 한전의 적자 대책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한전공대에 대한 출연금 축소를 거론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엊그제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전체 회의에서 “한전 상황이 워낙 어렵기 때문에 한전공대에 대한 출연도 전면적으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한전의 적자가 심각한 만큼 12년간 1조 원 투자를 약정한 한전공대 출연금을 삭감·유예하는 방안을 검토해 달라”는 이종배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기획재정부와 협의해서 최대한 줄이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지역 정치권은 일제히 반발했다. 더불어민주당·정의당·진보당 소속 전남도의원과 민주당 소속 광주시의원들은 “정부는 한전공대 흔들기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민주당 광주시당·전남도당도 “한국에너지공대 설립은 국민의 대표자인 국회가 특별법을 제정, 민주적인 입법 절차를 거쳐 결정된 일”이라며 출연금 축소 등 탄압 행위를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한전공대는 에너지 신산업 육성과 그린 뉴딜·탄소 중립 시대를 이끌 에너지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설립됐다. 광주·전남의 연구개발 역량을 끌어올리기 위한 국가 균형 발전 차원의 배려이기도 했다. 이를 위해 한전은 지난해까지 1724억 원을 출연했다. 대학 건물 완공 등을 위해서는 올해 1588억 원 등 2025년까지 추가 투자가 필요하다. 전남도·나주시는 열악한 재정 여건 속에서도 2031년까지 매년 100억 원씩 총 2000억 원을 출연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전의 출연금이 대폭 깎일 경우 캠퍼스 구축조차 지연돼 정상적인 대학 운영이 사실상 어려워진다. 한전공대는 지난 정부에서 여야 합의로 탄생했다. 그런데 정부가 바뀌었다고 설립 적법성에 대한 표적 감사로 발목을 잡더니 급기야 출연 축소까지 거론하는 것은 정치적 탄압이 아닐 수 없다. 정부와 여당은 명분 없는 한전공대 흔들기를 즉각 중단해야 할 것이다.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684162800752414074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13일 02:2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