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연구원, 다시 분리된다
이사회,운영 효율화 방안 시·도에 요구…5대 원장 공모 ‘중지’
연구원 위상 추락·상생 협력 위축 등 우려…대책 수립이 먼저
2023년 01월 29일(일) 20:35
<광주전남연구원 제공>
광주전남연구원이 조만간 광주연구원과 전남연구원으로 분리될 것으로 보인다. 민선 6기인 지난 2015년 9월 상생 협력 차원에서 통합 출범했으나 민선 8기 들어 광주시와 전남도가 각각의 특성에 맞는 발전 방안 마련에 무게를 두고 분리하기로 내부 방침을 정했기 때문이다.

지난 26일 열린 제39차 이사회에서 오는 2월 24일로 임기가 끝나는 박재영 현 원장의 후임 공모 절차를 중단한 것도 이 같은 분위기를 반영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지역 내 최고·최대 연구기관을 광주시와 전남도가 별도의 산하기관으로 하기 위해 분리 운영할 경우 용역기관으로의 위상 추락, 초광역사업 및 상생 협력 위축, 연구 성과의 질적 수준 하락 등이 우려되고 있어 대책을 먼저 수립해야 한다는 여론이 지배적이다. 연구원 이사회에서도 이 같은 의견이 주를 이뤘다.

29일 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1월 6일까지 진행된 광주전남연구원 제5대 원장 공모에 1인만 응모함에 따라 관련 규정에 의거해 재공고를 해야 한다. 하지만 최근 연구원 통합 운영방식에 대한 효율성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됨에 따라 연구원의 효율적 운영 방안이 도출될 때까지 원장 공모를 일시 중지하기로 의결했다. 민선 8기 들어 강기정 광주시장을 시작으로 신민호(순천6) 전남도의회 기획행정위원회 위원장, 박종원(담양1) 전남도의원 등이 연구원 분리를 지속적으로 주장했기 때문이다.

이같은 연구원 이사회의 요구에 따라 시·도는 연구원 인력 및 재정 지원 강화, 위상 제고 등을 포함한 효율적 운영 방안을 마련해 우선 분리의 명분을 만들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일부 이사들은 분리를 전제로 한 효율적 운영 방안은 불가하다는 의견까지 낸 것으로 알려졌다.

허정 이사장은 “지역의 유일한 정책연구기관인 통합연구원이 그동안 많은 연구성과를 내는 등 제 역할을 다해왔음에도 불구하고 분리 방안에 대해 공식 검토를 요청한 것은 안타까운 일”이라며 “하지만 이번 기회를 통해 연구원이 지역발전의 길잡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전남연구원 이사회는 시·도가 추천한 각 7명의 선임직 이사와 시·도 기획조정실장을 포함한 5명의 당연직 이사 등 총 19명으로 구성돼 있다.

/윤현석 기자 chadol@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674992100748137004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13일 19:2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