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열의 5·18’ 당사자주의 넘어 ‘국민의 5월’로
2023년 05월 11일(목) 00:00
제43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일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5·18단체들의 갈등과 반목이 격화되면서 추모 열기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80년 당시 하나 된 힘으로 민주주의를 지켜 냈던 ‘대동 정신’을 외면한 채 분열로 치닫고 있는 것이다.

5·18민주유공자 유족회와 5·18민주화운동 부상자회, 공로자회 등 세 개 5월 단체는 지난해 공법단체로 새롭게 출범했다. 이에 따라 내부 주도권 다툼을 극복하고 5월 정신 계승의 주체로 발돋움하리라는 지역 사회의 기대가 컸다. 하지만 지난 2월 부상자회와 공로자회가 5·18 당시 계엄군으로 진압에 투입된 특전사 동지회와 ‘용서·화해의 대국민 공동 선언식’을 연 이후 갈등이 재연됐다. 광주 시민사회는 특전사 측의 사과나 반성, 진실 고백이 없었다며 ‘오월정신 지키기 범시도민 대책위원회’를 꾸려 반발했다. 5·18민중항쟁 기념행사위원회는 두 공법단체를 제명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부상자회·공로자회는 특전사 동지회와 헌혈 행사 및 5·18묘지 참배를 이어갈 계획을 밝혀 다툼이 격화되는 양상이다. 두 단체는 5·18행사위와 시민단체들을 불법 단체로 규정, 해체를 촉구하면서 때 아닌 ‘적통 논쟁’까지 벌어졌다.

그러는 사이 전광훈 목사 등 극우 인사들은 ‘5·18 북한 개입’ 등 역사 왜곡을 일삼고 있다. 가짜 뉴스가 판치는데도 5월 단체들은 뿔뿔이 흩어져 한 목소리로 대항하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5·18단체의 분열은 신뢰와 영향력을 스스로 깎아내리는 행위다. ‘당사자주의’를 앞세워 5·18을 사유화하려 한다는 비판이 쏟아지는 이유다.

대한민국 민주화의 초석을 놓은 5·18은 특정 단체의 전유물이 아닌 광주시민, 국민 나아가 세계인 모두의 것이 돼야 한다. 따라서 이번 5·18 기념행사를 5월 단체들은 물론 시민사회와 갈등 해소의 전기로 삼아야 한다. 5월 단체들이 5·18 진상 규명과 정신 계승, 전국화·세계화의 구심점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683730800752246074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13일 02:5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