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특화단지 조성 광주·전남이 적지다
광주·전남 지역에 첨단산업을 선도할 반도체 특화 단지 지정이 필요하다는 여론이 확산하고 있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엊그제 국회도서관 강당에서 강기정 시장, 김영록 지사, 지역 국회의원, 반도체 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광주·전남 반도체산업 육성 토론회를 열었다.
전문가들은 이 자리에서 반도체 특화 단지 지정을 위한 광주·전남의 강점으로 RE100(사용 전력 100%를 재생 에너지로 충당하는 것) 실현이 가능하고 인공지능(AI)·전력·자동차 등 전방 산업이 풍부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부지·용수·물류망 등 인프라까지 갖췄기 때문에 다른 시도보다 경쟁 우위에 있다고 설명했다.
반도체 특화 단지 조성은 광주시와 전남도가 추진하는 민선 8기 상생 1호 협력 사업이다. 시도는 지역 주력 산업과 연계한 반도체 특화단지를 전국에서 유일하게 접경 지역에 공동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발판으로 부가가치 높은 첨단 반도체 기업을 유치해 일자리를 만들고 반도체 전문 인재 양성에 나선다는 복안을 마련했다. 지역 대학들과 공동으로 반도체산업 육성 방안 등을 다듬고 있다.
반도체 특화 단지는 10년간 관련 인력 15만 명 이상을 양성하고 5년간 340조 원의 기업 투자를 이끌겠다는 정부의 ‘반도체 초강대국’ 전략과 맞물려 있다. 전국 지자체들이 앞다퉈 특화 단지 지정에 나선 배경이다.
정부는 지역 균형 발전 차원에서 반도체 특화 단지 정책에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다. 광주·전남은 정부의 수도권 위주 정책 때문에 산업 생태계가 가장 열악한 지역으로 전락했다. 정부가 전략 산업인 반도체 부문까지 광주·전남을 홀대해서는 안 되는 이유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공동 혁신도시 조성 사업에 이어 이번에도 상생 협력으로 큰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긴밀한 공조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정치권과 대학도 한마음으로 지혜와 역량을 모아야 할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 자리에서 반도체 특화 단지 지정을 위한 광주·전남의 강점으로 RE100(사용 전력 100%를 재생 에너지로 충당하는 것) 실현이 가능하고 인공지능(AI)·전력·자동차 등 전방 산업이 풍부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부지·용수·물류망 등 인프라까지 갖췄기 때문에 다른 시도보다 경쟁 우위에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지역 균형 발전 차원에서 반도체 특화 단지 정책에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다. 광주·전남은 정부의 수도권 위주 정책 때문에 산업 생태계가 가장 열악한 지역으로 전락했다. 정부가 전략 산업인 반도체 부문까지 광주·전남을 홀대해서는 안 되는 이유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공동 혁신도시 조성 사업에 이어 이번에도 상생 협력으로 큰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긴밀한 공조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정치권과 대학도 한마음으로 지혜와 역량을 모아야 할 것이다.