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이재명표 인적쇄신’ 시동…사무총장 교체가 관건
친이 정책위·기획위원 등 대상
지명직 최고 송갑석 등 유력 거론
비명 ‘퇴진론’은 일단 수면 아래로
李, 지지층 분열 행위 자제 당부
지명직 최고 송갑석 등 유력 거론
비명 ‘퇴진론’은 일단 수면 아래로
李, 지지층 분열 행위 자제 당부
![]()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인적쇄신에 나서면서 그의 거취를 둘러싼 당 내홍이 일단 수면 아래로 들어가는 모습이다. 하지만, 사무총장 교체 여부가 아직 결정되지 않아 인적쇄신 카드가 당의 결집이라는 성과를 거둘 것인지는 미지수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 대표는 지난 24일 호남 몫 지명직 최고위원인 임선숙 최고위원의 사의를 수용했다. 이와 함께 이재명 대표와 가까운 의원 모임인 ‘7인회’ 출신 김병욱 정책위 수석부의장, 문진석 전략기획위원장, 김남국 미래사무부총장 등도 개편 대상에 올라있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 청담동 술자리 참석 의혹’을 제기했던 김의겸 대변인 등 원내·원외 대변인 일부도 교체할 것으로 보인다.
이들을 당직에서 물러나게 하고 친명(친이재명)계 색깔이 옅은 인물들을 배치한다면 화합·탕평의 의미를 부각할 수 있다. 임 최고위원의 자리에 비명(비이재명)계인 광주의 송갑석 의원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전남의 서삼석 의원과 광주의 이병훈 의원의 이름도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임오경 민주당 대변인은 26일 오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당직개편에 대한) 결론은 이르면 이번 주 중에 나올 수 있지만 조금 더 늦어질 수도 있다”고 했다. 최근 사의를 표명한 임선숙 최고위원에 대해서는 “사의 표명 후에도 (바로 수리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사람을 섭외해 교체하느냐의 문제가 남아있다”며 “한 사람 만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교체 대상이 누구인지도 검토해야 한다”고 했다.
이 대표의 인적쇄신이 당내 공감을 얻는다면 강성 비명계 일부 의원을 제외하면 그를 향한 퇴진론은 일단 힘을 잃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 하지만, 인적 쇄신의 수위가 비명계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 또 다른 갈등이 시작될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비명계가 요구하는 인적 쇄신의 핵심은 조정식 사무총장이라는 게 대체적인 해석이다. 사무총장이 내년 총선 공천에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만큼 사무총장을 교체해야 인적 쇄신의 진정성도 보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대표를 향해 ‘쓴소리’를 이어 온 당 원로인 유인태 전 국회 사무총장은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5선이 사무총장을 하는 것은 모양이 안 좋다”며 “이 대표가 (인적 쇄신을 요구하는 의원들의) 말을 얼마나 들을지 지켜봐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도 “인적쇄신은 배려라기 보다는 정치적 결단”이라며 “이 대표가 보다 과감한 결단으로 위기를 타개하고 당의 결집을 이끌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결국 이번 당직 개편에서 조 사무총장이 유임되면 인적 쇄신의 진정성 논란이 불거지면서 이 대표에 대한 퇴진론이 다시 고개를 들 가능성이 크다. 여기에 쌍방울 대북 송금 의혹 등과 관련해 검찰이 다시 이 대표를 소환하거나 추가로 체포 동의 요구가 국회에 넘어오는 경우에도 이 대표 체제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어 보인다.
한편,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지난 25일 자신의 SNS에 “조작된 이미지로 민주당 소속 의원의 명예를 훼손한 행위에 대해 당 차원에서 철저히 조사한 후 단호히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비명계 의원들을 ‘수박’(겉과 속이 다른 사람) 등으로 지목하며 강하게 비난해 왔던 강성 지지층을 겨냥한 것으로 당내 통합을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이 대표는 “총선 승리의 가장 큰 장애는 분열과 갈등”이라며 “민주당원이라면, 이재명의 지지자라면 더 크게, 더 넓게, 더 멀리 보고 갈등 균열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승리의 길이자 이재명이 가는 길”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임동욱 선임기자 tuim@kwangju.co.kr
이 대표는 지난 24일 호남 몫 지명직 최고위원인 임선숙 최고위원의 사의를 수용했다. 이와 함께 이재명 대표와 가까운 의원 모임인 ‘7인회’ 출신 김병욱 정책위 수석부의장, 문진석 전략기획위원장, 김남국 미래사무부총장 등도 개편 대상에 올라있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 청담동 술자리 참석 의혹’을 제기했던 김의겸 대변인 등 원내·원외 대변인 일부도 교체할 것으로 보인다.
이 대표의 인적쇄신이 당내 공감을 얻는다면 강성 비명계 일부 의원을 제외하면 그를 향한 퇴진론은 일단 힘을 잃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 하지만, 인적 쇄신의 수위가 비명계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 또 다른 갈등이 시작될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비명계가 요구하는 인적 쇄신의 핵심은 조정식 사무총장이라는 게 대체적인 해석이다. 사무총장이 내년 총선 공천에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만큼 사무총장을 교체해야 인적 쇄신의 진정성도 보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대표를 향해 ‘쓴소리’를 이어 온 당 원로인 유인태 전 국회 사무총장은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5선이 사무총장을 하는 것은 모양이 안 좋다”며 “이 대표가 (인적 쇄신을 요구하는 의원들의) 말을 얼마나 들을지 지켜봐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도 “인적쇄신은 배려라기 보다는 정치적 결단”이라며 “이 대표가 보다 과감한 결단으로 위기를 타개하고 당의 결집을 이끌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결국 이번 당직 개편에서 조 사무총장이 유임되면 인적 쇄신의 진정성 논란이 불거지면서 이 대표에 대한 퇴진론이 다시 고개를 들 가능성이 크다. 여기에 쌍방울 대북 송금 의혹 등과 관련해 검찰이 다시 이 대표를 소환하거나 추가로 체포 동의 요구가 국회에 넘어오는 경우에도 이 대표 체제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어 보인다.
한편,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지난 25일 자신의 SNS에 “조작된 이미지로 민주당 소속 의원의 명예를 훼손한 행위에 대해 당 차원에서 철저히 조사한 후 단호히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비명계 의원들을 ‘수박’(겉과 속이 다른 사람) 등으로 지목하며 강하게 비난해 왔던 강성 지지층을 겨냥한 것으로 당내 통합을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이 대표는 “총선 승리의 가장 큰 장애는 분열과 갈등”이라며 “민주당원이라면, 이재명의 지지자라면 더 크게, 더 넓게, 더 멀리 보고 갈등 균열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승리의 길이자 이재명이 가는 길”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임동욱 선임기자 tu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